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님의 사랑안에 머물며
형제애로 피조물인
서로에게 기쁨과 감사함이 되어
평화가 깃들기를 기원합니다..
01. 모임 일시 및 장소
ㅇ일시 : 2025년 3월 02일 일요일 오전 09시
ㅇ장소 : 5호선 광나루역 1번출구(안) 에서
모인후에 출발합니다
02. 코스 : 아차산
광나루역 1번 출구 ○---○ 아차산성 ○---○
아차산 고구려정 ○---○ 해맞이공원 ○---○
아차산 정상 ○---○ 아차산 등산로입구 ○---○
용마산 폭포공원 ○---○ 용마산역 (7호선)
※ 이번 걷기는 코스를 올려 놓았지만
정해지지 않는 길을 발길 닿는대로
자유로운 걷기를 할 예정이기도 합니다.
이 또한 발길가는대로 산길을 따라가며 걷는것이어서
더 재미있기도 하고 좋을듯 합니다~^^
※ 상황에 따라서 코스와 시간이 조정될수 있습니다.
※ 구간 거리 ; 약 4.5 km
※ 소요 시간 ; 약 3시간
03.준비물
- (경)등산화. 식수. 기부금 1,000원
04.난이도 : " 하 "
05.진행자 : 이재전프란치스코
010~4224~1965
06. 참가댓글
○ 참가번호/성명,세례명/하고 싶은 말씀
예) 참가1/ㅇㅇㅇ 세례명 ○○ ○ / 자연의 찬미와 함께~~
아차산은 불뚝 솟아오른 산이라 하여 남행산이라고도 하였고,
마을사람들은 아끼산·아키산·에께산·등으로 부르기도 하였습니다.
조선시대에는 봉화산을 포함하여 망우리 공동묘지지역과 용마봉 등 광범위한 지역을 모두 아차산으로 불렀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그밖에 산이름과 관련하여 전해지는 이야기로는
조선 명종 때 점을 잘 치는 것으로 유명한 홍계관이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명종이 소문을 듣고 그를 불러 쥐가 들어 있는 궤짝으로 능력을 시험하였는데, 그가 숫자를 맞히지 못하자 사형을 명하였다.
그런데 조금 후에 암쥐의 배를 갈라보니 새끼가 들어 있어서
" 아차 " 하고 사형 중지를 명하였으나 이미 때가 늦어
홍계관이 죽어버렸고, 이후 사형집행 장소의 위쪽 산을
아차산이라고 불렀다는 것입니다.
백두대간에서 갈라나온 광주산맥의 끝을 이룹니다.
온달에 대한 전설이 많이 전해져오는데, 온달이 가지고 놀았다는
지름 3m짜리 공기돌 바위와 온달샘 등이 있고
아차산성(사적 234)에서 온달이 전사했다고 전해집니다.
구리시 아치울에서는 해마다 온달장군 추모제가 열립니 다.
전략적 요충지였으며,
고려 때는 광나루와 함께 많은 시인·묵객들이 찾았으며,
조선 중기까지 일대가 목장으로만 개발되어
인가가 드물고 수풀이 무성하였으며, 호랑이, 늑대 같은 많은
야생동물이 살고 있어 임금의 사냥터로 이용되었습니다.
근대 이후 산기슭 중턱까지 주택이 들어서게 되었고
뛰어난 조망으로 인해 이승만 대통령의 별장이 세워지기도 하였고
1970년대 들어 서울특별시가 일대에 아차산공원·용마공원·용마돌산공원 등 도시자연공원을 조성하였고, 산자락에 주택가와 워커힐 호텔앤리조트가 들어서 있습니다.
국가유산은 삼국시대에 고구려·백제·신라가 한강유역을 차지하기 위하여 250년동안 각축을 벌였던 아차산성(사적 234), 아차산봉수대지 신라 문무왕 12년 의상대사가 창건한 영화사(永華寺) 등이 있습니다.
그밖에 고구려 시대에 세워진 것으로 알려진 보루 유적이 있고,
대성암 뒤에는 의상대사가 수련을 했던 곳으로 알려진 천연 암굴 외에
석곽분, 다비터, 강신샘 등 유적이 많습니다.
아차산성(阿且山城)은 사적 제234호로 지정된 문화재입니다.
아차산은 해발 285m로 서울 광진구 광장동 한강 북쪽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백제가 하남위례성에 도읍하였을 때 고구려의 침입을
물리치기 위하여 쌓은 큰 성입니다.
첫댓글 참가 1
이재전프란치스코 참가합니다...
참가2/김성일 임마누엘/오랜만에 좋은 뷰와 옛 역사의 흔적이 회상, 참가합니다.
조창호프란치스코(입회2반)참가합니다..비움을벗하며..
참가 4. 5
이은숙아녜스님. 신오기레오폴드님 참가합니다..
참가 6 / 최성희 아녜스 / 아차산 처음 가는곳 ~
참가 7: 박혜경 마리아고레띠 참석합니다.
참가8: 임마누엘 지인1명 참가합니다
참가 9 송민영율리안나님
이은숙아녜스님 지인이시구요
신수본당이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