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81126 충북불교대학 특강자료/김응철 교수 주제 : 포교활동의 의미와 중요성 1. 열여섯 가지 자리이타의 길 잡하함경 권 33, 929 일체사경 1) 이와 같이 나는 들었습니다. 한때 부처님께서는 카필라성 니그로다라메 동산에 계셨습니다. 그 때에 석가족의 마하나마가, 부처님께 나아가 그 발에 예배하고, 한 쪽에 물러앉아 여쭈었습니다. 2) [마하나마]“세존이시여, 어떤 것을 우바새라 합니까?” 3) [세존] 부처님께서 말씀하셨습니다. “우바새란 집에서 청정하게 살면서, ‘목숨을 마칠 때 까지, 삼보에 귀의하여 우바새가 되겠습니다. 저를 증명하여 알아주십시오.’라고 다짐한 이들이니라.” 4) [마하나마] “세존이시여, 어떤 것을 우바새가 모든 일을 원만히 하는 것이라 합니까?” 5) [세존] 부처님께서 마하나마에게 말씀하셨습니다. “만일 우바새로서 믿음이 있고 계율이 없으면, 그것은 갖추지 못한 것이니, 마땅히 방편으로 꾸준히 힘써, 깨끗한 계율을 갖추어야 한다. 그러나 믿음과 계율은 완전히 갖추었으나, 보시하지 않으면 그것도 또한 완전히 갖추지 못한 것이니, 그러므로 방편으로 꾸준히 힘써, 보시를 닦아 익혀 완전히 갖추어지도록 해야 한다.” 6) [세존] “믿음과 계율과 보시를 갖추었으나, 때에 따라 스님에게 나아가 바른 법을 듣지 않으면, 그것 또한 완전히 갖추지 못한 것이니라. 갖추지 못하였으므로 방편으로 꾸준히 힘써, 때맞추어 절에 나아가 여러 스님을 친견하되, 지극한 마음으로 바른 법을 듣지 않으면, 그것도 완전히 갖추지 못한 것이니라. 그러므로 믿음, 계율, 보시, 그리고 법문을 듣고 닦아 익혀 만족하게 해야 한다.” 6) [세존] “그러나 듣고도 지니지 않으면, 이 또한 완전히 갖추지 못한 것이니라. 갖추지 못하였으므로 꾸준히 힘써, 때에 따라 스님에게 나아가 지극한 마음으로 법을 듣고, 듣고는 잘 지녀야 한다.” 7) [세존] “그러나 그 법의 깊은 뜻을 관찰하지 못하면, 그것도 또한 완전히 갖추지 못한 것이므로, 방편으로 꾸준히 힘써 믿음, 계율, 보시, 법문 들음, 듣고서 지님과 지니고 나서 매우 깊고 묘한 뜻을 잘 관찰해야 한다.” 8) [세존] “그러나 법의 차제와 법의 방향을 알아 수순하지 못하면, 그것 또한 완전히 갖추지 못한 것이다. 완전히 갖추지 못하였으므로 방편으로 꾸준히 힘써, ①믿음, ②계율, ③보시, ④법문 들음과 ⑤받아 지님과, ⑥관찰하여 ⑦깊은 뜻을 밝게 알아, ⑧법의 차제와 법의 방향을 알아 수순하여 행한다. 마하나마여 이것을 우바새가 모든 일을 원만히 하는 것이라 한다.” 9) [마하나마] 마하나마가 여쭈었습니다. “세존이시여, 어떤 것을 우바새가 스스로는 편안하나, 남은 편안하게 하지 못하는 것입니까?” 10) [세존] 부처님께서 말씀하셨습니다. “①어떤 우바새는 스스로는 계율에 서지만, 남은 계율에 서게 하지 못한다. ②스스로는 깨끗한 계율을 지키지만, 남은 바른 계율을 지키게 하지 못한다.” 11) [세존] “③스스로는 보시를 행하지만, 남에게 보시를 행하게 하지 못한다. ④스스로는 절에 나아가 여러 스님을 뵙지만, 남을 권하여 절에 나아가 스님을 뵙게 하지는 못한다. ⑤스스로는 마음을 다하여 법을 듣지만, 남을 권해 바른 법을 즐겨 듣게 하지는 못한다.” 12) [세존] “⑥스스로는 법을 들어 지니지만, 남은 바른 법을 받아 지니게 하지는 못한다. ⑦스스로는 매우 깊은 뜻을 관찰하지만, 남을 권해 깊은 뜻을 관찰하게 하지는 못한다. ⑧스스로는 깊은 법을 알아, 법의 차제와 법의 방향에 수순하여 행하지만, 남을 권하여 법의 차제와 법의 방향에 대하여, 수순하여 행하게 하지는 못한다.” 13) [세존] “마하나마여, 이러한 여덟 가지 법만을 성취하면, 이것을 우바새가 스스로는 편안하게 하나, 남은 편안하게 하지 못하는 것이라 하느니라.” 14) [마하나마] 마하나마가 여쭈었습니다. “세존이시여, 우바새로서 몇 가지 법을 성취하면 스스로도 편안하고, 남도 편안하게 합니까?” 15) [세존] 부처님께서 말씀하셨습니다. “만일 우바새로서 열여섯 가지 법을 성취하면, 스스로도 편안하고, 남도 편안하게 한다. 어떤 것이 열여섯인가?” 16) [세존] “마하나마여, 만일 어떤 우바새가 바른 믿음을 완전히 갖추고, 그것으로써 다른 사람도 믿음을 갖게 한다. 스스로 청정한 계율을 가지고, 그것으로써 남도 청정한 계율을 가지게 한다. 스스로 보시를 행하고, 남도 가르쳐 보시를 행하게 한다. 스스로 절에 나아가 스님을 뵙고, 남도 시켜 스님을 뵈옵게 한다.” 17) [세존] “스스로도 지극한 마음으로 법을 듣고, 남도 또한 듣게 한다. 스스로도 법을 받아 지니고, 다른 사람도 법을 받아 지니게 한다. 스스로 의미를 관찰하고 다른 사람도 관찰하게 하며, 스스로 깊은 뜻을 알고 법의 차제와 법의 방향에 수순하여 수행하며, 또한 다른 사람도 깊은 의미를 요달하고, 법의 차제와 방향을 수순하여 수행하게 한다.” 18) [세존] “마하나마여, 만일 우바새로서 이런 열여섯 가지 법을 성취하면, 그것을 우바새가 스스로도 편안하고, 남도 편안하게 하는 것이라고 한다.” 19) [세존] “마하나마여, 만일 우바새로서 이런 열여섯 가지 법을 성취하면, 저 모든 대중들, 바라문 대중, 크샤트리아 대중, 장자 대중, 사문 대중들이 다 그에게 모일 것이요, 그 대중 가운데서 위엄과 덕이 환히 빛날 것이다.” 20) [세존] “마치 태양은 처음이나 중간이나 마지막에도, 위엄과 덕은 밝게 빛나는 것처럼, 우바새로서 열여섯 가지 법을 성취한 사람도, 처음이나 중간이나 마지막에도, 위엄과 덕이 밝게 빛날 것이다. 마하나마여, 이와 같이 우바새로서 열여섯 가지 법을 성취한 사람은, 세간에서 만나보기 어렵다.” 21) 부처님께서 이와 같이 말씀하시자, 마하나마는 그 말씀을 듣고, 기쁜 마음으로 자리에서 일어나 예배하고 떠나갔습니다. 2. 포교의 어원 1) 천태지의(天台智顗) 대사, 법화현의(法華玄義) 권 10 ․“但論 如來布敎之元始” ․“聖人之布敎 各有歸宗 然非諸家判非一” 성인의 가르침을 펴는데 각각 귀의할 종지가 있다. 그러나 모든 종파가 하나가 아니라고 보는 것은 아니다. 2) 불교학대사전, p.1632 ․“교법․경의를 해석하고 비유 또는 예화를 섞어서 사람들을 교화시키는 것으로 새로운 신도를 획득함으로써 교리를 전파하는 운동” 3) 포교의 부촉 : 포교는 부처님께서 사부대중에게 부촉한 의무사항이다. ① 법화경 : “이제 너희들에게 부촉하노니, 너희들은 마땅히 마음을 다해서 이 가르침을 전파해 널리 증익되도록 하라.” (촉루품 제22) - 포교의 의무 강조 ② 열반경 : “십이부경을 수지․독송․해설함으로써 중생들을 위해 널리 전파하도록 하라.” - /법화경 오종법사 : 수지, 독, 송, 해설, 서사 ③ 화엄경 : “어둠 속에 보물이 있다고 해도 등불 없이는 못 보는 것처럼, 부처님의 가르침을 설하는 사람이 없으면 슬기로워도 깨닫지 못한다.” - 포교사 및 포교활동의 필요성 제시 ④ 지세경 : “너희들은 말세에서 마땅히 무량겁에 걸쳐 모아진 이 가르침을 잘 열어 사람들에게 주며, 널리 사부대중을 분별해 해설함으로써 이 바른 가르침의 씨가 끊어지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하느니라.” - 포교의 의무감 고취 ⑤ 전도선언 : (잡아함경 권 39 승색경, 한글대장경 제 7권 p.154.) ․“비구들이여 자 전도를 떠나라. 많은 사람들의 이익과 행복을 위하여 세상을 불쌍히 여기고, 인천의 이익과 행복과 안락을 위하여 떠나라. 그리고 두 사람이 한길로 가지 말라. 비구들이여, 처음도 좋고 중간도 좋고 끝도 좋으며, 조리와 표현을 갖춘 법을 설하라. 또한 원만 무결하고 청정한 범행을 설하라. 사람들 중에는 마음의 더러움이 적은 자도 있으나 법을 듣지 못한다면 그들도 악도에 떨어지고 말리라. 들으면 깨닫는 것이 아닌가. 비구들이여 나도 또한 법을 설하기 위하여 우루벨라의 세나니가마(장군촌)로 가리라.” 3. 포교의 개념 1) 광의의 개념 : 보살행의 실천 ① 넓은 의미의 포교는 불교 신행활동 그 자체를 말하는 것이다. 불자로서 신행 생활을 하는 것이 바로 부처님의 가르침을 실천하는 것이며 곧 포교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② 보살행의 실천 : 상구보리 하화중생 ③ 불성(佛性)을 깨닫게 하는 것과 관련된 일체의 행위 2) 협의의 개념 ① 좁은 의미의 포교는 불교의 가르침을 직접적으로 전파하기 위하여 활동하는 행위, 비불자를 불자로 만들기 위한 직접적인 활동 ② 불교를 알리고 인식시키는 활동 ③ 불교 신심이 형성되지 않은 사람들에게 신심을 고취시키는 활동 ④ 신행생활의 적극적 실천을 유도하는 활동 3) 포교의 유사개념 ․전법, 전교, 홍교, 전도, 선교, 법시, 중생제도 4. 포교의 의의 1) 종교적 의의 ① 포교는 부처님의 뒤를 따르는 것, 그 가르침을 신명을 다하여 널리 펴는 것, 보살행으로 불국토를 장엄하는 것 ② 포교는 불교의 생명관을 실천하는 과정. 불교의 생명관은 모든 생명을 가진 존재는 불성이 있으며 성불할 수 있다는 철학적 기초에서 출발 ③ 포교는 개체의 자성(自性)을 불성(佛性)으로 전환시키는 과정. 자성이 공(空)함을 깨달아 공성(空性)을 획득하도록 이끌어 주는 것. 치우침이 없는 중도(中道)의 실천 ④ 포교활동을 통하여 한 개체의 자성이 불(佛)에 의지하려는 마음, 불(佛)에 공양하려는 마음, 불(佛)에 감화되려는 마음을 갖도록 해주는 것. 즉, 포교는 불성을 갖도록 귀의(歸依), 공양(供養), 감화(感化) 시키는 활동 2) 사회적 의의 / 사회를 정화시키는 것 - 마음 청정, 국토 청정 ․첫째, 포교는 사회를 청정하게 정화. 보살행의 실천을 통하여 인간의 마음을 청정하게 하고, 국토를 청정하게 한다. 포교는 사회에 청정한 마음 청정한 기운을 감돌게 하는 과정이다. ․둘째, 포교는 사회 개혁 추구. 사회의 구조적 모순과 갈등을 극복하는 역할 담당. ․셋째, 포교는 공동사회 형성의 기초. 사회 구성원들에게 공업중생, 연기적 삶의 의식을 심어 주고 상호 협력하는 방법을 가르친다. ․넷째, 포교는 사회구성원의 종교적 삶, 철학적 사고, 사상, 가치관을 형성하는 과정 ․다섯째, 포교는 사회에 자비와 구제의 원력을 제공 3) 문화적 의의 ․포교는 불교문화를 보급하는 과정. 4) 개인적 의의 / 개인의 가치관을 불교적으로 변화시키는 것 - 회심, 신심 형성을 유도하는 것 5) 포교의 다차원적 측면 ․ 부처님의 차원 : 포교는 대자대비하신 원력으로 모든 중생을 구제하는 것, 부처님의 가르침을 온 세상에 선포하고 그대로 실천하여 성불하도록 하는 것 ․ 종단적 차원 : 종단의 종지를 세상에 펴는 것. 종조의 종지를 바탕으로 그 시대와 장소에 적합하게 포교활동 전개 필요. 종단 조직을 통한 체계적인 포교 활동 ․ 사찰과 포교사 차원 : 사회에서 실천적으로 활동하는 포교의 주체. 포교사는 개인의 원력과 종단의 종지, 그리고 부처님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포교활동을 수행 5. 불교의 특징 1) 귀의하는 종교 : 불․법․승 삼보에 귀의는 불자들의 첫 번째 의무 - 귀의는 수계로 증명되며, 단순하고 맹목적인 믿음과는 구별 2) 참회하는 종교 : 부처님 전에 모든 죄업을 뉘우치고 용서를 구하는 일 - 승가의 참회는 자자와 포살로 증명 - 재가불자의 참회는 시방의 불보살님을 영접, 경전과 염송, 자기의 죄명을 설명, 참회의 서원을 세우고, 가르침대로 증명 받음 3) 정진하는 종교 - 가르침을 깨닫고 실천하기 위하여 부지런히 용맹정진하는 종교 - 육바라밀행을 통한 정진 : 보시, 지계, 인욕, 정진, 선정, 지혜 4) 공양하는 종교 : 귀의처에 대한 공양/법공양과 재공양 - 공양은 공경(恭敬)과 봉양(奉養)의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1) 육법공양 ① 꽃 : 화(花) - 보시(布施)/ 만행(萬行)화 ② 등 : 연등(燃燈) - 지계(持戒), 반야(般若)등 ③ 차 : 다(茶) - 인욕(忍辱) /감로(甘露)다/ 청수(淸水)공양 ④ 향 : 향(香) - 정진(精進)/해탈(解脫)향 ⑤ 과일 : 과(果)- 선정(禪定)/ 보리과(菩提果) ⑥ 쌀 : 미(米) - 지혜(智慧) /미(米) -선열(禪悅)미, 깨달음의 기쁨을 상징 (2) 삼종공양 : 이(理)공양, 경(敬)공양, 행(行)공양 ① 이공양 : 깨달음을 구하려고 마음을 내는 것, 부처님 은혜를 생각하거나 일체중생을 교화하려고 하는 마음을 내는 것 ② 경공양 : 삼가 존경하고 우러러 보는 행위이다. - 귀의, 삼배, 찬탄, 예불 - 공(恭) 내 몸을 겸손하여 낮추는 것, 경(敬) 상대의 덕을 존중하는 것 ③ 행공양 : 선법(善法)을 행하여 부처님에게 공양하는 것 - 명행족, 원행, 교행, 심행, 육도삼행 5) 회향하는 종교 (1) 회전(回轉)취향(趣向) : 자기가 닦은 선근공덕을 다른 대상으로 돌려 향하게 하는 것. (2) 삼종의 회향 : 중생회향, 보리회향, 실제회향 ① 중생회향 : 자기가 지은 선근공덕을 다른 중생에게 회향하여 공덕이익을 주려는 것 ② 보리회향 : 자기가 지은 온갖 선근공덕을 회향하여 보리의 과덕을 얻으려고 취구 하는 것. 지혜를 완성하려는 노력 ③ 실제회향 : 무위적정한 열반을 구하는 것을 말한다. 열반적정을 지향하는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