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철망산호(鐵網珊瑚)
쇠로 만든 그물로 산호를 딴다는 뜻으로, 깊은 바닷속 산호가 철망에 건져 올려져 세상이 아끼는 보배가 된다는 말이다.
鐵 : 쇠 철(金/13)
網 : 그물 망(糹/8)
珊 : 산호 산(王/5)
瑚 : 산호 호(王/9)
깊은 바닷속의 산호 캐기는 당나라 때부터다. 어민들은 산호초가 있는 바다로 나가 쇠그물을 드리운 뒤 배의 끄는 힘을 이용해 산호를 캤다.
철망산호, 즉 쇠그물로 캐낸 산호는 값으로 따질 수 없는 진귀한 보물 대접을 받았다.
명나라 때 주존리(朱存理)는 고대 서화에 대한 기록을 망라해 정리한 자신의 저술에 철망산호(鐵網珊瑚)란 이름을 붙였다.
장유(張維)는 시관(試官)이 되어 영남으로 떠나는 학사 이상보(李尙輔)에게 준 시 중에서,
滄溟深處海若愁,
珊瑚正待鐵網搜.
鹽車莫遣困驊騮,
劍氣不復干斗牛.
푸른 바다 깊은 곳의 해약(海若)이야 근심해도, 산호는 쇠그물로 건져주길 기다리리. 천리마가 소금 수레 끄는 일 없게 하고, 칼빛이 북두성을 다시 범함 없게 하소라고 노래했다.
쇠그물이 바다 밑을 훑으면 바다의 신 해약이야 근심겹겠지만, 산호는 그 쇠그물에 걸려 자신의 진가를 알아줄 세상으로 나가게 되길 기다릴 것이다.
천리마가 소금 수레 끄는 일이 없게 하고, 땅속에 묻힌 보검이 공연히 하늘에 제 검기(劍氣)를 비추는 일이 없도록 유능한 인재를 잘 선발해 달라는 바람을 담았다.
신흠(申欽)은 청강(淸江) 이제신(李濟臣)의 문집 발문에 이렇게 썼다.
아, 아양 떨고 교태를 부리며 대문에 기대 스스로를 파는 자는 수없이 많다.
噫, 巧倩妖睇, 倚門自售者何限。
하지만 공은 충직하고 질박함으로 당시에 배척당했다.
而公以忠朴擠於當時。
형상에 기대고 그림자로 빌붙어 깜냥도 안 되면서 자리를 차지해 이익을 노리는 자가 한도 없다.
躡形附影, 竊吹射利者何限。
하지만 공은 충실함 때문에 글의 그물에 걸려들었다.
而公以忠實罹於文罔。
공이 당한 일로 보면 끝내 캄캄하게 인몰되어 뒤에 다시는 보지 못할 듯하였는데, 몸이 죽자 말이 서고, 말이 서자 이름이 전해졌다.
以公所遘觀之, 則宜若終遂闇曶湮沒不復見於後, 而身沒而言立言, 立而名傳。
비유하자면 산호의 보배로운 가지가 철망에 흘러들어, 마침내 희대의 보물이 된 것과 한가지다.
譬如珊瑚寶柯, 灕漇於鐵網, 而卒爲希代之珍。
어찌 세상의 얕은 의론을 가지고 백세의 사업과 맞바꿀 수 있겠는가?
烏可以一世淺論而易百世業哉。與蜍志之厭厭取媚。磨滅不紀者。何如也。
상촌선생집 제37권 / 제발(題跋)
깊은 바닷속 산호가 철망에 건져 올려져 세상이 아끼는 보배가 된다. 실력을 다져 아름다운 바탕을 간직해 어느 순간 들어 올려지자 그 자태가 참으로 눈부시다. 백대의 이름 앞에서 한때의 시련쯤이야 아무것도 아니다.
▶️ 鐵(쇠 철)은 ❶형성문자로 鉄(철)의 본자(本字), 铁(철)은 간자(簡字), 銕(철)은 고자(古字), 锇(철)은 동자(同字), 鋨(철)은 와자(訛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쇠 금(金; 광물, 금속, 날붙이)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글자 (질, 철)이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부수(部首)를 제외한 글자 (질, 철)은 크다는 뜻으로, 큰 것을 만들 수 있는 금속(金屬)을 의미하며 그 때까지의 청동기(靑銅器)에 견주어 크고 훌륭하며 한층 날카로운 것이었다. ❷형성문자로 鐵자는 '철'이나 '무기', '단단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鐵자는 金(쇠 금)자와 (질)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질)자는 哉(어조사 재)자에 壬(천간 임)자가 더해진 것이지만 별도의 의미를 가지고 있지는 않다. 鐵자는 단단하고 강한 강도를 가진 쇠를 뜻한다. 청동기 시대를 거쳐 철기시대로 진입하면서 인류는 전쟁과 관련된 수많은 무기를 철제로 바꿔나가기 시작했다. 철이 청동기보다 훨씬 강도가 강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鐵자는 '단단하다'나 '견고하다'라는 뜻 외에도 철제로 만든 '무기'나 '갑옷'을 뜻하기도 한다. 그래서 鐵(철)은 (1)금속(金屬) 원소(元素)의 하나 (2)철사(鐵絲) (3)단단한 모양 (4)움직일 수 없는 모양 등의 뜻으로 ①쇠, 검은 쇠 ②검은빛 ③무기(武器), 갑옷 ④검다 ⑤단단하다, 견고하다 ⑥곧다, 바르다 ⑦굳고 변하지 않다 ⑧확정되어 움직일 수 없다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쇠 금(金), 강철 강(鋼),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구슬 옥(玉), 돌 석(石)이다. 용례로는 쇠살로 만든 우리나 울타리를 철책(鐵柵), 쇠로 만든 갑옷을 철갑(鐵甲), 쇠로 된 넓은 판을 철판(鐵板), 쇠로 만듦 또는 그 제품을 철제(鐵製), 철을 포함하고 있는 광석을 철광(鐵鑛), 쇠로 만든 바퀴를 철륜(鐵輪), 어떤 물질 속에 섞이어 있는 쇠의 성분을 철분(鐵分), 가늘고 길게 만든 금속의 줄을 철사(鐵絲), 쇠로 창살을 만든 창문 또는 감옥을 철창(鐵窓), 쇠붙이로 만든 막대기나 지팡이를 철장(鐵杖), 몸이나 힘이 무쇠처럼 강한 사나이를 철인(鐵人), 변경하거나 어길 수 없는 굳은 규칙을 철칙(鐵則), 기차를 말에 비유한 일컬음을 철마(鐵馬), 더할 수 없는 가난을 철빈(鐵貧), 무쇠처럼 억센 다리를 철각(鐵脚), 쇠뭉치같이 굳센 주먹을 철권(鐵拳), 쇠로 만든 것처럼 억세고 야무진 팔을 철완(鐵腕), 쇠같이 굳은 마음을 철심(鐵心), 매우 굳은 작정이나 변함없는 기한을 철한(鐵限), 낡은 쇠를 고철(古鐵), 철광으로 철재 특히 선철을 만드는 공정을 제철(製鐵), 무쇠를 녹여 단단하게 만든 쇠를 강철(鋼鐵), 불순물이 조금도 섞이지 않은 철을 순철(純鐵), 쇠붙이 그릇의 깨어진 조각을 파철(破鐵), 쇠처럼 두꺼운 낯가죽이라는 뜻으로 뻔뻔스럽고 염치없는 사람을 일컫는 말을 철면피(鐵面皮), 무쇠로 만든 독처럼 튼튼히 쌓은 산성이라는 뜻으로 매우 튼튼히 둘러싼 것이나 그러한 상태를 일컫는 말을 철옹성(鐵甕城), 쇠로 만든 다듬이 방망이를 갈아서 침을 만들려 한다는 뜻으로 노력하면 아무리 힘든 목표라도 달성할 수 있음을 이르는 말을 마철저(磨鐵杵), 쇠 중에서 소리가 가장 맑다는 뜻으로 평범한 사람들 중 특별히 뛰어 난 사람을 이르는 말을 철중쟁쟁(鐵中錚錚), 철이나 돌 같은 간과 창자란 뜻으로 굳고 단단한 절개나 마음을 일컫는 말을 철석간장(鐵石肝腸), 굳은 의지로 업을 바꾸지 않음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철연미천(鐵硯未穿), 철 절굿공이로 바늘을 만든다는 뜻으로 아주 오래 노력하면 성공한다는 말을 일컫는 말을 철저성침(鐵杵成針), 쇠공이를 갈아서 바늘을 만든다는 뜻으로 정성을 다하여 노력하면 아무리 힘든 목표라도 달성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말을 철저마침(鐵杵磨鍼), 쇠 같은 마음에 돌 같은 창자라는 뜻으로 지조가 철석같이 견고하여 외부의 유혹에 움직이지 않는 마음을 이르는 말을 철심석장(鐵心石腸), 쇠로 만든 독처럼 튼튼한 산성이라는 뜻으로 어떤 강한 힘으로도 무너뜨릴 수 없게 방비나 단결이 강한 상태를 이르는 말을 철옹산성(鐵甕山城), 아무리 기다려도 소용없음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철수개화(鐵樹開花), 한 치밖에 안 되는 칼로 사람을 죽인다는 뜻으로 간단한 경구나 단어로 사람을 감동시킴 또는 사물의 급소를 찌름의 비유를 일컫는 말을 촌철살인(寸鐵殺人), 쇠로 된 성과 철로 만든 벽이라는 뜻으로 방비가 매우 견고한 성 또는 사물이 대단히 견고하여 치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을 금성철벽(金城鐵壁), 끓는 못과 쇠로 만든 성이라는 뜻으로 매우 견고한 성과 해자 또는 침해받기 어려운 장소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을 탕지철성(湯池鐵城), 성질이 모질고 질기며 거만한 사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을 동두철신(銅頭鐵身), 사사롭고 편벽됨이 없어 권세를 두려워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을 냉면한철(冷面寒鐵), 강철이 가는 데는 가을도 봄이라는 뜻으로 다되어 가는 일이 못된 방해자로 인하여 파탄됨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강철지추(强鐵之秋), 쇳덩이를 다루어 황금을 만든다는 뜻으로 나쁜 것을 고쳐서 좋은 것으로 만듦의 비유를 일컫는 말을 점철성금(點鐵成金), 구리로 만든 머리와 쇠로 만든 이마라는 뜻으로 성질이 모질고 거만한 사람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동두철액(銅頭鐵額) 등에 쓰인다.
▶️ 網(그물 망)은 형성문자로 罓(망), 罒(망)과 동자(同字), 网(망)은 간자(簡字), 罔(망)과 통자(通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실 사(糸; 실타래)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동시(同時)에 그물의 뜻인 옛 글자 그물망(网, 罒, 罓; 그물)部에 '가리다'의 뜻과 음(音)을 나타내는 亡(망)을 더한 罔(망; 그물)으로 이루어졌다. '그물'의 뜻이 있다. 그래서 網(망)은 (1)그물눈처럼 그 조직이 널리 치밀하게 얽혀진 체계(體系) (2)어떤 명사(名詞)와 결합하여 그물이라는 뜻을 나타내는 말 (3)끈이나 새끼 따위로 그물같이 얽어 만든 커다란 망태기 (4)그물처럼 만들어 가뼉 두거나 치거나 하는 물건의 통틀어 일컬음, 등의 뜻으로 ①그물 ②포위망(包圍網) ③계통(系統) ④조직(組織) ⑤그물질하다 ⑥그물로 잡다 ⑦싸다 ⑧덮다 ⑨가리다,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물고기를 잡는 그물과 날짐승을 잡는 그물이란 뜻에서 널리 빠짐없이 모음 또는 모두 휘몰아 넣어 포함 시킴을 망라(網羅), 틀 때 머리카락이 흘러 내려오지 않도록 머리에 두르는 그물 모양의 물건을 망건(網巾), 안구의 가장 안쪽에 있는 시신경이 분포되어 있는 막을 망막(網膜), 그물같이 생긴 모양을 망상(網狀), 그물을 뜨는 데 쓰이는 실을 망사(網絲), 물고기를 잡기 위하여 그물을 치는 곳을 망기(網基), 그물에서 빠져나갔다는 뜻으로 범죄자가 잡히지 않고 도망하였음을 이르는 말을 망루(網漏), 그물로 물고기나 짐승을 잡는 일에 종사하는 사람을 망부(網夫), 그물을 설치하여 고기잡이를 하는 배를 망선(網船), 이익을 독차지 함을 망리(網利), 새를 잡는 데 쓰는 그물을 나망(羅網), 물고기 잡는 그물을 어망(漁網), 물고기를 잡으려고 그물을 강물이나 바닷물에 원뿔꼴로 쫙 펴지도록 던지는 것을 투망(投網), 철사를 그물처럼 엮어 만든 물건을 철망(鐵網), 물고기가 그물에 걸림을 이망(罹網), 들고 다니면서 물고기를 잡는 그물을 행망(行網), 칼과 그물을 씌운다는 뜻으로 남을 속박하거나 구속함을 이르는 말을 겸망(鉗網), 그물을 들면 그물눈도 따라 올라간다는 뜻으로 주된 일이 되면 다른 일도 그에 따라서 이루어진다는 말을 망거목수(網擧目隨), 그물이 새면 배도 그 사이로 지나갈 수 있다는 뜻으로 법령이 관대하여 큰 죄를 짓고도 피할 수 있게 됨을 비유한 말을 망루탄주(網漏呑舟), 그물의 한 코라는 뜻으로 새는 그물의 한 코에 걸려 잡히지만 그물을 한 코만 만들어 가지고는 새를 잡지 못한다는 말을 망지일목(網之一目), 그물을 한번 쳐서 물고기를 모조리 잡는다는 뜻으로 한꺼번에 죄다 잡는다는 말을 일망타진(一網打盡), 산 사람의 목구멍에 거미줄 치지 않는다는 뜻으로 아무리 곤궁하여도 그럭저럭 먹고살 수 있다는 말을 생구불망(生口不網), 썩은 새끼로 범을 잡는 다는 뜻으로 터무니 없는 짓을 꾀함을 이르는 말을 초망착호(草網着虎), 하늘의 그물은 크고 성긴 듯하지만 빠뜨리지 않는다는 뜻으로 하늘이 친 그물은 눈이 성기지만 그래도 굉장히 넓어서 악인에게 벌을 주는 일을 빠뜨리지 않는다는 말을 천망회회(天網恢恢), 게도 그물도 다 잃었다는 뜻으로 이익을 보려다 도리어 밑천까지 잃음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해망구실(蟹網俱失) 등에 쓰인다.
▶️ 珊(산호 산)은 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구슬옥변(玉=玉, 玊; 구슬)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刪(산)의 생략형(省略形) 冊(책)이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그래서 珊(산)은 ①산호(珊瑚: 산호류를 통틀어 이르는 말) ②패옥(佩玉: 허리띠에 차는 옥) 소리 ③비틀거리는 모양 ④조잔(凋殘)하다(빼빼 말라서 쇠잔하다)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산호 호(瑚)이다. 용례로는 몸에 석회질의 골격을 가진 산호충의 유해가 쌓이고 쌓여서 된 바위를 산호초(珊瑚礁), 산호로 만든 비녀를 산호잠(珊瑚簪), 산호빛과 같은 유약을 산호유(珊瑚釉), 산호를 어획하는데 쓰이는 기구를 산호망(珊瑚網), 산호를 갈아서 만든 구슬을 산호주(珊瑚珠), 나뭇가지처럼 생긴 산호의 가지를 산호지(珊瑚枝), 산호초가 수면 위에 드러나서 이루어진 섬을 산호도(珊瑚島), 사람의 손으로 만든 산호를 조산호(造珊瑚), 장식품에 쓰기 위하여 인공으로 만든 가짜 산호를 가산호(假珊瑚) 등에 쓰인다.
▶️ 瑚(산호 호)는 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구슬옥변(玉=玉, 玊; 구슬)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胡(호)로 이루어졌다. 그래서 瑚(호)는 ①산호(珊瑚: 산호류를 통틀어 이르는 말) ②호련(瑚璉: 오곡을 담아 신에게 바칠 때 쓰던 제기)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산호 산(珊)이다. 용례로는 대개 가공용의 것을 말하며 장식용으로 많이 쓰이는 산호충의 군체의 중축 골격을 산호(珊瑚), 몸에 석회질의 골격을 가진 산호충의 유해가 쌓이고 쌓여서 된 바위를 산호초(珊瑚礁), 산호로 만든 비녀를 산호잠(珊瑚簪), 산홋빛과 같은 유약을 산호유(珊瑚釉), 산호를 어획하는데 쓰이는 기구를 산호망(珊瑚網), 산호를 갈아서 만든 구슬을 산호주(珊瑚珠), 사람의 손으로 만든 산호를 조산호(造珊瑚), 장식품에 쓰기 위하여 인공으로 만든 가짜 산호를 가산호(假珊瑚), 나뭇가지처럼 생긴 산호의 가지를 산호지(珊瑚枝), 산호초가 수면 위에 드러나서 이루어진 섬을 산호도(珊瑚島), 쇠로 만든 그물로 산호를 딴다는 뜻으로 깊은 바닷속 산호가 철망에 건져 올려져 세상이 아끼는 보배가 된다는 말을 철망산호(鐵網珊瑚)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