게시글 본문내용
|
다음검색
싱글벙글 전역 D-1인 컴린이의 전역컴
• SF Leadex 시리즈의 AS 정책이 상당히 우수한 부분이기에
화이트 기준 모델로 구성하신다면 감성은 동일하고 조금더 우수한 AS 퀄리티 받아 볼 수 있을 겁니다.
•순정으로 쓰실꺼라면 그냥 마이크론 PRO 모델이 쉽게 5600 인식도 가능하고 방열판도 있는데
가격적으로 조금더 저렴하지 않을까 보여집니다
•SSD 역시 pcie 3.0 보다는 4.0 기반인 p5 plus가 동가격대에서는 더 가성비가 좋습니다
첫댓글 가성비생각하면.. 굳이 P5플러스 사용할바에 더 저렴하고 성능은같은 PM9A1있음
(애초에 P31은 안정성과 저전력보고 쓰는겁니다)
나머지는 자기 취향인가보네요
우수한 퀄리티의 AS라고 강조할정도 딱히 차이는 없다 생각하는데 그냥 램이든 파워든 작성자 취향인가봅니다
안바꿔도 문제없는데..
1. 슈플 골드급이 꽤나 괜찮다는 것은 맞습니다만 그렇다고 마크닉이 꿀리는 건 아닙니다. 심지어 AS도 마크닉이 어디서 밀리는 회사도 아닙니다. 가격 부분에서도 3천원 차이면 그냥 동일한 가격이지 유의미한 가격차이는 아닙니다.
2. 현재 7000세대 AMD는 5600 메모리 인식 불량이 많습니다. 적용하더라도 부팅속도가 늦어지면서 5200으로 적용되는 사례가 많기 때문에 4800을 추천드리는겁니다. 심지어 5600 팀그룹 메모리도 가격이 동일하여 마이크론을 선택할 이유가 크게 있지는 않습니다.
3. P31의 불량율은 현재 0%에 수렴합니다. 심지어 온도도 낮아서 장기간 사용에 따른 기대수명도 매우 긴편입니다. 하지만 그에비해 P5는 순간속도는 빠를지 몰라도 안정성이 크게 떨어져서 부하가 높아지면 성능저하도 생깁니다. SSD 부문에서는 3.0과 4.0의 성능차이가 거의 없다는게 이미 증명된 상황으로 4.0이라는 이유로 갈 이유는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CPU나 GPU 비교표는 순수 가성비를 나타내고 있지만, 월간견적은 AS, 불량율, 안정성 등등을 전부 고려하여 작성한 지표입니다.
월간견적이 항상 옳다는 뜻은 아닙니다. 불량율은 말그대로 불량제품의 확률일 뿐이지 정상제품만을 구매할 수 있다고 가정하면 더 좋은 것도 많습니다. 또한 가격도 여러 판매사이트의 가격경쟁에 따라 가격변화가 있으므로 월간견적이 항상 가성비가 제일 좋다고 표현할 수는 없습니다. 다만 컴퓨터를 잘 모르면서 하나하나 공부하면서 찾기 어려우신 분들을 위해서 안정적이고 손이 덜타는 제품들로 구성하여 짜여진 것이 월간견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