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불설충심경(佛說忠心經) 해제
1. 개요
4세기 말 인도 출신의 학승 축담무란(竺曇無蘭)이 번역한 것으로, 총 1권으로 되어있다. 이 경은 불도를 닦으려면 마음을 바로 가져야 한다는 것을 설법한 내용이다.
2. 성립과 한역
동진(東晋)시대에 축담무란(竺曇無蘭)이 381년에서 395년 사이에 번역하였다.
3. 주석서와 이역본
별경명(別經名)은 『중심경(中心經)』ㆍ『충심정행경(忠心正行經)』이다.
4. 구성과 내용
1권으로 되어 있다. 불교 수행의 기본은 바른 마음에 있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부처님이 비구들에게 “세상을 살아가는 길은 바른 마음이 근본이니라. 사람의 몸 안에 다섯 가지 도둑이 있어서 사람을 끌고 나쁜 길로 들어가느니라”하심으로부터 시작된다.
이 경은 『불설아함정행경(佛說阿含正行經)』과 거의 같은 내용을 담고 있으나, 앞 부분에 목건련 이야기가 들어 있는 점이 다르다. 즉 부처님은 목건련에게 산이 험하여 불법을 듣지 못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가서 가르침을 펴고 오라 하였다. 목건련이 그곳으로 가서 험한 산을 평지로 만드는 신통력을 보이자 500명의 범지(梵志)들은 놀라면서 결국 목건련을 따라서 부처님에게 오게 되었다. 그러자 부처님은 그 범지들에게 이 경을 설하게 되었다는 설법의 인연 이야기가 덧붙여져 있다. 그들에게 설법한 부처님의 가르침 내용은 『불설아함정행경(佛說阿含正行經)』과 다를 바 없다.
불설충심경(佛說忠心經)
佛說忠心經
동진(東晉) 축담무란(竺曇無蘭) 한역
김성구 번역
東晉天竺三藏竺曇無蘭譯
이와 같이 들었다.
聞如是:
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舍衛國)의 기수급고독원(祇樹給孤獨園)에 계셨다.
그때에 모든 보살과 네 가지 무리의 제자와 하늘ㆍ용ㆍ귀신ㆍ임금ㆍ백성들이 날마다 모여서 경을 들었다. 부처님의 오른편에 있는 이는 목건련(目犍連)이었으니, 신통(神通)이 묘하게 통달하여 지혜가 허공 같으며, 때에 따라 변화하면서 방편과 지혜를 아울러 행하며, 널리 무리를 제도하니 수효가 항하(恒河)의 모래 수와 같이 많았고, 모든 하늘이 머리를 조아려 우러르지 않는 이가 없었다.
一時,佛在舍衛國祇樹給孤獨園。時,諸菩薩、四輩弟子、天龍鬼神、帝王臣民,日會聽經。佛右面比丘,名曰目連,神通妙達、智如虛空,隨時變化、㩲智竝行,普還濟衆數如恒沙,諸天稽首靡不師仰。
부처님께서 목건련에게 말씀하셨다.
“저기에 큰 나라가 있으니, 여기에서 8천 리이니라. 변방에 있기 때문에 지극히 높으신 삼보(三寶)의 영혼을 보지 못하며, 여래의 집착 없는 등정각(等正覺)과 신비롭고 묘하고 맑은 교화를 듣지 못하고 뒤바뀐 여러 사악한 행위[邪行]에 집착하여 그것을 참 말씀으로 여기느니라.”
왕과 백성이 바라문 5백 사람을 받들어 섬기니, 각각 다섯 가지 신통력[五通力]이 있어서 산을 옮기고 강을 멈추게 하며, 몸을 나누어 변화하였다. 나라에 큰 산이 있어서 백성들의 길을 막기 때문에 온 나라가 근심으로 여겼다. 왕은 산이 있어서 백성들을 어렵게 한다고 여기고 갖추어 바라문에게 말하니, 그들이 대답하였다.
“저희들이 자진하여 백성을 위해 해로움을 없애겠사오니, 왕은 슬퍼하지 마옵소서.”
즉시에 산에 둘러앉아서 각각 한마음으로 도를 닦는 선정(禪定)의 힘으로써 산을 옮기려 하였다.
佛告目連:“彼有大國,去斯八千,處在邊境。不睹三尊之至靈、希聞如來、無所著、正眞、等正覺神妙淸化,習於顚倒衆邪之行,以爲眞諦。王及臣民,奉事梵志等五百人,各有五通,力能移山住流,分身變化。國有大山,塞民逕路,擧國患之。王以山爲民艱難,具向梵志說之。梵志答曰:“吾等自爲民除害,王無慼焉!卽繞山坐,各一其心,以道定力,山起欲移。”
부처님께서 목건련에게 말씀하셨다.
“너는 그 나라에 가서 도의 신기한 변화를 나타내어 영원히 바라문을 제도하고, 그 임금과 백성을 구제하여 영원히 세 갈래[三塗]를 여의고, 길이 복당(福堂)에 머무르게 하여라.”
佛告目連:“汝往彼國,現道神化,長度梵志,濟其君民,令遠三塗,永處福堂。”
목건련이 분부를 받들고, 부처님의 위신력을 빌어 곧 광명을 놓아 햇빛을 막고, 그 산마루에 해당하는 공중에 아득히 머무르니, 산이 움직이지 않았다.
目連受教,承佛威神,尋路放光遏絕日明,懸處虛空當其山巓,山爲不動。
바라문은 놀라서 말하였다.
“이 산이 이미 일어났었는데 누가 돌이켰는가? 해는 또 광명이 없으니, 이는 분명 무슨 까닭이 있을 것이다.”
그 가운데 현명한 사람이 있었으니, 선정의 뜻으로써 제자들의 마음을 살피되 누가 더럽고 혼탁해서 산이 옮겨지지 않는가 하였다. 모든 마음을 보아도 모두가 맑고 깨끗한 도가 있고, 나라는 보배 빛으로 번영하여 마음을 더럽히지 않았다. 머리를 우러러보니 산 위에 사람이 하나 있었다. 바라문이 모두 말하였다.
“바로 저 구담(瞿曇)의 제자가 하는 일이로구나.”
바라문이 외쳤다.
“왕이 우리들로 하여금 백성의 근심을 없애게 하시었거늘 그대가 이를 어기려고 하는가?”
목건련이 대답하였다.
“나는 나대로 허공에 달렸거늘 어찌 너희들의 산을 막겠는가.”
梵志驚曰:“此山已起,誰迴之乎?日又無光,此將有以!”中有明者,以定意觀衆弟子心,誰穢濁者,令山不移?睹見諸心,普有道淨,國榮寶色,不穢其心,仰頭觀見,睹一沙門,當其山上。梵志僉曰:“正是瞿曇弟子所爲。”梵志呼曰:“王令吾等爲民除患,汝抑之爲?”目連答曰:“吾自懸虛,誰抑汝等山?”
바라문들이 세 번이나 도력을 다하여 산을 옮기려고 하였지만 산은 세 번 내려가서 마침내 평지가 되었다.
바라문들이 서로를 돌아보면서 말하였다.
“밝은 지혜가 있어서 도덕(道德)이 깊은 이가 곧 우리들의 스승이로다.”
모두가 일어나서 의복을 정돈하고 머리를 조아려 공손히 여쭈었다.
“제자 되기가 소원이오니, 지극한 성인(聖人)을 보여 주옵소서.”
梵志三盡道力,欲令山移,山入三下,遂成平地。梵志顧相謂曰:“夫有明達、道德深者,卽吾等師。咸興整服,稽首敬白:願爲弟子,示吾極聖。”
목건련이 대답하였다.
“너희들이 어두움을 버리고 밝은 데로 나아가려 하는 것은 착한 일이니라. 나에게 거룩한 스승이 계시니, ‘더할 나위 없이 바르고 참되어서 하늘 가운데 하늘[無上正眞天中之天]’이며 온갖 지혜이시다. 너희들은 곧 나를 따라 부처님께로 가자.”
目連答曰:“汝等欲去暝就明者,善!吾有尊師,號無上正眞、天中之天,爲一切智。汝等尋吾往至佛所。”
바라문들이 말하였다.
“부처님의 교화가 스승의 교화와 무엇이 다르겠습니까?”
목건련이 대답하였다.
“부처님은 수미산(須彌山)으로써 겨자씨[芥子]를 삼으시고, 나는 겨자씨로써 수미산을 삼느니라.”
諸梵志曰:“佛之導化,寧殊於師乎?”目連曰:“佛以須彌爲芥子,吾以芥子爲須彌。”
부처님의 공덕을 찬탄하고는 말하였다.
“너희들은 나의 뒤를 따르라.”
목건련은 바라문들을 거느리고, 장수가 팔을 굽혔다가 펴는 것 같은 짧은 순간에 부처님의 앞에 나타나서 모두 그 정상(情狀)을 여쭈었다.
“저는 부처님의 더할 나위 없으시고 바르고 참되시며, 신통한 감화를 받들어 바라문들을 교화하였나이다. 이들은 안팎이 이미 맑고 깨끗하여서 마치 새로운 주단[氎]이 물들이기 쉬운 것과 같사옵니다. 바라옵건대 부처님께서는 그들의 미세한 때를 깨끗이 씻어내셔서 참되고 맑고 깨끗하게 하옵소서.”
바라문들이 부처님을 뵈옵고, 모두가 마음과 뜻이 열리어 사문(沙門)이 되었다.
歎佛德畢,曰:“汝等尋吾後。目連接諸梵志,猶若壯士屈申臂頃,卽在佛前,具陳其情,白佛言:“吾承無上正眞神勢之化,化諸梵志,斯等內外已淨,猶若新㲲易可爲色。唯願世尊!蕩其微垢,令成眞淨。梵志見佛,心開意喜,皆作沙門。”
부처님께서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내가 너희들에게 경을 말하려 하나니, 위의 말도 좋고 중간의 말도 좋고 아래의 말도 좋으니라. 말 가운데 깊이 세상을 건너는 법을 말하리니 다스리는 것으로 근본을 삼느니라. 나의 말을 듣고 뒷세상까지 전하고 실천하라.”
모든 비구가 합장하고 분부를 받았다.
佛言:“我爲汝曹說經,上語亦善、中語亦善、下語亦善,語中深說度世之道,政心爲本。聽我所言,使後世傳行之。諸比丘皆叉手受教。”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사람의 몸에는 다섯 가지 도둑[五賊]이 있어서 사람을 끌고 나쁜 길로 들어가니, 무엇이 다섯 가지인가. 첫째는 빛[色]이요, 둘째는 느낌[痛痒]이며, 셋째는 생각[思想]이요, 넷째는 생사(生死)며, 다섯째는 의식[識]이니라. 이 다섯 가지는 사람이 항상 생각하는 바이니라.”
佛言:“人身中有五賊,牽人入惡道。何等爲五:一者色、二者痛痒、三者思想、四者生死、五者識。是五者,人所常念。”
부처님께서 다시 말씀하셨다.
“사람은 언제나 눈에게 속고, 귀에게 속고, 코에게 속고, 입에게 속고, 몸에게 속느니라. 눈은 보기만 하고 듣지는 못하며, 귀는 듣기만 하고 보지는 못하며, 코는 냄새만을 알고 맛을 알지 못하며, 입은 맛을 알기는 하지만 향기와 냄새는 알지 못하며, 몸은 다만 차고 더운 것만 알고 맛은 알지 못하나니, 이 다섯 가지는 모두가 마음에 속하는 것이어서 마음이 근본이 되느니라.”
佛言:“人常爲目所欺,爲耳所欺,爲鼻所欺,爲口所欺,爲身所欺。目但能見不能聞;耳但能聞不能見;鼻但能知香臭不能知味;口但能知味不能知香臭;身體但能知寒溫不能知味,是五者皆屬心,心爲本。”
부처님께서 다시 말씀하셨다.
“모든 비구여, 도를 구하려 하는 사람이라면 반드시 너희들의 뜻부터 단정히 하여라. 사람은 어리석음을 따르기 때문에 열두 가지 인연이 생겨 생사가 있게 되니, 무엇이 열두 가지인가. 첫째는 어리석음[痴]이요, 둘째는 지어감[行]이며, 셋째는 의식[識]이요, 넷째는 이름과 물질[名色]이며, 다섯째는 여섯 감관[六入]이요, 여섯째는 닿임[觸]이며, 일곱째는 아픔[痛]이요, 여덟째는 욕망[愛]이며, 아홉째는 잡음[受]이요, 열째는 존재[有]며, 열한째는 태어남[生]이요, 열두째는 죽음[死]이니라.
선을 행한 사람은 다시 사람이 되고 악을 행한 사람은 지옥ㆍ아귀ㆍ축생ㆍ귀신과 같은 곳에 나느니라. 내가 앉아서 생각하건대 사람이 어리석기 때문에 생사가 있는 것이니라.
佛言:“諸比丘!欲求道者,當端汝心。人從癡故,隨十二因緣,便有生死。何等爲十二因緣?一者癡、二者行、三者識、四者名色、五者六入、六者栽,七者痛、八者愛、九者受、十者有、十一者生、十二者死。施行善者,復得爲人;施行惡者,入地獄、餓鬼、畜生、鬼神中。佛坐思念人癡故有生死。
무엇이 어리석음의 근본인가. 어리석음 속으로부터 와서 이제 사람으로 태어났지만 다시 어리석은 마음을 풀지 못하고, 눈도 뜨지 못하며, 죽어서 어떤 갈래로 나아갈 것을 알지 못하니, 부처를 보아도 묻지 않고 경을 보아도 읽지 않으며, 사문을 보아도 섬기지 않고 도덕을 믿지 않으며, 부모를 보아도 공경치 않고 세간의 괴로움을 생각지 않고, 지옥 안의 고문이 심한 것을 알지 못하니, 이것이 어리석음이니라. 그러므로 생사가 그치지 않고 사람의 죽음이 호흡 사이에 있으니, 연약[脆弱]한 것에 사람의 목숨보다 더한 것이 없느니라. 사람의 몸에는 세 가지 일이 있으니, 몸이 죽으면 식(識)과 마음과 뜻이 떠나버리느니라. 이 세 가지는 언제나 따라다니나니, 악을 행하는 사람은 지옥ㆍ아귀ㆍ축생ㆍ귀신에 태어나며, 선을 행하여도 세 가지는 또한 따라다니어 하늘에서 나기도 하고 인간 세상에 나기도 하느니라. 이렇듯 다섯 갈래[五道]에 나는 사람은 모두가 마음이 단정치 못한 까닭이니라.”
何等爲癡?本從癡中來,今生爲人復癡,心不解、目不開,不知死當何趣?見佛不問、見經不讀、見沙門不承事、不信道德、見父母不敬、不念世閒苦、不知地獄中考治劇,是名爲癡,故有生死不止。人死如呼吸之間,脆不過於人命。人身中有三事身死:識去、心去、意去。是三者,常相追逐。施行惡者,入地獄、餓鬼、畜生、鬼神中;施行善,者三亦相追逐,或生天上、或生人中;墮是五道中者,皆坐心不端故。”
부처님께서 이어 말씀하셨다.
“모든 비구여, 모두 너희들의 눈과 귀와 코와 입과 몸을 단정히 하라. 몸은 마땅히 땅에서 썩으려니와 혼신(魂神)은 다시 지옥ㆍ아귀ㆍ축생ㆍ귀신에 떨어지지 않을 것이니라. 사람들의 집에 악한 아들이 있어 관리에게 끌려가는 것은 모두가 마음이 단정치 못한 까닭이니라. 사람의 몸에는 백 가지 글자가 있나니 마치 수레에 백 가지 이름이 있는 것과 같으니라. 사람들이 탐심이 많고 성냄을 좋아하여 몸 안의 일을 생각지 않으면 죽어서 지옥에 들어가, 뉘우쳐도 어쩔 수 없게 되느니라. 내가 나라를 버리고, 전륜왕(轉輪王)을 버린 것은 생사를 근심하여 끊고자 했기 때문이고, 세간 사람을 제도하여 무위도(無爲道)를 얻게 하려 했기 때문이니라. 제1의 정진(精進)을 한 사람은 그 자리에서 아라한이 되고, 제2의 정진을 한 사람은 아나함(阿那含)이 될 것이며, 제3의 정진을 한 사람은 사다함(斯陀含)이 될 것이요, 제4의 정진을 한 사람은 수다원(須陀洹)이 될 것이니, 비록 큰 정진을 못할지라도 마땅히 5계를 잘 지녀야 할 것이니라. 즉 죽이지 말고, 훔치지 말며, 음행하지 말고, 거짓말하지 말며, 술을 마시지 말라는 계율을 지킬지니라.”
佛告諸比丘:“皆當端汝目、端汝耳、端汝鼻、端汝口、端汝身、端汝心、身體皆當斷於土,魂神當不復墮泥犂、畜生、鬼神中。視人家有惡子,爲吏所取,皆坐心不端故。人身中有百字,如車有百名。人多貪好怒,不思惟身中事,死入地獄中,後悔無所復及。我棄國捐轉輪王,憂斷生死,欲度世閒人使得無爲道,第一精進者,立得阿羅漢;第二精進者,得阿那含;第三精進者,得斯陁含;第四精進者,得須陁洹;雖不能大精進,當持五戒;不殺、不盜、不淫、不兩舌、不飮酒。”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사람이 앉으나 일어나나 항상 네 가지 일을 생각하게 되어 있으니, 무엇이 네 가지인가. 첫째는 스스로의 몸을 관찰하고 남의 몸을 살피며, 둘째는 스스로의 느낌[痛庠]을 관찰하고 남의 느낌을 살피며, 셋째는 스스로의 뜻을 관찰하고 남의 뜻을 살피며, 넷째는 스스로의 법을 관찰하고 남의 법을 살피는 것이니라. 안에서 어지러워지려 하거든마음을 단정히 하여 관찰하여 굶주려도 극진히 하고 배가 불러도 극진히 하며, 다니어도 극진히 하고, 멈추어도 극진히 하며, 앉아도 극진히 하고, 추워도 극진히 하며, 더워도 극진히 해야 할 것이니라. 눕고 싶은 욕망이 일어나거든 마땅히 놀라 일어나서 마음을 단정히 하고 앉을 것이고, 그래도 마음이 편안해지지 않거든 일어설 것이며, 일어나도 단정치 않거든 거닐 것이요, 그래도 마음이 단정치 못하거든 스스로 바르게 해야 할 것이니라.
비유하자면 국왕이 군사를 이끌고 싸움에 나아갈 때에 건장한 사람을 앞에 세우는 법이니, 앞에 있는 사람이 약해지면 다시 뒤로 돌리고, 뒷사람으로 바꾸는 것과 같으니라.
佛言:“人坐起常當思念四事。何等四?一者自觀身,觀他人身;二者自觀痛痒,觀他人痛痒;三者自觀意,觀他人意;四者自觀法,觀他人法。內復欲亂者,心當自端視身體,飢亦極、飽亦極、行亦極、住亦極、坐亦極、寒亦極、熱亦極。臥欲來時,當自驚起,坐端心坐;心不端者,當起立;立不端者,當經行;心儻不端者,當自正。譬如國王將兵出鬪,健者在前;旣在前鄙復卻,適欲卻著羞後人。
모든 비구여, 이미 처자를 버리고 집을 떠나서 머리를 깎고 사문이 되었으니, 비록 한 세상은 괴로울지라도 뒤에는 길이 해탈하리라.
이미 도를 얻은 사람은 안으로 혼자 기뻐하여, 아내를 보아도 누이나 동생같이 하고, 자식을 보아도 아는 사람[知識]과 같이 하며, 탐내는 마음이 없고, 항상 시방(十方)의 모든 하늘과 백성과 지옥ㆍ아귀ㆍ축생ㆍ귀신ㆍ고물고물하는 벌레들을 불쌍히 여기어 모두가 부귀하고 편안하게 벗어나게 하여 무위도(無爲道)를 얻게 하려고 하며, 벌레와 짐승들을 보면 자비로운 마음으로 불쌍히 여겨 살아 있는 동안 다시는 어리석은 일을 짓지 말 것을 알게 하려고 하느니라. 능히 이러한 뜻이 있는 사람은 항상 스승의 은혜를 생각하고, 부처님을 섬겨도 사람이 부모를 생각하는 것과 같이 하며, 또 감옥에서 죽게 된 죄수가 어떤 어진 사람의 청으로 옥에서 벗어나면 지혜가 있는 사람 이 항상 어진 사람의 은혜를 생각하는 것처럼 하느니라.
비구로서 이미 도를 얻은 사람은 마땅히 부처님을 생각할 것이며, 그와 같이 경전을 생각하되 마치 사람이 음식을 생각하는 것과 같이 해야 할 것이니라.
諸比丘!旣棄家捨妻子、剃鬚髮爲沙門,雖一世勤苦,後長解脫。已得道者,內獨歡喜,視妻如姊弟,視子如知識,無貪愛之心。常當慈哀十方諸天人民、地獄、餓鬼、畜生、蜎飛蠕動之類,皆使富貴安隱度脫,得無爲之道。見蟲獸,當以慈哀愍傷之,知生不復癡。能有是意者,常念師恩,事佛如人念父母;如獄中死罪囚,有賢者往請囚出囚。黠慧者常念賢者恩,比丘已得道者,當念佛,如是念經,當如人念飮食。
모든 비구는 마땅히 서로서로 섬기고 받들되 아우가 형을 섬기는 것처럼 하라. 그 중에 어리석은 사람이 있거든 지혜로운 사람에게 물어서 더욱더 가르쳐야 할 것이니라. 지혜로운 사람에게 물으면 어두운 가운데 등불이 있는 것과 같으리라. 음모(陰謀)하거나 나쁜 짓을 하여 송사를 일으키지 말라. 금은을 보아도 흙과 같이 여기고, 거짓 증언[妄證]을 하여 사람을 죄인으로 만들지 말라. 거짓말을 하여 사람의 뜻을 슬프게 하지 말라. 듣지 못한 것을 들었다 하지 말고, 보지 못한 것을 보았다 하지 말라. 길을 갈 때에는 머리를 숙이고땅 위의 벌레를 살펴 밟아 죽이지 말 것이며, 눈으로 남의 부녀(婦女)를 보아 탐내지 말 것이고, 남의 부녀를 상상하거나 앉아서 생각하지도 말 것이니라. 애욕을 탐하는 마음이 없어지면 비로소 도를 닦을 수 있으리라.”
諸比丘當轉相承事,如弟事兄,中有癡者,當問黠者,展轉相教;問黠者如暝中有燈火,無得陰謀作惡、無得諍訟。見金銀當如見土,無得妄證人入罪法,語言無得妄中傷人意。不聞莫言聞、不見莫言見,行道當低頭視地虫無得蹈殺。無得目貪人婦女,無得形相人婦女。坐自思惟,去貪愛之心,乃得爲道耳。”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모든 비구여, 도를 얻고자 하는 이는 마땅히 마음을 단정히 할지니, 한가한 곳에 앉아서 스스로의 호흡을 조정하며 호흡의 길고 짧음을 알지니라. 길게 호흡하여 들이키지 않아도 몸은 피로해지고, 공기를 막고 호흡하지 않는다 해도 몸은 피로해질 것이니, 분별하고 생각하여 몸은 누가 지은 것인가를 생각할지니라. 마음은 반드시 안으로 관찰하고 밖으로도 관찰하여 스스로 생각하면 기꺼워서 다른 사람보다 다른 마음이 있게 되리니, 이러한 때에 천하의 재물을 쓰지 않아도 마음은 점점 바른 길을 따르게 될 것이니라. 만일 조그만큼이라도 뜻이 움직이면 곧 돌이켜 그 뜻을 지킬지니, 그러면 곧 뜻이 돌아오리라. 비유컨대 거울이 밝지 못하면 형상을 보지 못하거니와 거울을 갈아서 때를 씻어내면 자연히 형상이 보이는 것과 같으니라. 사람이 탐심ㆍ진심ㆍ우치심(愚癡心)을 버리는 것은 마치 거울을 닦는 것과 같으니, 단정히 스스로가 생각하면 천하에는 견고한 것이 없어서 모두가 무상(無常)한 것을 알리라.”
佛告諸比丘:“欲求道者,當端汝心,於閑處坐,自呼吸其氣息,知息短長。長息不報,形體亦極;閉氣不息,形體亦極。分別思惟,形體誰作者?心當視內,亦當觀外。自思惟歡然,與人有異心,當是時不用天下珍寶。心稍欲隨正道,意復小動者,卽還自守其意,意卽爲還。譬如人有鏡,鏡不明則不見其形,磨去其垢,乃自見形。人以去貪婬、瞋恚、愚癡、譬如磨鏡。端自思惟,天下無堅固,皆無有常。”
부처님께서 모든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마음을 지키되 마땅히 네모진 돌과 같이 할지니, 돌이 뜰 가운데 있으면 비가 때려도 깨뜨리지 못하고, 해가 쬐여도 녹이지 못하며, 바람이 불어도 움직이지 못할 것이니, 마음을 지니되 응당 돌과 같이 해야 할 것이니라.”
佛告諸比丘:“持心當如四方石,石在中庭,雨墮不能壞、日炙亦不能消、風吹亦不能動,持心當如石。”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천하 사람들의 마음이, 마치 흐르는 물 위에 떠다니는 풀이 제각기 떠다니면서도 서로 알지 못하는 것과 같으니, 앞의 것은 뒤의 것을 모르고 뒤의 것은 앞의 것을 모르면서도 풀 위를 떠다니는 것은 제각기 변함이 없느니라. 사람의 마음도 그와 같아서 한 생각이 오고 한 생각이 가지만 마치 초목이 앞뒤로 서로 돌아보지 못하는 것과 같으니, 하늘 위와 하늘 아래에 다시는 즐길 것이 없이, 하늘과 땅 사이에 몸을 의탁하다가 몸을 버리면 다시는 죽지 않을 것이니라. 도를 이루어야 비로소 스승의 은혜를 알게 될 것이니 스승을 보면 받들어 섬기고, 보지 못해도 그 가르침을 생각하는데 마치 아들이 부모를 생각하는 것처럼 해야 할 것이니라. 뜻이 안정되면 비로소 일심(一心)이 생기어 모든 천하의 백성과 고물고물하는 벌레들까지를 불쌍하게 여기게 되고, 자기 혼자만이 천하와 다섯 갈래[五道]에서 벗어난 것을 탄식하니, 첫째는 하늘이요, 둘째는 사람이며, 셋째는 축생이요, 넷째는 아귀며, 다섯째는 지옥의 갈래이니라. 이미 아라한을 얻은 사람은 능히 날아다니고, 변화하여 몸에서 물과 불을 내고, 무간(無間)에서 나와서는 무공(武孔)에 들어가니, 세간을 떠나려고 하면 ‘함이 없는 법[無爲法]’을 취하여 가면 이룰 수 있을 것이니라.”
佛言:“天下人心,如流水中有草木,各自流行,不相顧望。前者亦不顧後,後者亦不顧前,草木流行,各自如故。人心亦如是,一念來、一念去,亦如草木前後不相顧望。於天上天下無所復樂,寄居天地閒,棄身不復死。道成乃知師恩,見師卽承事,不見者思惟其教誡。如孝子念父母。意定乃有一心,便慈哀天下人民,蜎飛蠕動之類。坐獨自歎已脫身於天下及五道:一者天道、二者人道、三者畜生道、四者餓鬼道、五者地獄道。已得羅漢道者,便能飛行變化。身中能出水火,能出無閒入無孔,欲離世閒,取無爲去,者卽能。”
부처님께서 모든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도는 배우지 않을 수 없고, 경전은 읽지 않을 수 없느니라.”
부처님께서 이 경을 말씀하시니, 5백 명의 사문이 모두 아라한을 얻었다.
佛告諸比丘:“道不可不學,經不可不讀。”佛說經已,五百沙門皆得阿羅漢道。
아난다가 부처님께 여쭈었다.
“이 모든 사문은 경을 듣고 뜻이 열렸는데, 어쩌면 이렇게도 빠른 것입니까?”
“이 모든 비구는 과거 가섭불(迦葉佛) 때에 이 경을 받아 외웠었는데 중간에 부처님이 안 계셔서 세상의 인연을 따르다 보니 그만두고 다시는 듣지 못하였더니라. 지금 내가 말함으로써 듣는 즉시에 도를 얻은 것이니라.”
阿難白佛言:“是諸沙門,聞經意解,何其疾也?佛言:“此諸比丘,前迦葉佛時受誦斯經;中閒無佛,隨世因緣廢不復聞,至吾爲說,聞卽得道。”
부처님께서 경을 말씀하시니, 모든 보살과 네 가지 무리의 제자와 임금과 백성과 하늘과 용과 귀신이 모두 기뻐하면서 부처님께 예배하였다.
佛說經竟,諸菩薩、四輩弟子、帝王人民、天龍鬼神,無不歡喜,爲佛作禮。
佛說忠心經
癸卯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彫造
『불설충심경』 1권(ABC, K0833 v20, p.1167a01-p.1169a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