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생각하는 대학서열은? :조려대(후고구려대) 궁예 안대 디자인과
이대 53개국, 한동대 37개국 학생 몰려와 ‘글로컬 캠퍼스’
이화여대 경제학과 4학년 카미카지 에메 지슬렌(22)은 아프리카 대륙 중앙에 있는 부룬디 출신이다. 이 대학에서 부룬디 국적은 카미카지가 유일하다. 그는 2007년부터 장학금을 받고 다니고 있다. 카미카지는 “이대 최초의 부룬디 사람”이라며 “대학원에서 경제학을 공부한 뒤 모국으로 돌아가 전쟁으로 상처를 입은 나라의 발전을 위해 일하고 싶다”고 말했다. 이 학교를 다니는 외국인 학부·대학원생은 53개국 388명. 외국 학생 중엔 중국 국적자가 많지만 외국인 학생의 국적 수는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외국 학생들을 국내로 불러 들이는 인바운드(In-bound) 국제화가 진화하고 있다. 그동안은 단순히 외국인 학생 수를 늘리는 정도였으나 다양한 국적의 학생들을 불러들여 캠퍼스 국제화에 나서고 있는 것이다.
대학평가팀은 올해 대학평가에서 학위 과정을 다니는 유학생의 외국 국적 수와 인원 수를 종합해 다양성 지수를 산출했다. 다양한 국적의 학생들이 공부하는 캠퍼스가 어디인지 파악하기 위해서였다. 그 결과 국제화의 다양성이 강한 곳은 이화여대·한동대·고려대(안암) 등으로 나타났다.
이화여대는 기숙사에서 외국인 학생들이 공동으로 식사하는 식당엔 음식 성분을 표시하게 하고 있다. 학생들이 속한 문화권에 따라 못 먹는 음식이 있기 때문이다.
한동대는 학위 과정 유학생 수가 올해 1학기 현재 192명이나 이들의 국적이 37개국이다. 다양한 학생들이 캠퍼스에서 활동하고 있다. 학생들이 1년간 한국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한국 학생이나 교수와 일대일 멘토 관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도 특징이다.
대학 캠퍼스가 다양한 국적의 학생들이 들어오면서 가장 달라진 것은 영어 강의가 많아진 것이다. 외국 유학생과 소통하기 위해서는 영어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건국대는 영어 강의 비율이 전체 전공 강의 중 13.8%(15위)에서 28.7%(10위)로 높아졌다. 전체 4년제 일반 대학의 영어 강의 비율(평균 7.8%)을 상회한다. 명지대의 영어 강의 비율도 2.5%(46위)에서 18.3%(15위)로 늘어났다. 명지대는 국제화 부문 22위(지난해 39위)에 올랐다. 숭실대는 지난해 국제화 부문에서 36위였으나 올해 25위로 9계단 상승했다. 학위 과정에 들어온 외국인 학생 수가 늘어난 덕분이다.
하지만 대학의 국제화는 업그레이드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다. 상당수 대학은 외국인 학생 숫자 늘리기에만 매달려 교육 내용의 부실화가 우려된다는 것이다. 지방의 한 대학은 올 1학기 외국인 학생 392명 가운데 베트남 학생 1명을 제외한 391명이 중국인 학생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대학은 다양성 지수로 따져 바닥권이었다.
지방 C대의 기획처장은 “중국이나 베트남 학생이 없으면 실험실 운영이 안 되는 게 지방대의 현실”이라고 말했다. 단순 어학 연수생 등 학위와 무관한 외국인 학생들이 국내에 가장 많이 들어와 있는 대학은 서강대다. 전체 재학생 중 6.5%가 외국인 어학연수생으로 조사됐다.
대학평가팀
-------------------------
서강대는 역시 어학교육으로는 최고인 대학임을 증명하고 있다.
한국 외대보다도 오히려 한국어를 배우려는 외국인 연수생들이 가장 많은 대학...
그만큼 강사들의 수준이 높고 서강대 캠퍼스의 분위기가 서구 대학의 분위기와 비슷하다는 것을 입증한 셈이다.
로욜라 도서관의 책 수준도 타 대학과는 다른 것도 한몫하는 것 같다.
삐까 번쩍한 건물과 외형적 규모만 크다고 훌륭한 도서관은 아니다.
진정한 글로벌화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지극히 작고 사소하게 보일수도 있겠지만
이같은 숨어있는 보석같은 지표 또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첫댓글 아무래도 한국어 어학당이 아루페관에 잘 만들어지고 운영되어 있으니 그렇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