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산습지에 살고있는 참개구리 우리나라고유종 대표적 개구리다. 입하(5.6일)에 숲속에서 봄잠깨어나 돌아왔다.
개구리목 개구리과에 속하는 무미목 양서류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하고 개체수도 가장 많다고하나 지금은 귀하다. 흔히 그냥 '개구리'라고 하면 보통은 이 녀석이다. 논, 습지, 연못, 강, 호수, 계곡, 산 등 거의 살지 않는 곳이 없을 정도다. 몸길이도 토종 양서류 한정, 두꺼비 다음으로 몸집이 커서 몸길이 10 cm 내외에 달한다. 청개구리와 이름이 비슷하기 때문에 개구리 종류를 잘 모르는 사람들은 참개구리도 청개구리처럼 굉장히 작다고 잘못 아는 경우가 흔하다. 하지만 참개구리 대형개체는 웬만한 두꺼비랑 비슷할 정도로 크다. 모르는 사람들은 대형 참개구리를 황소개구리라고 착각하기도 한다.
산란기는 4~7월이다. 턱 아래쪽에 울음주머니가 있는 청개구리나 황소개구리와는 달리, 산개구리처럼 양 쪽 볼에 울음주머니 한 쌍이 있다. 개구리 왕눈이에 나오는 투투를 생각하면 이해하기 쉬운데, 실제로 투투가 참개구리를 모티브로 해서 만들어진 캐릭터이다. 울음소리는 언뜻 들으면 끄르르륵 끄르르륵 하고 들리는데, 시골에서는 청개구리 다음으로 시끄럽게 운다. 비교영상 수컷은 암컷 등에 포접하여 체외수정을 시키고 암컷은 400~1000개가량 알을 낳는다. 올챙이는 성장이 매우 빨라서 2~3개월 내에 개구리가 되는데, 성체가 되면 자신이 태어난 곳 근처의 습지에서 살아간다. 참개구리의 올챙이는 크기가 굉장히 크게 자라는 편인데 참개구리 올챙이 중에서도 유독 거대한 놈은 황소개구리 올챙이로 오해받을 정도로 커진다.
다른 개구리와는 달리 사육이 불법이 아니라서 청개구리와 마찬가지로 사람이 잡아다가 키우기도 한다. 등의 적당한 위치를 살짝 누르면 '개굴' 소리가 난다. 올챙이 때는 다른 개구리의 올챙이와 마찬가지로 물이끼나 낙엽, 장구벌레 등을 먹고 살고, 간혹 카니발리즘을 하기도 한다. 성체가 되면 곤충과 벌레를 잡아먹기 시작한다. 보통 잠자리, 나비, 나방, 꿀벌, 메뚜기, 파리매, 거미 등을 잡아먹고 살지만 대형종은 자신보다 작은 동물은 무엇이든 공격한다. 말벌, 여치, 왕사마귀, 왕지네, 장수말벌 등을 포식하기도 하고, 놀랍게도 도마뱀, 장지뱀을 공격한 사례도 있다고 한다. <나무위키에서 가져온글 임 >
4.19 관찰되었던 산개구리의 모습이다. 함께 비교하면서 학습하기를 바란다.
위 사진은 2020.2.22 장산습지에서 관찰하였던 금개구리 출현과 산란모습입니다. 비교 연구할 가치있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