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천최씨는 옛날에 높은 벼슬을 하던 저명한 씨족 이었다. 고려의 말엽이며 조선의 초기에 형재삼인이 있었으니 백씨의 휘는 元道니 호는 泉谷이며 목은 李선생에게 수학하여 공민왕조에 생원에 입격하였고 중씨의 휘는 亨道니 호는 大齋요,벼슬은 장예원의 판결사 이었으며 계씨의 휘는 貞道이니 호는 雲山이요 벼슬은 형조참의 이였다,
고조는 승주(承澍)니 상호군 이었고 증조는 윤기(允祺)니 판도판서 이었다, 조는 윤(倫)으로 사온령의 동정 이었고 考는 유진(有珍)이니 전의시의 판사 이었으며 妣는 영천이씨 이시니 울주지사인 중영(重榮)의 따님이시다, 元道의 아들은 자화(自華)이니 승의랑 이요,손자는 潤身이니 문과로 성균관 학유이며,증손은 致溫이니 문과로 영해도호부사 이다,亨道의 아들은 自漢이요,손자는 起潼이며 증손은 文老와 忠老이다, 貞道의 아들에 自郁이고 손자는 起湜과 군자감의 正인 潤湜이다,起湜의 아들 億生은 진사요, 潤湜 아들은 致炳이니,선략장군이다, 백공은 두동생과 더불어 일찍 선고의 喪을 당하고 모친을 효성으로서 섬기며 더욱 모친의 뜻과 몸을 편안히 봉양하였고 세상을 떠나시자 羅峴에 장례를 모시고서 여묘생활로 복제를 마쳤다,
조선조에 좌사간의 벼슬로 불렀으나 나아가지 아니하고 구룡산 천곡에 은거하며 두나라의 임금을 섬기지 않고 자신을 다스리며 산에서 나물케고 물에서 고기를 낚으며 여유롭게 놀며 자신의 즐거움을 삼으니 태재 류방선과 서파 이안유가 때로 서로 나아가서 시 태재께서 시집에 서문을 지어 이르셨기를 상서를 오고가며 장차 왕정(王庭-朝廷)에 드날리려고 하였으나, 끝내 선발되지 못하고 책을 짊어지고 남으로 돌아와서 날마다 동지들과 經史를 토론하고 詩를 읆으며 회포를 보내니 흉금이 맑고 깨끗하였으며 신채는 밝고 울창하여 그의 사람됨을 품평하면 융중(隆中)의 제갈공에 반드시 못지 않으리라 고 하셨으니, 그를 추중함과 칭찬함이 이러한 유형이었다,
同年인 둔촌(遁村) 이집(李集)이 신돈에게 무고를 당하자 그의 부친 생원공을 업고 禍를 피해 도망하여 공에게 투신하자 공이 여러 해를 숨겨주었고 생원공이 세상을 떠나자 그의 모부인 묘소 아래에 사용하지 않는 땅을 할애하여 염을 하여 묘를 쓰게 하였으니 그가 사람들의 위급함을 도와준 높은 의리는 세상에 드물게 있는 바이다, 辛旽이 이미 패망하자 둔촌공이 장차 돌아가려고 하자 공이 詩를 지어주며 말하기를, 누가 君과 나의 양인의 마음을 알랴! 라고 하였으며 지금도 양쪽 가문이 世世로 그 우의를 지키며 바꾸지 않고 있다, 아! 공의 善을 즐기고 義를 좋아하므로 인하여 후손은 끊어지지 않았으나 신체와 혼백을 매장한 그 곳이 傳하여지지 않으니 타인으로부터 보더라도 오히려 개탄이 되거늘 하물며 그 후손이 된자의 마음은 마땅히 어떻겠느냐! 어느날 그의 후손인 영규(榮奎)가 와서 말하기를 장차 라현 선영의 곁에 제단을 설치하여 중공 계공 이공과 아울러 한 해에 한번식 제사를 모시려고 한다,고 하면서 비석에 기록을 나에게 부탁하였다, 옛날 나의 정재선조가 급재에 올라 경축하던 자리에 공이 詩로서 축하하셨고 또한 혼인의 세의도 있는데 지금 어찌 가히 사양할수 있으랴! 인하여 다시 영규에게 대답하며 말하기를, 공의 묘소를 실전 하였음은 가히 한탄이 된다, 그러나 공이 당일에 여묘살이를 하였던 효심을 미루어 보면 공의 영혼은 그야말로 날마다 모부인 곁 좌우에서 주선하면서 떠나지 않을 것임을 나는 아노라,비록 묘소가 보존되어 있더라도 여기서 제사 모심은 또한 불가함은 없으리라,하물며 고례(古禮)에도 묘소를 수선하지 못하여 단선을 하였던 자가 있었슴에랴!,라고 하였다, 제단에는 가히 비석이 없을수 없고 비석에는 가히 비문이 없을 수 없기에 요청하여 간략하게 아름다움을 서술하여 비석의 음기를 삼았으며 잇다라 辭하여 말하겠노라,
그가 살아서는 큰 이불과 긴 베개로 형재가 동거 하였고
그가 죽어서도 같이 제단에 배식 되었으니
우애롭고 이미 즐거웠는데 하물며 모친의 곁에서랴!
己酉1969년 청명절에 창산 조규철은 삼가 지음,
昌山= 창녕조씨,를 일커럼,
1,생원공= 둔촌공 이집의 아버지, 생원 이당(李唐).광주이씨 서조가 됨,
2,라현= 천곡공 어머니와 광주이씨 시조 이당과 천곡공의 노비 제비의 무덤이 있는 산.
으로 경북 영천 북안면 도유리에 있다,
단비명(壇碑銘)
여묘생활로 복제를 마쳤음은 효도가 지극함이요,화락 하고도 즐거웠으니 우애를 이루었네,
벼슬로 불렸으나 나아가지 않았음은 지조가 굳음이요, 사람들의 위급함을 구제 하였으니 의리가 높았네, 아! 만부(曼父)의 징빙(徵憑)이 없음이여! 당부(堂斧=묘소)가 정확하지 못함에 어찌하랴!
이에 셋 유단(壝壇)에서 같이 강신주를 올림이여! 거의 백세토록 싫어함이 없으리라,
기유(己酉 1969)년 모춘절에 취산(鷲山) 신억(辛檍)은 삼가 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