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운사(孤雲寺)
신라 신문왕 원년 (서기681년) 의상대사가 창건하였으며 신라말기 유명한 최치원선생이여지,여사 양대사와 함께 가운루(경북유형문화재제151호)와
우화루를 건축한 이후 최치원선생의 호인(孤雲) 을 빌려서 고운사(孤雲寺)로 바뀌었다고 한다 원래는 고운사(高雲寺)였다고...
현재 조계종16교구의 본사로 의성,안동,영주,봉화,영양에 산재한 60여 대,소 사찰을 관장하고 있으며 사세가 번창했을당시 366간의 건물에 200여명 대중이 상주했으나 지금은 그규모면에서 많이 줄어든 상태이다. (이자료는 의성군에서 발행한 고운사 안내물의 내용을 발췌...)
『가운루(駕雲樓)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 151호
먼저 가운루(駕雲樓) 를 소개한 것은 고운사(孤雲寺)의 절이름에 대한 유래를 말씀드리기 위해서 입니다.신라 말기 이사찰의 이름은 (高雲寺)고운사 였으나 앞에서 말씀드렸듯이 孤雲 최치원 선생이 여지,여사대사등과 함께 가운루와 우화루를 건립하여 그의 호(孤雲)를따서 고운사(孤雲寺)로 개칭되었다고 합니다. 그럼 다시 입구로 가셔서 함께 천년 솔숲길을 걸으면서 천천히 고운사의 매력에 빠져보도록 할까요~
등운산 고운사 라는 큰 현판이 걸린 산문을 지나면 나타나는 비포장길의 솔숲길입니다.물론 차량통행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여행을 목적으로 오셨다면 굳이 산문밖에 차를 주차하시고 솔향을 맡으며 걸으셔도 좋을듯 합니다.오랜시간 다져진 마사로된 비포장길 흔히 유명사찰에서 볼수있는 잘 포장된 CON'C 나 아스팔트 도로가 아니라서 참으로 정겹습니다.약1KM이상의 소나무 숲길을 가시면 별도의 주차장과 사찰의 입구인 '일주문'이 나타납니다.
이 '일주문'을 통과하면 바로 사찰입니다.
자연스런 통나무의 모양새를 그대로 이용한 기둥들이 매우 소박해 보이지만 아름다운 단청들과 어우러져 사찰의 규모를 짐작케합니다.
'일주문'을 통과해서 주차를 하시면서 마음을 비우시고 이승세계와 극락세계의 경계점인 '천왕문'이 나옵니다.
마음을 비우셔야 합니다.사천왕의 부라린 눈동자가 무섭다기 보다는 정겹습니다.
천왕문을 지나면 바로 좌측에서 만나볼수있는건물이 고불전 입니다.요즘 보기 힘든 철로된 비석과 석불을 만나보실수 있습니다.
고불전의 전경입니다.
고불전 내부에 모셔둔 철재비석입니다.
처음보았습니다.
고불전 안에 모셔진 부처님 입니다. 얼굴의 눈코입의 형상은 찾아볼수 없지만 가부좌를 하고 앉아계신 모양으로보아 분명 부처님이 분명한듯...
서두에 소개드렸던 가운루의 모습입니다.
가운루내부에 들어가서 만났던 놀라운 전경~~~스님들은 감자만 먹는 모양입니다.ㅎㅎㅎ 많은 감자에 놀랐습니다.
범종각 에서 본 종입니다.
구름을 닮았다고해서 '운판' 이라고 한다고 누군가 댓글 달아주셨네요~감사합니다.
목어(?) 입니다.
극락전의 전경입니다.
세월의 흔적을 고스란히 안고 있는 퇴색된 단청에서 천년고찰의 아름다움을 만났습니다.
만덕당입니다. 만덕당 툇마루에 앉아서 앞쪽의 산을 바라보면 산등성이의 모습이 마치 보름달처럼 둥글게 보이더군요~
'연수전' 의 전경입니다.(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444호)
단청의 빛이 많이 퇴색되었지만 오히려 세월의 흔적이라 생각하니 아름답게 보이네요.
연수전 앞에서 만난 나비입니다.혹시 부처님이 보내신 화신인지...
약사전에 모셔진 '석조석가여래좌상' 입니다.
『보물 제246호』
'삼층석탑' 입니다.
많이 훼손되고 규모도 작지만 고려시대의 탑이라는것은 알수있을듯합니다.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28호 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