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강 김포농업의 현황과 도시농업소개
강사: 김포농업기술센터 인재개발과 권혁준과장
1. 김포의 유래와 지리적 근원
고구려, 백제, 신라 삼국이 정립하고 있었을 때 김포시 지역은 삼국의 각축장이었다. 이 지역이 최초로 역사에 등장한 시기는 고구려 장수왕 63년(475)이고, 신라가 한반도를 통일한 후 경덕왕 16년(757) 전국토를 9주5소경으로 재편할 때 한주(漢州)에 속한 김포반도를 김포현 (김포, 고촌, 검단 지역), 분진현(통진, 월곶 지역), 동성현(하성지역),수성현(양촌,대곶지역),공암현(서울 강서구지역)으로 나누고, 앞의 네 현은 장제군(長堤郡 : 현 부천)의 영현( 領縣 ), 공암현은 율진군( 栗津郡 : 현 시흥)의 영현이 되었다.
1914년 3월 전국적인 행정구역 개편 때 김포, 통진, 양천군이 '김포군'으로 통합되었다. 통합 전 김포군에 속했던 군내면, 석한면, 고현내면은 군내면으로 , 검단면, 마산면, 노장면은 검단면으로, 임촌면, 고란태면은 고촌면으로 , 통진군에 속했던 부내면, 보구곶면, 월여곶면, 소이곶면, 고리곶면, 반이촌면, 질전면, 봉성면, 대파면, 양릉면, 상곶면은 지역조정을 거쳐 월곶, 하성, 양촌, 대곶면으로, 양천군의 현내면, 삼정면, 가배곡면, 남산면, 장군소면이 양동, 양서면으로 되어 9개 면으로 조정되었다.
2.김포농업현황
가. 농가호수 = 전체가구의 3.9%
나. 농가인구 = 전체인구의 4.2%
다. 주요생산품 : 포도,배,매실,인삼,쌀등..
3. 김포농업기술센터의 역할
가. 안전하고 품질좋은 로컬푸드 생산공급
나. 농어업 성장동력 확충
다. 농식품 가공상품화로 부가가치 창출
라. 시민과 함께하는 도시농업 실현
마. 실용교육으로 창의적인 농업CEO육성
바.농업기술혁신을 통한 소득작목 육성
사. 농업인의 순수성 회복과 복지지원
4.도시농업이란 ?
도시의 텃밭이나 주말농장에서 내 손으로 신선채소를 기르는 도시농부가 늘고 있다. 농업이 도시를 만나면서 그 역할이 커졌다. 그동안 국민의 먹을거리를 생산하는 산업에서 이젠 먹을거리는 물론 건강과 환경개선 및 교육이나 공동체 회복 등 도시민들이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꼭 필요한 산업으로 바뀌고 있다.
5. 스마트 팜
농사 기술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하여 만들어진 지능화된 농장. 스마트 팜은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기술을 이용하여 농작물 재배 시설의 온도 · 습도 · 햇볕량 · 이산화탄소 · 토양 등을 측정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서 제어 장치를 구동하여 적절한 상태로 변화시킨다. 그리고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를 통해 원격 관리도 가능하다. 스마트 팜으로 농업의 생산 · 유통 · 소비 과정에 걸쳐 생산성과 효율성 및 품질 향상 등과 같은 고부가가치를 창출시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