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일은 총선 D-day다.
'24년 4.10 총선 사전투표율이 31.3%에 달했다. 지난 대선에 이어서 역대 어느 선거보다 높은 투표율이다. 이 중 2030으로 대표되는 30대 이하 투표율은 얼마나 될까?
이제 정치권의 관심은 2030세대의 표심에 쏠리고 있다. 4050세대는 범야권, 60대 이상은 여권으로 표심이 양분돼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이번 총선에서 30대 이하 유권자는 전 유권자의 28.6% 1267만여명이다.
그런데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지난 4일 발표한 ‘제2차 유권자 의식조사’에 따르면 반드시 투표하겠다는 비율이 이 세대에서 가장 낮았다. 40대 이상은 80%, 18세 이상 20대가 50.3%, 30대는 68.8%였다. 대부분의 여론조사도 부동층의 비율이 2030세대에서 2~3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치권뿐 아니라 언론과 사회에서도 2030세대의 투표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 민주주의는 참여를 통해 발전한다는 원리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자유는 속박과 억압으로부터의 해방을 의미하는 것을 넘어 무엇을 향한 의지와 행동을 의미하기도 한다. 공정과 정의로 이야기되는 평등한 자유와 자유로운 평등을 보장하는게 민주주의라고 할 수 있다.
2030세대는 탈이념적이고 실리를 추구하는 성향이 강하다. 이것이 정치적 무관심으로 이어져 미래를 어둡게 한다고 나무라면서도 2030세대의 참여가 미래를 결정한다며 투표 참여를 호소한다.
정치권은 2030세대가 공정과 특혜 시비에 민감하다는 것을 인정한다. 동시에 입시 채용 비리와 편법 상속, 부동산 투기 등의 ‘내로남불’이 여야를 불문하고 정치계에 만연해 있음도 시인한다.
청년들을 위한 정책을 너나없이 내세우면서도 정작 청년들의 동의를 얻지 못하면서 정치적 무관심이나 정치 혐오의 원인을 제공한 자가 오히려 그 무관심과 혐오를 비난한다.
차려 놓은 밥상에 먹을 것 없어도 40대 이상은 몸을 생각하거나 일을 하기 위해서 숟가락을 든다지만 젊은 사람들은 밥을 먹지 않고서 밥상을 떠난다.
젊은이들이 정치에 관심이 없는 것처럼 보이는것은 이들이 정치적 효능감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이다. 세대 담론과 투표 독려가 선거 때마다 반복되지만, 들러리라는 자괴감을 느끼는 경우가 적지 않다. 이번 총선은 더 심각하다. 달리 보면 무관심을 강제당하거나 외면을 무관심으로 매도당한 것이다.
일탈과 반항은 젊음의 특권이다. 일탈이 병든 사회의 징후라면, 반항은 사회의 병을 고치려는 저항이다. 이들은 기성세대에 비판적이다. 기성세대의 관점에서 보면 탈이념적이고 이기주의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지금의 젊은이들은 자신의 권리를 침해하는 권위주의와 불공정에 민감하다.
이 민감성은 분노로 이어지고 논리나 집단의 매개 없이 즉각적 행동으로 연결되는것은 이기주의가 아니라 각자의 자유와 평등에 핵심 가치를 두는 개인주의 본연의 모습으로 봐야한다.
민주주의는 각자의 자유와 평등을 전제로 한다. 민주주의의 주체는 집단이 아니라 개인이기 때문이다. 2000년대 이후 성장하거나 태어난 세대들은 M세대 중후반부터 Z세대를 포괄한다. 이들은 이러한 민주주의의 주체로서 오히려 그에 걸맞은 사고를 가지고 있다.
정치권은 적극적인 정치적 관심을 보이며 비판하는 2030세대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지 않는다. 그러면서 정치적으로 소극적이거나 환멸을 느낀 2030세대를 비난하며 동원하려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투표에 참여하는 2030세대야말로 ‘대인배’다. 투표장에 가서 의도적으로 무효표를 찍는다는 얘기도 심심찮게 나온다. 이미 차려진 밥상인데, 투표 참여가 미래를 바꿀 수 있을까?
진정으로 미래를 생각하는 정치라면 지금이라도 젊은층의 비판과 실망에 주목하고 총선 이후의 미래 비전을 보여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세상을 지배하는 구조적 모순이나 공동체의 문제들에 대해서는 무관심하면서도 지극히 개인 차원의 공정에는 유독 민감한 2030세대를 보고 이기주의자라고 나무랄 필요는 없다. 그들에게 선거가 의미 없다면 무슨 소용이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