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간이 쏜살같이 지나간다”는 말에서 ‘쏜살’은 ‘활로 쏜 화살(an arrow fired from a bow)’을 뜻한다. 영어에도 똑같은 표현이 있다. ‘Time flies like an arrow.’
새 밀레니엄(millennium·1000년)을 앞둔 1999년, 전 세계는 Y2K(Year 2000) 공포에 떨었다(tremble with fear). 2000년으로 넘어서는 순간 컴퓨터에 인식 오류(recognition error)가 생겨 대혼란을 야기할(cause a pandemonium) 것이라는 우려였다. 그게 엊그제 같은데 벌써 24년이 지났다. 며칠 후면 2025년이다.
시간에 대한 인식·지각(time perception)은 상대적이다(be relative). 나이가 들수록(get older) 빨라지는 것처럼 보인다(seem to accelerate). 일곱 살 아이와 70세 노인에게 365일 기준 3153만6000초, 52만5600분, 8760시간, 1년 길이는 똑같아도 속도는 다르게 느껴진다. 즐겁고 재미있을(have fun) 때 시간은 금방 지나가지만, 힘들고 단조로운 일(drudgery work)을 할 때는 질질 늘어진다(drag on). 너무나 힘겨운 순간엔 마치 정지해 있는(stand still) 듯하다.
중년 문턱을 넘어서면(cross the threshold of middle age) 어릴 때와 달리 시간 속도가 급속히 빨라지기 시작한다(begin to speed up rapidly). 노년에 들어설(reach old age) 즈음이면 “눈 깜짝할 사이에 지나간다(pass in the blink of an eye)”고 되뇌게 된다. 그 이유는 나이가 들면서 신경망(網·neuron network)이 늘어나고 복잡해져(become more complex) 신경 처리(neural processing) 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이다. 그 결과(as a result), 시각 정보 처리가 늦어지면서 머릿속으로 기억되는 심상(心象·mental image)이 줄어들어 시간 감각이 달라진다고 한다.
시간 대비(對比) 삶의 기간 비율(time-to-life ratio)에 따른 현상이라는 설도 있다. 다섯 살 아이에게 1년은 살아온 전 생애(entire life)의 20%인데 비해, 50세 어른에겐 2%이기 때문에 훨씬 빨리 지나가는(go by much more quickly) 것처럼 느껴진다는 것이다. 다섯 살짜리에겐 급속한 성장(rapid growth)·변화·배움·발달 등으로 꽉 차서 기나길지만, 50세에겐 48·49세 때와 달라진 게 별반 없으니 휙 지나가는(fly by) 것 같다는 얘기다.
시간 길이에 대한 지각은 경험을 하는 순간에 존재하느냐, 아니면 시간을 되돌아보고 있느냐(look backward on time)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시간을 천천히 가게 하려면(in order to make time slow down) 지금 이 순간을 잘 챙겨야(be mindful of the present moment) 한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나 때는 말이야” 하면서 라떼 커피만 마시고 있으면 시간이 후루룩 더 빨리 흘러버린다고 한다.
세상을 어릴 때 그랬던 것처럼 살라고 한다. 삶의 경이로움에 주목하며(take note of life’s wonders) ‘지금’ ‘여기’에 몰두하다 보면 시간도 구경하느라 함께 머물러준다는 얘기다. ‘인생은 짧다’라는 말의 참뜻은 ‘그러니까 빨리 무언가를 하라’는 것이라고 한다.
[영문 참조자료 사이트]
Time Speed Up as We Start to Get Older
나이가 들면서 시간이 빨리 간다
Making sense of the passage of time.
시간의 흐름 이해하기
Key points
▪︎Our experience of time is highly flexible and subjective.
시간에 대한 우리의 경험은 매우 유연하고 주관적입니다.
▪︎One major factor is information processing. The more information our minds process, the slower times passes.
한 가지 중요한 요인은 정보 처리입니다. 우리 마음이 더 많은 정보를 처리할수록 시간은 더 느리게 흐릅니다.
▪︎Time speeds up with increasing age because we have fewer new experiences and our perception is less vivid.
나이가 들수록 시간은 더 빨리 흐릅니다. 새로운 경험이 줄어들고 인식이 덜 생생해지기 때문입니다.
▪︎We can stop time speeding up by bringing new experiences into our lives and by living mindfully.
우리는 새로운 경험을 삶에 가져오고, 주의 깊게 생활함으로써 시간이 빨리 가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Last week I went to a psychology conference at Oxford University. Although the conference wasn’t about time, it made me ponder the different ways in which the human mind experiences time.
지난주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열린 심리학 학회에 참석했습니다. 시간 관련 학회는 아니었지만, 인간의 마음이 시간을 경험하는 다양한 방식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되었습니다.
It was a large conference, with about 500 delegates, and lasted for four days. I met many old friends and acquaintances and made connections with many new people. I attended so many lectures and workshops that my brain soon felt overloaded with information.
약 500명의 대표단이 참석한 대규모 컨퍼런스는 나흘 동안 진행되었습니다. 오랜 친구들과 지인들을 많이 만났고, 새로운 사람들과도 인연을 맺었습니다. 강의와 워크숍에 너무 많이 참석하다 보니 금세 머릿속이 정보로 가득 차는 것을 느꼈습니다.
On the last day of the conference, I bumped into a woman I had conversed with on the first day, after sharing a panel with her. It felt like such a long time since I had seen her that I barely recognised her. I told her, “I can’t believe it’s only three days since I saw you! It seems more like three weeks!”
컨퍼런스 마지막 날, 첫날 패널 토론을 함께 한 후 이야기를 나누던 여성분을 우연히 만났습니다. 너무 오랜만이라 거의 알아보지 못했습니다. 저는 그녀에게 "믿기지 않아요, 당신을 본 지 겨우 3일밖에 안 됐어요! 3주는 된 것 같아요!"라고 말했습니다.
Another phenomenon I noticed was that, although they all lasted an equal 45 minutes, the keynote lectures seemed to pass at different speeds. Some presenters were more charismatic and dynamic than others. Some material was relevant and engrossing, while some was abstract and trivial. As a result, some lectures passed very quickly, while others seemed interminable. (I hope the former was the case with my own keynote lecture!)
제가 발견한 또 다른 현상은, 모든 기조 강연이 45분이라는 동일한 시간 동안 진행되었지만, 각 강연의 속도가 다르게 느껴졌다는 점이었습니다. 어떤 발표자는 다른 발표자보다 더 카리스마 넘치고 역동적이었습니다. 어떤 내용은 관련성이 높고 몰입도가 높았지만, 어떤 내용은 추상적이고 사소했습니다. 그 결과, 어떤 강연은 매우 빠르게 진행되었지만, 어떤 강연은 끝없이 이어지는 것처럼 느껴졌습니다. (제 기조 강연도 전자처럼 진행되었기를 바랍니다!)
The Keys to Time Perception
시간 인식의 열쇠
What determines our experience of time, such as in the above examples? Why does time seem to speed up in some situations and to slow down in others? These questions are at the heart of my new book Time Expansion Experiences, in which I show that time perception is highly flexible and subjective.
위의 예시처럼 우리의 시간 경험은 무엇에 의해 결정되는가? 왜 어떤 상황에서는 시간이 빨라지고 어떤 상황에서는 느려지는 것처럼 보이는가? 이러한 질문들이 저의 신간 『시간 확장 경험(Time Expansion Experiences)』의 핵심이며, 이 책에서 저는 시간 인식이 매우 유연하고 주관적임을 보여줍니다.
There is a strong link between time perception and information processing. The more information our minds process, the slower time seems to pass. This is why my conference seemed to last for such a long time – because of the large amount of information my mind processed, not just from the lectures and workshops, but also from the people I met, and from the unfamiliar environment of Oxford (which I had never visited before). In contrast, when we remain in our normal environments, repeating the same familiar experiences with the same people, time tends to move quickly.
시간 지각과 정보 처리 사이에는 강한 연관성이 있습니다. 우리 마음이 더 많은 정보를 처리할수록 시간은 더 느리게 흐르는 것처럼 느껴집니다. 이것이 바로 제 컨퍼런스가 그렇게 오랫동안 지속된 것처럼 느껴지는 이유입니다. 제 마음이 처리한 정보의 양이 방대했기 때문입니다. 강의와 워크숍뿐만 아니라 제가 만난 사람들, 그리고 (전에 한 번도 가본 적이 없었던) 옥스퍼드의 낯선 환경에서도 많은 정보를 처리했기 때문입니다. 반대로, 우리가 익숙한 환경에서 같은 사람들과 똑같은 익숙한 경험을 반복할 때 시간은 더 빨리 흐르는 경향이 있습니다.
In a more indirect way, information processing helps to explain why time speeds up in absorption, and slows down when we’re bored. In absorption, we process comparatively little information. We obviously process information from the activity that engages our attention (for example, an entertaining lecture, book or film) but this is quite a small amount compared to other states of mind. We narrow our attention to one small focus and block out all other potential sources of information in our environment. Most significantly, our minds become quiet – largely free of thought – so that we process very little cognitive information.
좀 더 간접적인 방식으로, 정보 처리는 왜 몰입 상태에서는 시간이 빨라지고 지루할 때는 시간이 느려지는지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몰입 상태에서는 비교적 적은 양의 정보를 처리합니다. 물론 주의를 끄는 활동(예: 재미있는 강의, 책, 영화)에서 정보를 처리하지만, 이는 다른 정신 상태에 비해 매우 적은 양입니다. 우리는 주의를 하나의 작은 초점에 집중하고 주변 환경의 다른 잠재적인 정보원을 모두 차단합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우리의 마음이 고요해지고, 생각에서 거의 자유로워져서 인지 정보를 거의 처리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However, when our attention is diffuse or unfocused – in such states as boredom, impatience or anxiety – a massive amount of cognitive information flows through our minds. As I found during some lectures at the conference, when our finds aren't focused, they fill with what I call “thought-chatter” – thoughts about the future or past, fragments of conversations or songs, thoughts about politics or celebrities and so on. Hundreds, if not thousands, of such thoughts may pass through our minds in a matter of minutes. And all this cognitive information stretches time.
하지만 우리의 주의가 산만하거나 집중되지 않을 때, 즉 지루함, 조급함, 불안 등의 상태에서는 엄청난 양의 인지 정보가 우리 마음속으로 흘러갑니다. 제가 이번 학회에서 강의를 하면서 알게 된 것처럼, 우리의 정보가 집중되지 않을 때, 그 정보는 제가 "생각의 수다"라고 부르는 것들로 가득 차게 됩니다. 미래나 과거에 대한 생각, 대화나 노래의 단편, 정치나 유명인에 대한 생각 등이 그 예입니다. 수백, 아니 수천 개의 생각들이 단 몇 분 만에 우리 마음속을 스쳐 지나갈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모든 인지 정보는 시간을 낭비하게 만듭니다.
Why Time Speeds Up as We Get Older
나이가 들면서 시간이 더 빨리 흐르는 이유
Although it may not seem to directly relate, information processing also helps to explain why time seems to speed up as we get older. In a recent study of 918 adults led by the psychologist Ruth Ogden, 77% of respondents agreed that Christmas seems to arrive more rapidly each year. (14% were neutral on the issue, while only 9% disagreed.) Interestingly, Ogden’s co-researchers asked an Iraqi sample the same question about Ramadan and received a very similar response.2
직접적인 연관성은 없어 보일 수 있지만, 정보 처리는 나이가 들면서 시간이 더 빨리 가는 이유를 설명하는 데에도 도움이 됩니다. 심리학자 루스 오그든이 주도한 최근 성인 918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응답자의 77%가 크리스마스가 매년 더 빨리 다가오는 것 같다는 데 동의했습니다. (14%는 이 문제에 대해 중립적이었고, 9%만이 동의하지 않았습니다.) 흥미롭게도, 오그든의 공동 연구진은 이라크인들에게 라마단에 대해 같은 질문을 했고 매우 유사한 답변을 받았습니다.
It’s common for people to report a slow passage of time during childhood. I have a clear memory of finishing primary school (equivalent to elementary school in the US) aged 11, knowing that I would be starting secondary school in six weeks, after the summer vacation. I started to ponder over secondary school, wondering what it would be like and if should worry about it. But then I told myself, “Well, there’s no point thinking about it, as it’s so far ahead in the future.” The six-week period that stretched ahead of me seemed so expansive that it was probably the equivalent of six months of my adult life.
어린 시절에는 시간이 느리게 흘러갔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저는 11살에 초등학교(미국의 초등학교에 해당)를 졸업하고, 여름방학이 끝나고 6주 후면 중학교에 입학할 거라는 걸 알고 있었던 기억이 생생합니다. 중학교 생활에 대해 생각하기 시작하면서 어떤 모습일지, 그리고 걱정해야 할지 고민하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그때 스스로에게 이렇게 말했습니다. "글쎄, 아직 너무 먼 미래니까 생각할 필요도 없잖아." 앞으로 6주라는 시간은 너무나 광활해서 제 성인 생활로 치면 6개월에 해당하는 시간처럼 느껴졌습니다.
This is mainly because, as children we have so many new experiences, and so process a massive amount of perceptual information. Children also have an unfiltered and intense perception of the world, which makes their surroundings appear more vivid. However, as we get older, we have progressively fewer new experiences. Equally importantly, our perception of the world becomes more automatic. We grow progressively de-sensitized to our surroundings. As a result, we absorb gradually less information, which means that time passes more quickly. Time is less stretched with information.
이는 주로 어린 시절에 새로운 경험을 많이 하고, 그로 인해 엄청난 양의 지각 정보를 처리하기 때문입니다. 아이들은 또한 세상을 거침없이 강렬하게 인식하기 때문에 주변 환경이 더욱 생생하게 느껴집니다. 하지만 나이가 들면서 새로운 경험은 점점 줄어듭니다. 마찬가지로 중요한 것은, 세상에 대한 우리의 인식이 더욱 자동화된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주변 환경에 점점 더 둔감해집니다. 결과적으로 우리가 흡수하는 정보량이 점차 줄어들고, 이는 시간이 더 빨리 흐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시간이 정보로 인해 덜 제한적이게 됩니다.
Resisting the Speeding Up of Time
시간의 가속에 저항하기
However, there are certain things we can do to resist the process of time speeding up. The most obvious is to keep introducing newness into our lives – for example, by travelling to new places, learning new hobbies, and meeting new people. Alternately - and perhaps more effectively – we can also slow down time by living mindfully, paying conscious attention to our day-to-day experiences of seeing, hearing, feeling and so on. On a more long term basis, we can cultivate conscious awareness through meditative practices that quieten the chatter of our minds and weaken the power of the conceptual labels that filter out the raw reality of the world. (I examine these methods in more detail in the last chapter of Time Expansion Experiences.)
하지만 시간이 빠르게 흘러가는 것을 막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가장 확실한 방법은 새로운 곳을 여행하고, 새로운 취미를 배우고,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는 것처럼 우리 삶에 끊임없이 새로운 것을 도입하는 것입니다. 또는, 어쩌면 더 효과적으로, 마음챙김으로 생활하고, 보고, 듣고, 느끼는 일상의 경험에 의식적으로 주의를 기울임으로써 시간을 늦출 수도 있습니다. 더 장기적으로는 명상을 통해 의식적인 자각을 함양할 수 있습니다. 명상은 마음의 잡음을 잠재우고 세상의 거친 현실을 걸러내는 개념적 꼬리표의 힘을 약화시킵니다. (이러한 방법들은 『시간 확장 경험』의 마지막 장에서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Both of the above methods increase the amount of information that our minds process, and so expand our perception of time. They show that, although the experience of time speeding up with age is common, it is not inevitable.
하지만 시간이 빠르게 흘러가는 것을 막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가장 확실한 방법은 새로운 곳을 여행하고, 새로운 취미를 배우고,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는 것처럼 우리 삶에 끊임없이 새로운 것을 도입하는 것입니다. 또는, 어쩌면 더 효과적으로, 마음챙김으로 생활하고, 보고, 듣고, 느끼는 일상의 경험에 의식적으로 주의를 기울임으로써 시간을 늦출 수도 있습니다. 더 장기적으로는 명상을 통해 의식적인 자각을 함양할 수 있습니다. 명상은 마음의 잡음을 잠재우고 세상의 거친 현실을 걸러내는 개념적 꼬리표의 힘을 약화시킵니다. (이러한 방법들은 『시간 확장 경험』의 마지막 장에서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윤희영 기자 / 조선일보
첫댓글 아 시간빠르다~
벌써 주말밤 ~
이밤의 끝을잡고
이대로 멈춰랏~
감사히 잘 보구갑니다~고문님
굿 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