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2001년도 13번 문제인데요..
두번째 문제에서.. H2SO4, H3PO4,HClO4, H3BO3의 산의 세기 비교에서
H3BO3가 가장 약한 산인건 알겠는데..나머지는 어떻게 비교하죠?
2. 헷갈려서 물어보는 건데요 CFSE 계산할때 Dq라는 단위로 써야 하는게 맞나요?
아니면 델타o로 써야하는 건가요?
3. 2002년 11번 문제 에서 스핀선택규칙과 스핀금지의 이유를 물어봤는데
스핀선택규칙-운동량 l이 +-1이 된다와 Laporte 규칙중 어느 것이 맞는 건가요?
그리고 MnO4-는 d-d 전이가 아니지만 강한 흡수띠를 나타내는 이유를 쓰라고 했는데
그게 몬가요?
4. 2003학년 10번 문제의 답을 제가 생각한건데 맞는지 봐주시고 의견 써주세요
10-1. 원자가 띠와 전도띠 사이 간격에 따라 전도성에 차이가 나는데
C는 그 차이가 커서 절연체이고 Pb는 작아서 도체가 된다.
10-2. Pb는 이온 결합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C는 sp3 혼성체인 순수한 공유결합성으로
이루어져 분자 결합이 강하다
10-3. 배위수는 6이고 길이는 350(루트)2이다.
5. 2003학년 11-1의 답은 어떻게 되나요?
질문이 너무 많죠...부족한게 많아서....
혹시 2002학년 기출문제 답안과 2003학년 유기와 무기 문제 기출문제 답안 있으신분은
부탁드립니다...
첫댓글 1 옥소기의 갯수가 많을수록 강산이 됩니다... 옥소기의 갯수는 대충 산소의 갯수에서 수소의 갯수를 빼면 그게 옥소기의 갯수입니다...
2 팔면체 장에서 CFSE를 계산할때는 델타o를 쓰구요 사면체 장에서 구하면 델타t를 사용합니다. 그리고 델타o 와 Dq 모두가능합니다 예를들어 적용시키면 만약 CFSE가 -0.4델타o가 나왔다면 답에 4Dq만큼 안정해졌다고 쓰면 됩니다 음의 부호는 안정해진것이고 양이면 불안정해진것이구요
3.어떤 화합물이 색을 띄는건 두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한가지는 d-d 전이 다른한가지는 charge transfer 입니다MnO4 의 망간의 경우는 Mn7+즉 d0의 전자배치를 가집니다 그래서 d-d 전이 금지가되구요... 따라서 MnO4 는charge transfer에의해 색이 발현됩니다 좀더 세부적이게 얘기하자면 charge transfer중에서도 LMCT
에 해당됩니다 즞 리간드인 산소쪽이 전자가 풍부해서 망간쪽으로 전자가 이동하므로 인해서 색이 나오는것이죠
뒤에문제는 제가 기출문제를 가지고 있지 않아서 답만보고는 어떤문제인지 잘모르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