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들1972앙띠장1절3AA
앙티-외디푸스: 자본주의와 정신분열증(1972)
들뢰즈와 가타리, 최명관, 민음사, 1994(원 1972) 608쪽.
Deleuze et Guattari, L'Anti-Oedipe: Capitalisme et Schizophrénie, Minuit, 1972, p. 494.
제1장 욕망하는 기계들 Les machines désirantes 7- [몸의 기능]
1 욕망하는 생산(La production désirantes, 7-15, 15-. [자연-생산]
2. 기관들 없는 신체Le corps sans organes- 15-22 (25-) [자연-산업] <등록>
3. 주체와 향유 Le sujet et la jouissance - 22-29 [사회-자연] <소비>
[[§2절이 반(反)생산에서 기적기계가 주제이듯이, §3절은 독신기계가 주제이다. 자연의 생산과 달리 사회생산이란 측면에서 반(反)생산이며, 독신기계는 소비의 측면이다. 소비는 주체가 있으니 주체의 등장을 알린다. 이 주체는 자아가 아니다. 우리가 §3도 소제목을 재배치 할 것이다.(42LKH)]]
- [향유, 이 용어는 환희도 열락(說樂)도 아니다. 왜 이 용어가 한 때 소비되었던가? 산업사회에서 개인은 산업물을 사용하면서 폐기물(쓰레기)을 만들면서 향유한다고 한다. 그럴까? 향유의 반대급부로서 생고생하는 세계 인민들은 여전하며 더욱 괴롭다. (56QMG)]
1.3.1 셋째 종합: 연접적 종합 또는 소비 생산
- La troisième synthèse : synthèse conjonctive ou prodution de consomation
22 “과정“(Processus)이란 말의 뜻을 그대로 따르면, 등록은 생산에 포개진다(se rabat sur). 그러나 등록의 생산 자체는 생산의 생산에 의하여 생산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소비는 등록의 뒤를 잇는데, 소비생산은 등록의 생산에 의하여 그리고 그 생산 속에서 생산된다. 그래서 등기의 표면에 주체(sujet)의 질서에 속하는 어떤 것이 나타난다. 그것은 고정된 신원(identité, 신분증)을 가지지 않은 낯선 주체이다. (22-23)
“그러므로 이것은자아이고, 그러므로 이것은자아에 속한다‥…” 맑스가 말한 것처럼, 심지어 고통을 겪는 것도 자기를 향유하는(jouir de soi) 것이다. 아마 모든 욕망하는 생산은 이미 그대로 소비요 소모이다. 따라서 쾌감(volupté, 향락)이다. 그러나 이것은 한 주체에게서는 그렇지 않다. 주체는 등록의 표면의 이접들을 가로질러서만 분할된 각 구역의 나머지 부분들 속에 나타난다. (23)
재판장 슈레버는 그 자신은 항상, 이점에 대해 가장 생생한 의식을 가지고 있다. 우주적 향유에는 불변하는 비율이 있기에, 신은 슈레버에게 여자로 변신하는 대신에 슈레버에게 향락(관능)을 찾을 것을 요구한다. ... “이런 향유를 신에게 제공하는 것이 나의 의무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감각적 즐거움이 나에게 만기가 된다면, 나는 여러해 전부터 나의 할당량이 되었던 과도한 고통과 궁핍에 대한 약간의 보상(dédommagement)으로서 그것[즐거움]을 받아들이는 것이 정당하다고 나는 느낀다.” (23)
생산의 에너지로서 리비도의 한 부분이 등록의 에너지(Noumen 누멘)로 변모된 것과 마찬가지로, 후자의 한 부분은 소비 에너지(Voluptas 볼룹타스)로 변모한다. 잔여적 에너지는 무의식의 셋째 종합을 활성화한다. 이 종합은 “그러므로 이것은‥….”의 연접적 종합이며, 소비의 생산이다. (23)
1.3.2 독신기계 - Machine célibataire
우리는 어떻게 이런 종합이 형성되는지 또는 어떻게 주체가 생겨나는 지를 고찰해야 한다. 우리는 욕망하는 기계들과 기관없는 신체의 대립에서 출발하였다. 이 양자간의 반발, 근원적인 억제의 편집증적 기계 속에서 나타났던 바와 같은 반발은, 기적을 일으키는 기계 속에서는 하나의 끌어당김으로 바뀌었다. 끌어당김과 반발 사이에는 대립이 존속한다. (23)
전기의 편집증적 기계들의 뛰어난 디자이너였던 로베르 지(Robert Gie, 1869-?)에 관하여 더 이상 정확한 것을 찾아 볼 수 없는 다음과 같은 말이 전해지고 있따. “그를 괴롭힌 이 전류들로부터 해방될 수 없었기 때문에, 그는 결국 강력하게 그것들 편을 들어, 그것들의 전적인 승리, 그것들의 전적인 개선의 모습으로 그것들을 그리는데 열중했던 것 같다.”
프로이투는 좀 더 정확하게 슈레버 병의 전환기, 즉 슈레버가 자기가 여자가 되는 것을 받아들이고, 자연=생산의 일치(새로운 인간성의 생산)에 그를 인도하는 자생-치유의 과정에 들어갈 때, 그 병의 전환기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슈레버는 자기가 실제로 치유되고 그의 모든 능력을 되찾는 순간, 사실상 여자의 몸짓과 장치 속에 꼼짝 못하게 갇혀 있게 된다. “나는 가끔 상반신은 나체로, 여자처럼 리본들, 가짜 목걸이 등을 걸치고 거울 앞이나 딴 곳에 서 있다: 그러나 이런 일은 내가 혼자 있을 때에만 일어나는 일이다‥…” 이 기계를 가리키기 위하여 “독신기계(machine célibataire)”란 이름을 빌리기로 하자. (24)
이 독신기계란 편집증적 기계와 기적적 기계를 계승한 기계를 지칭하기 위한 것이고, 욕망하는 기계와 기관없는 신체와 사이에 새로운 동맹을 형성한다. 주체(le sujet)는 하나의 여분(un reste)로 생산된다. (24)
소비의 연접[이접] 종합이 “따라서 그것이 그게(ça)이었어!”라는 놀라운 형식하에서 [나온다.]
독신기계라는 이름아래 여러 환상적 기계들이 있다. 많은 작가의 작품들에 독신기계를 찾아낸 사람은 까루쥬(Michel Carrouges, 1910-1988)이다. (24)
뒤샹(Marcel Duchamp, 1887-1968)의 벌거벗은 신부(Mariée mis en nu…)
카프카(Kafka, 1883-1924)의 유형지(Colonie pénitentaire)
루셀(Raymond Roussel 1877-1933)의 .. 기계들
쟈리(Jarry, 1873-1907)의초남성(Surmâle, 1902),
포(Edgar Poë, 1809-1849)의 몇몇 기계들
빌레에(Villiers 1838-1889, 미래의 이브(Eve future, 1886)(24)
그 특징들은 두 가지이다. 첫째로 독신기계는 그 체형들, 망령들, 그 낡은 법률을 가지고 있음으로써 낡은 편집병적 기계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그 자체는 편집증적 기계가 아니다. .. 둘째로 이 변모는 그 기계가 자기 속에 간직하고 있는 등기로 말미암아 기적을 행하는 성격으로써 설명될 수 없다. 그 기계는 가장 높은 등기들(미래의 이브 속에 에디슨이 행한 등록들 참조할 것)을 효과적으로 간직하고 있기는 해도 말이다. (24-25).
1.3.3. 물질, 알, 강도들: 나는 느낀다 - Matière, Oeuf et intensités : je sens
문제는 이렇게 된다. 독신기계는 무엇을 생산하며, 그것을 통해서 생산되는 것은 무엇인가? 강도 있는 양들이 대답일 것이다. (25)
그러나 환각의 자료(나는 본다, 나는 듣는다)와 망상의 자료(나는 ..라고 생각한다)는 좀 더 깊은 데 있는 나는 느낀다(je sens)를 전제로 한다.이 “내가 느낌”은 환각들에게 환각의 대상을, 사유의 망상에게 사유의 내용을 제공한다. “나는 내가 여자가 된다고 느낀다.”, “내가 신이 된다고 느낀다.”는 것은 망상(délire)도, 환각(hallucination)도 아니다. 다만 환각을 투사하거나 망상을 내면화하게 되는 것이다. 망상과 환각은 진실로 1차적인 감응(l’émotion)과 연관하여 2차적인데, 이 1차적 감동은 우선 강도들, 생성들, 이행들만이 체험된다. (25)
이 순수 강도들을 어디서 오는가? 이것들은 앞선 두 개의 힘들, 반발과 견인으로부터 그리고 이 두 힘들의 대립에서부터 온다. 이 강도들은 그것들 자체가 서로 대립하여 하나의 중립상태의 주위에 균형을 이루고 있는 것은 아니다. 이와 반대로 그것들은 기관들 없는 충만 신체를 나타내는 강도=0의 상태로부터 모두 플러스(+)의 값들을 가지고 있다. (25) [운동중인 진자의 보자. 중심은 강도=0이라기보다 양쪽으로 나가는 힘의 집중이다. (56RMF)]
간단히 인력과 척력의 대립은 모두 플러스인 강도 있는 영역들이 열린 계열을 생기게 한다. 이 영역들은 결코 한 체계의 최종적인 균형상태를 나타내지 않고, 한 주체가 지가는 무수한 준안정적(d’états stationnaires métastbles)를 나타낸다. 깊이 있게 분열증 증상(schizoïde)을 드러낸 것은 칸트의 이론인데, 칸트 이론에 의하면 강도있는 양들은 빈자리 없는 물질을 여러 정도들로 채운다. (26)
재판장 슈레버의 학설을 따라서, 인력(l’attraction)과 측력(la répulsion)은 강도있는 신경상태들(états de nerf)을 생산하고, 신경상태들은 기관없는 신체들을 여러 정도들로 채우고, 이 상태들을 거쳐가는 슈레버 주체가 이행한다. 슈레버 주체는 여자가 되기도 하고, 영원회귀의 원을 따라 많은 다른 것들이 되기도 한다. 법원장의 벌거벗은 상반신 위에 있는 젖가슴들은 망상적인 것도 환각적인 것도 아니며, 그것들은 무엇보다도 그의 기관들 없는 신체 위에 있는 강도의 띠(une bande), 강도의 지대(une zone)을 보여준다. (26)
기관들없는 신체는 하나의 알(un oeuf)이다. 그 알에는 축선과 역선들, 경도와 위도들, 측지선들이 가로지르고 있다. .. 여기에는 표상적인 것은 하나도 없고, 모든 것이 살아있고 체험된다. 젖가슴들이 체험하는 감동은 젖가슴들을 닮고 있지 않으며, 젖가슴을 표상하지도 않는다. (26)
정신분열자가 물질에 가장 가까이, 물질의 강력하고 살아있는 중심에 가장 가까이 있게 되는 비통하고 감동적인 경험[이 있다.] “이 감동은 정신이 그것을 찾는 특별한 점 바깥에 있다‥…이 감동은 정신에다가 물질의 뒤집어지는 소리를 들려주며, 영혼 전체가 거기로 흘러들어 백열하는 불 속에 들어간다.”
1.3.4. 그러므로 그것은‥…이다- C'est donc‥…
26 어떻게 사람들이 분열증자를 현실에서 분리되고 생명에서 단절된 자폐증적인 나약한 인간으로 그려보는 것이 가능한가? 설상가상으로 어떻게 정신의학은 그를 정말 무기력한 인간으로 보고, 죽은 것이나 다름없는 기관들 없는 신체의 상태에 환원할 수 있었는가? (26)
어떻게 정신분석은 이번에는 신경증환자(névrosé)를 아빠-엄마만을 영원히 소비하고 다른 것은 일체 소비하지 않는 불쌍한 피조물로 보려 하는가? 어떻게 ‘이것은 그것이(그게 ça)었어!’, ‘그러므로 이것은 나다!’의 연접적 종합을, ‘그러므로 이것은 내 아버지요, 이것은 내 어머니다‥…’라고 하는 외디푸스적 영원하고 슬픈 발견에 환원할 수 있는가. 우리는 아직 이 물음들에 답할 수 없다. ‘그러므로 이것은‥…이다’의 연접적 조직은 외디프스적 조직과 얼마나 낯선가. 어떻게 이 생명 운동(mouvement vital)의 전체를 요약하는가? (27)
주체는 가장자리(le bord)에 있으며, 고정된 동일성을 갖지 못하며, 항상 중심에서 벗언자 있으며, 자기가 지나가는 상태들로부터 결론지어 진다(conclu). 그리하여 원들은 베케트(Samuel Beckett, 1906-1989)의 이름 붙일 수 없는 것(L’Innommable, 1953)에서 묘사된 고리들과 같다. 그것들은 “왈츠를 추듯이 때로는 급작스럽게 그리고 짤막하게 또 때로는 완만하게 포물선을 그린다. 그 상태들은 머피(Murphy), 와트(Watt), 메르시(Mercier)의 상태들... (27)
편집증에 걸린 기계와 기적을 행하는 기계를 관통하여, 기관들 없는 신체에 대한 반발과 인력의 비례들이 독신기계속에서 0으로부터 시작하는 일련의 상태들을 산출한다. 그리고 주체는 그 계열의 상태마다 태어난다. 항상 뒤따르는 상태로 다시 태어난다. 그 뒤따르는 상태는 주체를 순간적으로 규정하는데, 그 주체를 태어나게 하고 다시 태어나게 하는 모든 상태들을 소비하면서 규정한다 (이미 살아온 상태는 그 상태를 사는 주체와 연관에서 먼저(premier)이다). (27)
1.3.5. 역사상의 이름들 - Les noms de l'histoire 27-29
클로소프스키는 니체 주석에서 훌륭하게 보여주었다. 그는 가장 높은 사유와 가장 예리한 지각을 구성하는 기분(Stimmung)을 물질적 감동으로서 제시한다. “원심력은 영원히 중심으로부터 도망가는 것이 아니고, 중심으로부터 다시 도망가기 위하여 다시금 중심으로 접근한다. .... 이로부터 정체성(identité)은 본질적으로 우연(fortuit)이라는 것이고, 일련의 개체성들은 각각이 거쳐온 여정들이어야 한다고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이런 개체와 저런 개체의 우연성(fortuité)이 이들 개체성들 모두를 필연적이게 만든다.”(27-28)
인력과 측력, 도약과 쇠퇴의 힘은 기관없는 신체[무관체]의 특성을 이루고 있는 강도=0에서 출발하는 일련의 강도있는 상태를 생산한다. (28)
문헌학 교수라는 니체-자아(le moi-Nietzsche)란 없다. 즉 갑자기 이성을 잃고, 여러 이상한 인물들과 자기를 동일시하는 니체의 자아란 없다. 일연의 상태들을 통과하는, 그리고 이 상태들에다가 역사상 이름들을 그대로 붙이는 니체적 주체(le sujet-nietzschéen)가 있다. 역사의 모든 이름, 이것이 자아(moi)이다. 주체는 자아가 그 중심을 버리고 떠난 원의 원주 위에 펼쳐진다. 그 중심에는 욕망의 기계, 영원회귀의 독신의 기계가 있다. (28)
우리는 분열증자를 자연인(Homo natura)으로 규정하는데서 출발했는데, 이제는 최종적으로 그를 역사인(Homo historia, 이야기사람)으로 규정해야 되겠다. [등록인은 도구인(Homo faber)일까?] 전자에서 후자로의 길은 휠더린에서 니체에 이르는 길이다. (28)
(“만족감(euphorie, εὐφορία)은 휄더린의 관조적 소외감만큼 오래동안 니체에게서 이어질 수 없다‥… 니체에 일치된 세계의 통찰(세계관)은 [휄더린처럼] 40여년 펼쳐져 있는 풍경들과 정물들의 다소 규칙적인 계속으로 성립되지 않는다. 그것은 한 사건을 회상하는 패러디이다. 한 사람의 배우가 한 나절에 패러디를 흉내낸다. - 왜냐하면 모든 것은 단 하루에 발설되고 다시 사라지기 때문이다. - 그 하루가 12월 31일에서 1월 6일까지 지속되었다고 하더라도 – [그 하루라는 것은] 추론할 수 있는 달력 저편에 있다.”)
[니체 같은 분열증자는 자아의 모습이 아니라 주체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그 주체는 역사의 모든 인물을 분신화한다. 결국 역사의 이름은 이 분열증자의 주체의 다른 이름일 뿐이다. - 헤겔이 역사의 간지(List)란 말은 분열분석에서는 주체의 분열 그리고 대체를 말하는 것이 아닐까 - 니체에서 그래서 그의 이야기(histoire)는 보편의 이야기이며, 따라서 경구의 글을 쓰게 된다. 이 분열증은 자신의 치료제였다. 이 분열이 막혀서 고착되면 자폐(또는 편집증)로 가는 것이 아닐까?(42LKH)] (옮, 3:34, 56QMC)
(5:31, 56RMI)
*
1724 칸트(Immanuel Kant, 1724-1804) 프로이센 철학자.
1770 횔덜린(Johann Christian Friedrich Hölderlin, 1770-1843), 독일 시인, 극작가, 엠페도클레스의 죽음(La Mort d'Empédocle, 1826)
1838 빌리에(Auguste de Villiers de l'Isle-Adam, 1838-1889) 프랑스 작가. L'Ève future, 1886.
1847 에디슨(Thomas Edison, 1847-1931), 미국 과학자, 발명가. 전기기계의 선구자.
1869 지(Robert Gie, 1869-?) 스위스. 병원에 입원하기(1908-1922), 입원 전에 목수. De Robert Gie, L'Art brut, n°3, p. 63. (편집증적 전기기계의 설계자?)
1871 라담(Charles Ladame, 1871-1949) 스위스 소외 의사학회의 회장. 그의 서류함에는 여러 사례들이 있다. <그 사례 중에 로베르 지(Robert Gie, 1869-?)는 1908년 입원, 1922 사회적으로 치유되어 퇴원. 환각, 박해, 알콜중독을 겪었다. 1916년경 L'Art brut, 작품을 내다.> De Robert Gie, L'Art brut, n°3, p. 63. R2x 편집증적 전기기계의 설계자?
1873 루셀(Raymond Roussel, 1877-1933) 프랑스 작가, 극작가, 시인. . ‘기계들’(루셀이 기계들을 수집했던가?)
1883 카프카(Franz Kafka 1883-1924)의 유형지(In der Strafkolonie, 1919: Colonie pénitentaire)
1873 쟈리(Alfred Jarry, 1873-1907)[서른넷], 프랑스 시인, 소설가, 극작가. Gestes et opinions du docteur Faustroll, pataphysicien(achevé en 1898, publié en 1911), Le Surmâle, 1902(roman moderne)
1887 뒤샹(Marcel Duchamp, 1887-1968), 화가, 조각가 “ready-made” 발명가 「Mariée mis en nu .. 벌거벗은 신부」.
1896 아르또(Antonin Artaud, 1896–1948) 프랑스 작가, 시인, 시각예술가, 수필가, 극장주. 반 고흐 사회의 자살(Van Gogh le suicidé de la société, 1947) (9) Le Pèse-nerfs, 1925
1897 비온(Wilfred Ruprecht Bion, 1897-1979), 영국 정신분석가. Elements of Psycho-analysis, 1963(Heinemann, pp. 94 sq.)
1905 클로소프스키(Pierre Klossowski, 1905-2001), Nietzsche et le cercle vicieux, Mercure de France, 1969. - [악순환을 벗어난 니체겠지.]
1906 베케트(Samuel Beckett, 1906-1989) 고도를 기다리며(En attendant Godot, 1952)의 성공으로 일약 그 이름이 알려졌으며, 앙티 테아트르(Anti-Theatre: 反演劇)의 선구자가 되었다. 3부작의 소설 몰로이 Molloy, 1951, 말론은 죽다 Malone meurt, 1951), 이름 붙일 수 없는 것(L‘Innommable, 1953)은 누보 로망(nouveau roman)의 선구적 작품이며, 이 소설 속의 주인공은 움직일 수 없는 인간이며, 마후드(Mahood)와 보름스(Worm)가 등장한다.
1910 까르쥬 (Michel Carrouges (nom de plume de Louis Joseph Couturier), 1910-1988) 프랑스 작가. Les Machines célibataires, 1954(Arcanes),
*
머피의 법칙(Murphy's law)은 미국의 에드워드 공군기지에서 일하던 머피(Edward A. Murphy) 대위에서부터 비롯되었다. 1949년 당시 미국 공군은 조종사들을 대상으로 충격완화장치 실험을 하였다. / 좋은 일을 하는데 과정과 관계없이 결과가 꼬인 경우.
와트(James Watt, 1736-1819)의 법칙에 따르면 "장치가 소비하거나 전달하는 전력은 장치를 통해 흐르는 전압과 전류에 의해 결정됩니다."
루이 세바스티엥 메르시에(Louis-Sébastien Mercier, 1740-1814) "파리풍경(Tableau de Paris)" ‘서기 2440년 또는 미래를 꿈꾸며 (L’An 2440, reve s’il en fut jamais; 1771년)’
(7:03, 56RM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