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친이란?
1. 육친의 의미
육친(六親)은 사주팔자의 핵심이며
사주 주인공인 일간(日干)과 나머지
7글자와의 관계를 나타낸 것으로서
육신(六神), 십신(十神), 십성(十星)
이라고도 한다.
사주의 주인에 해당하는 일간과
나머지 글자와의 생극 관계와
음양의 차이를 가려 부모형제와
처자식 또는 남편과 같은 혈연관계
뿐 아니라 사회적 지위와 명예,
대인관계, 지식과 기술, 권리와
의무, 의식주와 재산 등을 구분한
것으로 오행의 꽃이다.
육친은 그 특성에 따라서 인성(印星),
관성(官星), 재성(財星), 식상(食傷),
비겁(比劫)의 오성(五星)과 나를
포함하여 육성(六星)이 되는데 이 중에서
앞의 오성을 음양의 구분에 따라 다시
자세히 나누면 십성(十星)이 되는 것이다.
십성은 크게 나누어 정(正)과 편(偏)
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정이란 음양의
배합이 바르게 되어 있음을 나타내고
편이란 음양이 한쪽으로 치우쳐
편중되어 있다는 뜻이다.
육친의 명칭은 비견, 겁재, 식신, 상관,
편재, 정재, 편관, 정관, 편인, 정인
10가지로 나누어진다.
2. 육친 조견표
3. 체(體)와 용(用)의 변동
亥子(水)와 巳午(火)는 체와 용의
음양이 다르다.
子水의 본체는 양이지만 사용할 때는
음으로 본다는 것인데
나머지 亥水와 巳午(火)도
마찬가지가 되겠다.
이해를 돕기 위해서 亥水는 천간의
壬水로 子水는 癸水로
巳火는 丙火로 午火는 丁火로
바꾸어 사용한다고생각하면
혼동이 덜 하겠다.
4. 육친의 정리
운명을 판단하는 데 있어 육친이
차지하고 있는 비중은 매우 중요하다.
육친을 어떻게 해석하고 활용하며
그 변화의 추이를 어떻게 통변하느냐에
따라서 명리학의 성패가 달려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1) 비견(比肩)
비견은 일간과 오행은 물론 음양도
같은 것으로 비아자(比我者)라 한다.
형제, 자매, 친구와 같이 가장 가깝고
잘 이해하는 관계로서 직장 동료나
선 후배, 동업자 또는 동창생, 이웃
사촌이나 동네 사람 등을 말한다.
(2) 겁재(劫財)
일간과 동일한 오행으로서 음양이
서로 다른 것을 겁재라 한다.
형제 중에서도 남자는 누나와 누이
동생이 되고 여자는 오빠나 남동생으로
볼 수 있으며 경쟁자, 라이벌의 뜻도 있다.
특히 양일간이 지지에 겁재가 있으면
양인(羊刃)이라 하여 독선적이거나
권위적인 성격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자기 본위적인 사람이라 하겠다.
(3) 식신(食神)
일간이 생해주는 오행 가운데 음양이
동일한 것이 식신이다.
한편으로 자신을 공격하는 편관을
극제하니 나의 생명을 지켜준다는
뜻으로 수성(壽星)이라고도 한다.
(4) 상관(傷官)
일간이 생하는 것으로 음양이 다른
것을 상관이라고 한다.
정관을 해지고 상하게 만든다는
말로써 남자에게는 자녀와 명예,
직장이고 여자에게는 남편에
해당하는 정관을 상하게 한다는 것은
대단히 치명적인 것으로 해석한다.
보스 기질이 있어 자기를 믿고 따르는
사람이나 약한 자를 위해서는 희생,
봉사정신과 동정심이 강한 면도 있다.
(5) 편재(偏財)
편재는 일간이 극하는 오행 중 음양이
같은 것을 말한다.
편재는 남자에게 아버지 또는 애인이나
첩이 되고 여성에게는 아버지와
시어머니가 된다.
(6) 정재(正財)
일간이 극하여 지배하는 오행 중
음양이 다른 것을 정재라 한다.
의식주 생활을 위해 성실하게 노력한
대가로서 직장인이 월급날 받는 보수,
장사를 통해서 얻어진 정당한
이윤을 말한다.
(7) 편관(偏官)
일간을 극하는 오행 중 음양이
같은 것을 편관이라 한다.
인성이 만물을 생하는 것이라면
편관은 만물을 사별하게 한다.
편관은 남명에게 자식이나 후계자가
되고 여명은 남편이나 남자친구
또는 애인이 된다.
(8) 정관(正官)
일간을 극하는 오행 중 음양이
다른 것을 정관이라 한다.
남자에게는 자식과 명예, 직장이 되고
여자에게는 남편이 되므로 정관의
향방은 대단히 중요하다고 하겠다.
가정에 돌아오면 말이 없고 무뚝뚝
해지는 타입이 많이 있는데
이런 점이 정관의 결점이라고 하겠다.
(9) 편인(偏印)
편인은 일간을 생해주는 오행 중
음양이 같은 것을 말한다.
남녀 모두 가정적으로는 계모, 서모,
이모 등에 해당하고
여자에게는 사위와 손자, 남자에게는
외손녀가 이에 속한다.
(10) 정인(正印)
정인은 일명 인수라고도 한다.
정인은 일간을 생해주는 오행 중
음양이 다른 것을 말한다.
지혜와 진리를 뜻하므로 두니가
명석하며 탐구심이 강하고 또한
노력가이며 성질도 선량하나
일면에는 까다로운 점도 있다.
글쓴이 : 서해
첫댓글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육친을 봅니다~
육친을 봅니다~^^
육친 잘읽고 공부하였습니다
업로드 잘 됬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