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현백’ 가짜뉴스 MBC, 폐지만이 답
자유일보
김원재
MBC가 또다시 가짜뉴스 논란에 휩싸였다. 최근 MBC는 군이 지난해 12월 3일 비상계엄을 앞두고 시신을 담는 ‘종이관’ 대량 구매를 타진했고, 시신을 임시 보관하는 ‘영현백’을 3000여 개 구입했다고 보도했다.
MBC는 군이 계엄 직후 정치인과 판사 등을 사살하려 했던 걸로 보인다는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 수첩’ 보도를 언급하며, 수천 구의 시신이 발생할 상황에 대비한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했다. 계엄 당시 군이 대량 살상계획을 세운 것 아니냐는 것이다. 특히 "군이 시신 처리를 위해 민간 업체에서 관을 사들인 전례는 지난 5년간 없었다"며 이번 구매가 비상계엄과 연관됐다고 몰아갔다.
그러나 사실관계를 살펴보면 이는 얼토당토하지 않다. 이번 영현백 3000개 구매는 육군이 2022년 이미 계획됐던 물량으로 비상계엄 상황과는 전혀 무관하기 때문이다.
육군은 전시를 대비해 영현백을 비축하고 이를 확보할 계획을 세웠다. 그 일환으로 2022년에 전시 대비 합참 지침을 통해 2024년과 2025년에는 각각 3000개, 2026년과 2027년에는 각각 6000개의 영현백이 단계적으로 확보할 계획을 세웠다. 이번 구매 또한 그 일환이었다.
실제로 육군이 공개한 반박문에 따르면 이번 영현백 3000개 구매 계약 공고는 이미 작년 5월에, 업체와의 계약은 6월에 이뤄졌다. 해당 예산 역시 비상계엄 이전 국회 심의를 모두 통과했다. 이는 영현백 3000개 구매가 시기상 비상계엄이 논의되기 전이라는 명백한 증거다. 지난 20일 국방부 정례 브리핑에서도 관련 질문에 대해 "(영현백 구매가) 계엄과 연계되어 있다는 인식이나 보도는 사실과 다르다"고 강조했다.
MBC는 이런 명확한 사실관계를 무시한 채, 마치 군이 민간인 살해를 준비했다는 식으로 보도하며 근거 없는 의혹만 부풀렸다. 명백한 왜곡 보도이며, MBC의 실태를 다시 한번 적나라하게 드러낸 사례라 할 수 있다.
언론의 역할은 공정하고 객관적인 보도를 통해 진실을 전달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번 사안에서 MBC는 이러한 역할을 망각하고, 사실을 왜곡하는 보도로 사회적 혼란을 야기했다. ‘취재 결과’라는 미명 아래 확인되지 않은 의혹을 확대 재생산하고, 불안감을 조장하는 행태는 결코 언론의 본분에 부합하지 않는다.
MBC는 이번 보도에 대해 즉각 정정과 사과를 해야 한다. 그러나 MBC는 그렇게 하지 않을 것이다. 늘 그래왔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MBC를 폐지시켜야 한다. 자신의 과오에 대한 반성과 성찰이 없는 언론사는 유지시켜야 할 이유가 없다.
관련기사
김원재 성인권센터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