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어산(神魚山)-631,1m
◈날짜 : 2015년 11월12일 ◈날씨: 흐림
◈들머리 : 경남 김해시 대동면 주중리 성안마을버스정류장
◈산행소요시간 : 4시간20분(09:42-14:02)
◈찾아간 길 : 팔용중정류장(07:10)-108번-남산중정류장:남산정류장(08:02)-97번-불암파출소정류장(09:32)-125번환승-성안마을정류장
◈산행구간 : 성안마을정류장→산해정→369봉→363봉→갈림길→임도갈림길→김해대학갈림길→동림사·산림욕장갈림길→철쭉군락지갈림길→신어산→영구암갈림길→출렁다리→헬기장(영운리고개갈림길)→갈림길→천진암주차장→은하사→은하사주차장→동부스포츠센터정류장
◈산행메모 : 국제신문에서 소개한 신어산,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산행이다. 2011년 04월10일<선암다리-돛대산-신어산-장척산-상동면사무소> 산행이후 다시 신어산을 찾는 매력은 들머리가 새롭기 때문이다. 산해정으로 가기위해 주중마을에서 하차하려는데 버스기사님이 성안삼거리에도 정류장이 있단다. 기사님덕분에 걷는 거리가 단축된다. 하차하여 도로표지에서 산해정을 확인한다.

왼쪽으로 진입하며 산행시작. 여기도 2차선도로다. 왼쪽으로 대중초교, 그 오른쪽 뾰족봉은 돛대산?

만나는 삼거리에서 왼쪽으로 내려선다. 작년에 새로 개통된 대동터널을 이어주는 고속도로다. 그 위로 나중에 올라야 하는 봉이다.

내려가니 지나야 할 2개의 봉이 모두 드러난다.

봉 아래로 잠시 후 만날 기와집 산해정을 보니 길을 물어볼 필요도 없다. 포장도로만 따르면 될 거니까.

나무 뒤로 보이는 산해정.

산해정을 만난다. 그 위로 잠시 후 오르게 될 369봉.

산해정안내판.

산해정 오른쪽으로 돌아가다가 돌아본 모습.

막아서는 369봉.

산해정 뒤로 가면 오른쪽 위에서 국제신문리본이 산길을 열어준다.

생각보다 숨찬 오름이다.

봉에 올라선다.

내려가니 나무 뒤로 신어산이 드러난다.

막아서는 363봉.

여기서도 쓰러진 나무가 길을 덮었다.

올라가다가 봉을 앞두고 돌아본 모습. 오른쪽은 지나온 369봉, 왼쪽은 까치산.

봉에 올라서니 나무 뒤로 우뚝한 신어산.

내려가는 길이 없어진다. 하지만 국제신문리본만 찾아가면 진행이 순조롭다. 안부를 지나 만나는 삼거리.

여기서 직진의 능선을 버리고 왼쪽으로 내려간다.

산허리를 따라가다 왼쪽으로 진행하는데 여기도 능선을 따르는 길이 이어진다. 갑자기 나타난 개, 6~7마리로 보였는데 주인 혼자서 데려간다. 처음으로 만난 사람이니 반갑다. 오름길로 숨차게 올라가니 정면 나무 뒤로 능선이 가까워진다. 돌아서며 숨을 고른다. 나무 뒤로 지나온 369봉, 그 왼쪽으로 363봉이다.

왼쪽 선암다리에서 올라오는 등산로를 만난다. 사각정쉼터 앞에 차량인데 임도도 보인다. 오른쪽으로 우뚝한 봉우리는 605봉, 동신어산이다. 정상은 봉 뒤에 숨었다.

임도를 가로질러 올라가다가 돌아본 모습. 가운데로 지나온 2개의 봉, 그 사이에서 고개를 치켜든 뾰족한 봉은 까치산이다. 그 왼쪽으로 백두산.

정상을 900m 앞두고 김해대학갈림길.

정비된 등산로.

장상 800m를 앞두고 동림사, 삼림욕장갈림길이다.

동신어산누리길 조성사업에 쓰일 등산로정비 자재와 공사모습도 보인다.

신어산에 올라선다(12:12-43).

정상모습.

신어정과 오른쪽으로 신어산 서봉(641m).

가운데에서 오른쪽으로 분성산성, 분성산.

김해시가지 왼쪽으로 낙동강.

왼쪽에 605봉인 동신어산, 그 위로 백양산, 오른쪽으로 엄광산, 구덕산, 승학산이다.

왼쪽으로 장척산, 오른쪽으로 백두산, 가운데 위에서 하늘 금을 그리는 금정산.

정상석은 4년 전 그 모습이다.

정상에 자리한 이정표.

신어산 안내판.


신어정 왼쪽으로 내려서는 길을 따라 서봉으로 향한다. 오른쪽으로 눈길을 붙잡는 바위를 만나고 내려서니 출렁다리다.

안내판과 신령거북바위.


헬기장삼거리에서 만나는 이정표. 오른쪽은 영운리3.0, 상동·묵방2.0km.

오른쪽으로 스치면서 지나온 바위를 당겨본다.

여기서 직진은 낙남정맥을 이어간다. 오늘은 왼쪽으로 하산한다. 목계단도 만나며 내려가다가 돌계단으로 S자를 그리며 고도를 낮춘다. 왼쪽으로 천진암이 보이고 이어서 천진암주차장이다. 숲속도로를 따라간다. 왼쪽으로 만나는 은하사를 둘러본다.

동림사일주문도 만나고.

왼쪽으로 보이는 은하사주차장.

잠시 찻길을 벗어나 산악자전거코스 숲길도 지나간다. 삼거리에 내려서니 오른쪽에서 올라온 시내버스가 왼쪽으로 돌아간다.

버스정류장이 있겠다는 생각에 따라갔더니 왼쪽으로 김해동부스포츠센터 건물과 차량들이 빼곡하게 들어찬 주차장이다. 여기서도 지나온 출렁다리가 보인다.

오른쪽에 버스정류소. 오늘산행은 여기서 마친다.

들어간 버스가 돌아나오 길 기다려도 소식이 없다. 땀에 젖은 옷부터 갈아입으니 몸속으로 스며들던 한기는 막아냈다. 이 정류장은 100번 버스만 운행하는데 배차간격은 40분이란다. 운행정보를 미리 알았더라면 걸어가거나 택시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었다.
#동부스포츠센터정류장(14:40)-100번-인제대정류장(14:55)-98번-남산환승센터(16:00)-757번-윤병원정류장-105번-팔용동주민자치센터정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