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젊은 중이 장엄하게 우뚝 솟은 조주의 인격에 감탄을 금할 수가 없었다.
동서남북의 모든 문을 열어 놓고 환영하는 조주스님의 자비에 감동하게 된다.
진리에 세계에는 늙고 젊은 것이 있을 리 없다.
서로 진리의 꿀을 한움쿰씩 따 먹고 벙어리처럼 아무 말도 못하고 법열에 잠긴 것이 아닐까?
垂示云 明鏡當臺 妍醜自辨 *鏌鎁在手 殺活臨時 *漢去胡來 胡來漢去 死中得活 活中得死 且道 到這裏又作麽生 若無透關底眼轉身處 到這裏灼然不柰何 且道如何是透關底眼轉身處 試擧看
鏌鎁; 又作鏌邪 莫邪 古代之名劍名 莫邪乃吳(一說楚 或謂韓)之著名鑄劍匠干將之妻 夫妻二人爲協助吳王闔閭 遂鑄陰陽二劍 陽劍稱干將 陰劍稱莫邪 於禪林中 鏌鎁劍轉指自身本來具有之智慧 或師家自由自在接化學人之般若智見 [祖庭事苑六]
漢去胡來; 漢胡去來之貌 漢 漢人 胡 胡人
수시(垂示)하여 이르되 명경이 당대(當臺)하면 연추(妍醜)를 저절로 분변하고 막야(*鏌鎁)가 손에 있으면 살활이 때에 임하는지라(자재함) 한거호래(*漢去胡來)하고 호래한거(胡來漢去)하며 사중(死中)에 득활(得活)하고 활중(活中)에 득사(得死)하나니 그래 말하라, 이 속에 이르러선 또 어떠한가(作麽生). 만약 투관(透關)하는 눈의 전신처(轉身處)가 없다면 이 속에 이르러 작연(灼然; 환한 모양)히 어찌하지 못하리니 그래 말하라, 무엇이 이 투관하는 눈의 전신처인가. 시험삼아 들어보아라(擧看).
鏌鎁; 또 막야(鏌邪)ㆍ막야(莫邪)로 지음. 고대 명검의 이름. 막야(莫邪)는 곧 오(吳; 일설엔 楚, 혹은 이르기를 韓)의 저명한 주검장(鑄劍匠)인 간장(干將)의 처임. 부처(夫妻) 2인이 오왕 합려(闔閭)에게 협조하여 드디어 음양 2검을 주조했는데 양검(陽劍)은 명칭이 간장(干將)이었고 음검은 명칭이 막야였음. 선림 중에서 막야검은 전(轉)하여 자신이 본래 갖추어 있는 지혜, 혹은 사가(師家)가 자유자재하게 학인을 접화(接化)하는 반야의 지견을 가리킴 [조정사원6].
漢去胡來; 한호(漢胡)가 거래하는 모양. 한(漢)은 한인(漢人)이며 호(胡)는 호인(胡人).
【九】擧 僧問*趙州 如何是趙州*河北*河南 總說不著 爛泥裏有刺 不在河南 正在河北 州云 東門西門南門北門開也 相罵饒爾接嘴 相唾饒爾潑水 *見成公案 還見麽 便打
趙州; 趙州從諗 見上第二則 趙州 位於河北省西部之都市 卽趙縣 唐末大中(847-859)年間 趙州從諗禪師 以趙州爲中心 大振南宗禪風 故世稱趙州古佛
河北; 黃河以北地域 唐書地理志二十七曰 分天下爲十道 …… 四曰河北
河南; 黃河以南地域
見成公案; 同現成公案 不借造作安排現成就之公案也
【九】 거(擧)하다. 중이 조주(*趙州)에게 묻되 무엇이 이 조주입니까. 하북하남(*河北*河南)이지만 모두 설함을 얻지 못한다(著은 得). 난니(爛泥; 爛은 腐. 곧 문드러진 진흙) 속에 가시가 있다. 하남에 있지 않으면 바로 하북에 있다. 조주가 이르되 동문ㆍ서문ㆍ남문ㆍ북문이다. 열렸다. 서로 꾸짖으려 하거든 너를 용서하노니(饒) 주둥이를 붙이고 서로 침 뱉으려 하거든 너를 용서하노니 물을 뿌려라(싫컷 욕하고 침 뱉으란 말). 현성공안(*見成公案)이다. 도리어 보느냐. 문득 때리겠다.
趙州; 조주종심(趙州從諗)이니 위 제2칙을 보라. 조주는 하북성 서부에 위치하는 도시니 곧 조현(趙縣). 당말(唐末) 대중(大中; 847-859)년 간 조주종심선사(趙州從諗禪師)가 조주를 중심으로 하여 남종선풍(南宗禪風)을 크게 떨쳤으므로 고로 세칭이 조주고불(趙州古佛)임.
河北; 황하 이북 지역. 당서지리지27에 가로되 천하를 나누어 10도(道)로 삼았따. …… 4를 가로되 하북이다.
河南; 황하 이남 지역.
見成公案; 현성공안(現成公案)과 같음. 조작과 안배(安排)를 빌리지 않는 현재 성취한 공안.
大凡*參禪問道 明究自己 切忌揀擇言句 何故不見趙州擧道 至道無難 唯嫌揀擇 又不見雲門道 如今*禪和子 三箇五箇聚頭*口喃喃地 便道 這箇是*上才語句 那箇是就身處*打出語 不知古人方便門中 爲*初機後學 未明*心地 未見本性 不得已而立箇方便語句 如*祖師西來 單傳心印 直指人心 見性成佛 那裏如此葛藤 須是斬斷語言 *格外*見諦 透脫得去 可謂如龍得水 似虎靠山 久參*先德 有見而未透 透而未明 謂之請益 若是見得透請益 却要語句上周旋 無有凝滯 久參請益 *與賊過梯 其實此事不在言句上 所以雲門道 此事若在言句上 *三乘*十二分敎 豈是無言句 何須達磨西來 *汾陽十八問中 此問謂之*驗主問 亦謂之*探拔問 這僧致箇問頭 也不妨奇特 若不是趙州 也難*抵對他 這僧問如何是趙州 趙州是*本分作家 便向道 東門西門南門北門 僧云 某甲不問這箇趙州 州云 爾問那箇趙州 後人喚作無事禪 賺人不少 何故他問趙州 州答云東門西門南門北門 所以只答他趙州 爾若恁麽會 *三家村裏漢 更是會佛法去 只這便是破滅佛法 如將魚目比況明珠 似則似是則不是 山僧道 不在河南 正在河北 且道是有事是無事 也須是子細始得 *遠錄公云 末後一句 始到牢關 *指南之旨 不在言詮 十日一風 五日一雨 安邦樂業 鼓腹謳歌 謂之太平時節 謂之無事 不是*拍盲便道無事 須是透過關捩子 出得荊棘林 淨裸裸赤灑灑 依前似平常人 由爾有事也得 無事也得 七縱八橫 終不執無定有 有般底人道 本來無*一星事 但只遇茶喫茶 遇飯喫飯 此是*大妄語 謂之未得謂得 未證謂證 元來不曾參得透 見人說心說性說玄說妙 便道只是狂言 本來無事 可謂一盲引衆盲 殊不知 祖師未來時 那裏喚天作地 喚山作水來 爲什麽祖師更西來 諸方陞堂入室 說箇什麽 盡是情識計較 若是情識計較 情盡方見得透 若見得透 依舊天是天 地是地 山是山 水是水 *古人道 心是根法是塵 兩種猶如鏡上痕 到這箇田地 自然淨裸裸赤灑灑 若極則理論 也未是安穩處在 到這裏 人多錯會 *打在無事界裏 佛也不禮 香也不燒 似則也似 爭奈脫體不是 纔問著 却是極則相似 纔拶著 七花八裂 坐在*空腹高心處 及到*臘月三十日 換手搥胸 已是遲了也 這僧恁麽問 趙州恁麽答 且道作麽生摸索 恁麽也不得 不恁麽也不得 畢竟如何 這些子是難處 所以雪竇拈出來 當面示人 趙州一日坐次 侍者報云 大王來也 趙州矍然云 大王萬福 侍者云 未到和尙 州云 又道來也 參到這裏 見到這裏 不妨奇特 *南禪師*拈云 侍者只知報客 不知身在*帝鄕 趙州入草求人 不覺渾身泥水 這些子實處 諸人還知麽 看取雪竇頌
參禪; 靜心審思 探究禪法
禪和子; 又作禪和 和 卽和尙的簡稱 卽指一般禪僧
口喃喃地; 形容多言貌 地 助詞
上才語句; 上級的才能之語句
打出; 打 動詞前綴 無實義 多表示人的動作行爲
初機; 機卽機根 又稱初學 初心 初發心 有時也指初學禪義的僧徒
心地; 心爲萬法之本 能生一切諸法 故曰心地 又修行者依心而近行 故曰心地 又三業中 心業最勝 故曰心地
祖師西來; 指初祖菩提達摩從西方(印度) 來東土(中國)
格外; 超越通常的分別理念與知識見解
見諦; 證悟眞理也
先德; 一對已逝高僧的尊稱 二先參宿德 卽先輩之有德者 此指二
與賊過梯; 與賊梯子 助其輕易地入室偸竊 比喩禪家明知禪法不立言語文字 却仍以言語文字接人 致令學人不能祛除情識知見 過 與(予)也
三乘; 乘者運載之義 三藏法數七 三乘[出法華經] 一聲聞乘 聞佛聲敎而得悟道 故曰聲聞 謂其知苦斷集 慕滅修道 故以此四諦爲乘也 二緣覺乘 因觀十二因緣 覺眞諦理 故名緣覺 謂始觀無明緣乃至老死 此是觀十二因緣生 次觀無明滅乃至老死滅 此是觀十二因緣滅 觀此因緣生滅 卽悟非生非滅 故以此十二因緣爲乘也 三菩薩乘 菩薩 梵語具云菩提薩埵 華言覺有情 謂覺悟一切有情衆生也 菩薩行六度行 廣化衆生 出離生死 故以此六度爲乘也
十二分敎; 與十二部經 十二分經同 三藏法數三十四 十二分經[亦名十二部經出大智度論] 一修多羅 梵語修多羅 華言契經 契者 上契諸佛之理 下契衆生之機 經者 法也常也 十界同遵曰法 三世不易曰常 此聖敎之總名也 又修多羅卽是長行 直說法相 隨其義理長短 不以字數爲拘也 二祇夜 梵語祇夜 華言應頌 又云重頌 謂應前長行之文 重宣其義 或六句四句三句二句 皆名頌也 三伽陀 梵語伽陀 華言諷頌 謂不頌長行 直說偈句 如金光明經中空品等是也 四尼陀羅 梵語尼陀羅 華言因緣 如經中有人問故爲說是事 如律中有人犯是事故制是戒 如來所說一切根本緣起之事 皆名因緣 如法華經中化城喩品說宿世因緣等是也 五伊帝目多 梵語伊帝目多 華言本事 謂說諸菩薩弟子因地所行之事 如法華經中本事品云 藥王菩薩於日月淨明德佛所 得法歡喜 卽然身臂 以爲供養 修諸苦行 求菩提道等是也 六闍多伽 梵語闍多伽 華言本生 謂說佛菩薩本地受生之事 如涅槃經云 比丘當知 我於過去作鹿羆麞兔龍 及作金翅鳥粟散王轉輪聖王之類是也 七阿浮達磨 梵語阿浮達磨 華言未曾有 亦云希有 謂如佛初生時 卽行七步 足迹之處 皆有蓮華 放大光明 遍照十方世界 而發是言 我是度一切衆生生老病死者 地大震動 天雨衆華 樹出音聲 作天妓樂 如是等無量希有之事是也 八婆陀 梵語婆陀 具云阿波陀那 華言譬喩 謂如來說法 爲鈍根者 假譬喩以曉示之 令其開解 如法華經中火宅藥草等喩是也 九優婆提舍 梵語優婆提舍 華言論議 謂諸經中問答辯論諸法之事 如法華經提婆達多品中 智積菩薩與文殊師利 論說妙法等是也 十優陀那 梵語優陀那 華言自說 謂無有人問 如來以他心智 觀衆生機 而自宣說 如楞嚴會上說五十種魔事 不待阿難請問 又如彌陀經無有緣起 自告舍利弗等是也 五十種魔者 謂色受想行識五陰 各有十種也 十一毘佛略 梵語毘佛略 華言方廣 方者法也 廣者大也 又正理曰方 包富曰廣 謂大乘方等經典 其義廣大 猶如虛空也 十二和伽羅 梵語和伽羅 華言授記 謂如來爲諸菩薩辟支佛聲聞 授作佛記 如法華經云 汝阿逸多 於當來世 而成佛道 號曰彌勒等是也
汾陽十八問; 宋代臨濟宗汾陽善昭 將學人對師家之問話 分類爲十八種 禪林間稱爲汾陽十八問 汾陽 位於山西太原西南之汾州 爲汾州之首邑 城中有太子院 善昭住此宏揚禪法 故禪林又以汾陽指稱善昭 五家宗旨纂要上 汾陽十八問 請益問 如何是佛 有所請益而問也 呈解問 天不能蓋 地不能載時如何 自呈見解而問也 察辨問 有一問在和尙處時如何 審察辨難而問也 投機問 和尙道 枯樁豈不是法身邊事 相投機竅而問也 偏僻問 鶴立枯松時如何 偏枯僻執而問也 心行問 皂白未分 乞師方便 自表心行而問也 探拔問 不會底人爲甚麽不疑 探求尋拔而問也 不會問 乍入叢林 乞師指示 不會箇事 直陳而問也 擎擔問 一物不將來時如何 自擎擔所見而問也 置問問 睜目不見邊際時如何 置一問頭而問也 故問問 一切衆生皆有佛性 爲甚狗子却無 設爲一故而問也 借問問 大海有珠 如何取得 別借一端而問也 實問問 只見和尙是僧 如何是佛是法 以其實理而問也 假問問 者箇是殿裏底 如何是佛 假此一端而問也 審問問 一切諸法本來是有 那箇是無 審察其理而問也 徵問問 祖師西來 當爲何事 徵考其故而問也 明問問 不問有言 不問無言 明白直捷而問也 默問問 外道到佛處 無言而立 默然不言而問也 ◆善昭 (947-1024) 宋代臨濟宗僧 太原(山西)人 俗姓兪 少有大智 於一切文字 常能自然通曉 十四歲時父母相繼去世 遂剃髮受具足戒 遊歷諸方 參訪七十一員碩德尊宿 至汝州首山參省念禪師而大悟 嗣其法 後遊衡湘襄沔之間 郡首力邀 請住諸名刹 師皆不允 及首山省念入寂 方應西河道俗之請 住汾州(今山西汾陽)太子院 師平生閱大藏經六遍 廣說宗要 以三句四句三訣十八唱等機用接化學人 名震一時 師足不越閫者三十年 道俗益重 不敢直呼其名 而以汾陽稱之 宋仁宗天聖二年示寂 壽七十八 諡號無德禪師 有汾陽無德禪師語錄 汾陽昭禪師語錄 汾陽昭禪師語要等傳世 [傳燈錄十三 廣燈錄十六 續燈錄一 聯燈會要十一 佛祖歷代通載十八]
驗主問; 又作探拔問 心行問 主 指師家 學人設計問題 以探試師家機略之深淺 稱爲驗主問 見上汾陽十八問
探拔問; 不會底人爲甚麽不疑 探求尋拔而問也 見上汾陽十八問
抵對; 與祇對同 回答 應對
本分作家; 指本色當行的禪師
三家村裏漢; 偏僻小村出生的人 常用作對癡迷不悟者的斥責語
遠錄公云; 指浮山法遠 上(第三則)已出 五燈會元六洛浦山元安禪師 末後一句 始到牢關 鎻斷要津 不通凡聖
指南; 又云司南 亦云司方 藏經音義隨函錄十一 鬼谷子云 鄭人肅愼氏獻白雉還 周公爲作指南車送 恐其迷惑也 帝記云 高辛氏造指南車
拍盲; 謂以手拍打己眼 若欲見物 如盲相似之義
一星事; 星 形容細小 猶言一點
大妄語; 妄語 十惡之一 謂搆造虗言 欲人取信 然妄語有大小之別 大妄語者 謂未得言得 未證言證 以貪圖名利 顯異惑衆 故成大妄語也 小妄語者 謂不見言見 見言不見 聞言不聞 不聞言聞 以慢習矯詐 輕侮前人 則成小妄語也 [傳戒正範]
古人道; 指永嘉玄覺 以下二句永嘉證道歌文
打在; 打 動詞前綴 無實義 多表示人的動作行爲
空腹高心; 謂腹內空虛 却自視甚高
臘月三十日; 本義爲十二月最後一日 禪家多用來喩指人生終了 死期到來
南禪師; 黃龍慧南禪師 慧南(1002-1069) 宋代僧 臨濟宗黃龍派之祖 信州玉山(江西上饒)人 俗姓章 少習儒業 博通經史 十一歲從定水院智鑾出家 十九歲受具足戒 遍參棲賢澄諟 雲峰文悅 石霜楚圓等諸宿 遂嗣石霜楚圓之法 師初住同安崇勝禪院開堂說法 四衆歸趨 未久移至歸宗寺 因堂宇突遭火災 全寺盡毁 遂蒙冤坐獄 吏者百端求隙 而師怡然引咎 久而後赦 乃退居黃檗 於溪上築積翠庵 四方接踵而至 受請至黃龍山崇恩院 大振宗風 遍及湖南 湖北 江西 閩粤等地 此一系統乃蔚成黃龍派 日本臨濟宗之祖榮西卽源出此一流派 師每以公案廣度四衆 室中嘗設佛手驢脚生緣三轉語 以勘驗學人 三十餘年鮮有契其旨者 世稱黃龍三關 師住黃龍時 法席鼎盛 於宋熙寧二年入寂 壽六十八 世稱黃龍慧南 徽宗大觀四年(11 10) 追諡普覺禪師 與同門方會之楊岐派對峙 與臨濟 潙仰 曹洞 雲門 法眼等五家 竝稱爲五家七宗 遺有黃龍南禪師語錄 語要 書尺集等各一卷行世 門下之晦堂祖心 寶峰克文 泐潭洪英等 皆馳名禪林 [續傳燈錄七 禪宗正脈十七 釋氏稽古略四]
拈云; 略稱拈 擧說公案幷加以評議 是禪家說法的一種形式
帝鄕; 帝王之鄕 京師
대범(大凡; 무릇. 대체로 보아) 참선(*參禪)하고 문도(問道)함은 자기를 명구(明究)함이니 언구를 간택함을 간절히 꺼린다. 무슨 연고냐, 보지 못하는가 조주가 들어(擧) 말하되 지도(至道)는 어려움이 없지만 오직 간택을 꺼린다 하며 또 보지 못하는가 운문이 말하되 여금의 선화자(*禪和子)는 3개 5개가 머리를 모아(聚頭) 구남남지(*口喃喃地)에서 곧 말하되 이것(這箇)은 이 상재어구(*上才語句)며 저것(那箇)은 이 신처(身處)로 좇아(就) 만들어 낸(*打出) 말이라 한다(이상은 雲門語) 하니 고인이 방편문 가운데에서 초기(初機)와 후학(後學)이 심지(*心地)를 밝히지 못하여 본성을 보지 못하기 때문에(爲) 부득이하여 저(箇) 방편어구(方便語句)를 세운 줄 알지 못한다. 예컨대(如) 조사가 서래(*祖師西來)하여 심인(心印)을 홑으로 전하되 인심(人心)을 직지(直指)하여 견성성불케 한 어느 속에 이와 같이 갈등하였던가. 모름지기 이는 어언(語言)을 참단(斬斷)하고 격외(*格外)에서 견체(*見諦; 眞諦를 봄)하여 투탈(透脫)해 얻어 가야 가위(可謂) 용이 물을 얻음과 같고 범이 산을 기댐과 비슷하다 하리라. 선덕(*先德)을 구참(久參; 오래 參問함)하여 견(見)은 있으나 투탈(透脫; 透)하지 못했거나 투탈했으나 밝히지 못한 것을 청익(請益)이라고 이르나니 만약 이 보아 궤뚫음을 얻어 청익하더라도 도리어 어구상(語句上)에 주선(周旋)하여 응체(凝滯)가 있지 않음을 요하나니 구참의 청익은 도적에게 사다리를 건네 줌인지라(*與賊過梯) 기실(其實) 차사(此事)는 언구상에 있지 않다. 소이로 운문이 말하되 차사가 만약 언구상에 있다면 삼승(*三乘)의 십이분교(*十二分敎)에 어찌 이 언구가 없으랴, 어찌 이 달마의 서래(西來)를 쓰리오(須) 하였다. 분양십팔문(*汾陽十八問) 중에 이 질문을 험주문(*驗主問)이라고 이르며 또한 이를 일러 탐발문(*探拔問)이라 하나니 이 중이 저(箇) 문두(問頭; 頭는 조사)를 보냄(致; 送詣)이 또한 기특함에 방애되지 않으므로 만약 이 조주가 아니었다면 또한 그에게 저대(*抵對; 응대)하기 어려웠으리라. 이 중이 묻되 무엇이 이 조주입니까. 조주는 이 본분작가(*本分作家)인지라 곧 향해 말하되 동문ㆍ서문ㆍ남문ㆍ북문이다. 중이 이르되 모갑이 저개(這箇)의 조주를 물은 게 아닙니다. 조주가 이르되 네가 어느(那箇) 조주를 묻느냐 하였다. 후인이 무사선(無事禪)이라고 불러 짓나니 사람을 속임이 적지 않다. 무슨 연고냐(무슨 연고로 무사선이라고 불러 짓느냐 하면), 그가 조주를 물었으므로 조주가 답해 이르되 동문ㆍ서문ㆍ남문ㆍ북문이라고 한지라 소이로 다만 그에게 조주로 답했다 하나니 너희가 만약 이렇게 이회(理會)한다면 삼가촌리한(*三家村裏漢)이라도 다시 이, 불법을 이회하여 가리라. 다만 이러하다면(這) 곧 이, 불법을 파멸함이니 마치 고기의 눈을 가지고 명주(明珠)에 비황(比況; 비교)함과 같은지라 비슷하기야 곧 비슷하지만 옳기야 곧 옳지 않다. 산승(원오)이 말하되 하남에 있지 않으면 바로 하북에 있다 하였거니와 그래 말하라, 이는 유사(有事)냐 이는 무사(無事)냐, 또한 반드시 이는 자세해야 비로소 옳다. 원록공(*遠錄公云)이 이르되 말후의 일구(一句)가 비로소 뇌관(牢關)에 이르나니 지남(*指南)의 지취(旨趣; 旨)는 언전(言詮)에 있지 않다. 십일에 한 번 바람 불고 오일에 한 번 비 내려 안방낙업(安邦樂業)하면서 고복구가(鼓腹謳歌)하노라 하니 이를 일러 태평시절이라 하며 이를 일러 무사(無事)라 이르는 것이며 이 박맹(*拍盲)을 곧 무사라고 말하는 게 아니다. 모름지기 이는 관려자(關捩子)를 투과하고 형극림(荊棘林)을 출득(出得)하여 정나라적쇄쇄(淨裸裸赤灑灑)해야 의전(依前)히 평상인과 흡사하다. 이(爾)로 말미암아 유사(有事)도 옳고(得) 무사(無事)도 옳은지라 칠종팔횡(七縱八橫)하여 마침내 무(無)에 집착하거나 유(有)에 머물지(定; 止임) 않는다. 어떤 종류(般; 種ㆍ類임)의 사람은 말하되 본래 일성사(*一星事)도 없으므로 단지(但只) 차를 만나면 차를 먹고 밥을 만나면 밥을 먹는다 하나니 이것은 이 대망어(*大妄語)라 이를 일러 얻지 못한 것을 얻었다 이르고 증(證)하지 못한 것을 증했다 이르는 것이니 원래 일찍이 참구하여 투탈함을 얻지 못하고서 남(人)이 설심설성(說心說性)하고 설현설묘(說玄說妙)함을 보면 곧 말하되 다만 이는 광언(狂言)이며 본래 무사(無事)라 하나니 가위(可謂) 한 맹인이 뭇 맹인을 인도(引導)함이다. 너무 알지 못하나니 조사가 오지 아니한 때 어느 속에서 하늘을 일러 땅이라 하고 산을 일러 물이라 하여 오겠는가, 무엇 때문에(爲) 조사가 다시 서쪽에서 왔으리오. 제방에서 승당(陞堂)하고 입실(入室)하여 저(箇) 무엇을 설하는가 하면 모두 이 정식(情識)으로 계교(計較)함이다. 만약 이 정식으로 계교할진대 정(情)이 없어져야(盡) 비로소 보아 꿰뚫음을 얻으리라. 만약 보아 꿰뚫음을 얻으면 의구히 하늘은 이 하늘이며 땅은 이 땅이며 산은 이 산이며 물은 이 물이다. 고인이 말하되(*古人道) 심은 이 근(根)이며 법은 이 진(塵)이니 두 가지가 마치 경상(鏡上)의 흔적과 같다 했으니 이런(這箇) 전지(田地)에 이르면 자연히 정나라정쇄쇄(淨裸裸赤灑灑)하겠지만 만약 극칙(極則; 지극한 법칙)으로 이론(理論)한다면 또한 이 안온하지 못한 곳이 있으므로 이 속에 이르러선 사람들이 많이들 착회(錯會)하여 무사계(無事界) 속에 있으면서(*打在) 불타에게도 예배하지 않고 향도 사르지 않나니 비슷하기야 곧 또한 비슷하지만 탈체(脫體; 전체)가 옳지 않음을 어찌하리오. 겨우 문착(問著)하면 도리어 이 극칙과 상사(相似)하나 겨우 찰착(拶著)하면 칠화팔렬(七花八裂)하며 공복고심처(*空腹高心處)에 앉아 있다가 납월삼십일(*臘月三十日)에 이르면(及到) 손을 바꾸어가며 가슴을 쳐도 이미 이 늦어버린(遲了) 것이다. 이 중이 이러히 물으매 조주가 이러히 답하니 그래 말하라 어떻게(作麽生) 모색해야 하는가. 이러하여도(恁麽也) 얻지 못하고 이러하지 않아도 얻지 못하나니 필경 어떻게 해야 하는가(如何). 이(這) 사자(些子; 極小)는 이 어려운 곳인지라 소이로 설두가 염출(拈出)하여 와서 당면(當面)에 시인(示人; 사람에게 보이다)하니라. 조주가 어느 날 앉은 차에 시자가 알려 이르되 대왕이 오신답니다. 조주가 확연(矍然; 놀라서 획 돌아봄)하여 이르되 대왕은 만복하십시오. 시자가 이르되 도착하지 않으셨습니다 화상이시여. 조주가 이르되 또 오신다고 말하려무나. 참구하여 이 속에 이르고 보아 이 속에 이르러야 기특함에 방애되지 않는다. 남선사(*南禪師)가 염운(*拈云)하되 시자는 다만 보객(報客) 노릇만 할 줄 알았지 몸이 제향(*帝鄕)에 있는 줄 알지 못하며 조주는 입초(入草)하여 사람을 구(求)하다가 온몸(渾身)이 진흙물인 줄 깨닫지 못한다 하였다. 이(這) 사자(些子)의 실처(實處)를 제인은 도리어 아느냐, 설두의 송을 간취(看取)하라.
參禪; 정심(靜心)으로 심사(審思)하며 선법(禪法)을 탐구함.
禪和子; 또 선화(禪和)로 지음. 화는 곧 화상의 간칭(簡稱). 곧 일반 선승을 가리킴.
口喃喃地; 말이 많은 모양을 형용. 지(地)는 조사.
上才語句; 상급(上級)의 재능의 어구.
打出; 타(打)는 동사의 전철(前綴; 접두사)이니 실의(實義)가 없으며 다분히 사람의 동작과 행위를 표시함.
初機; 기(機)는 곧 기근(機根). 또 명칭이 초학ㆍ초심ㆍ초발심이니 어떤 때엔 또 처음으로 선의(禪義)를 배우는 승도(僧徒)를 가리킴.
心地; 심은 만법의 근본이며 능히 일체의 제법을 내는지라 고로 가로되 심지임. 또 수행자가 심에 의해 행에 접근하는지라 고로 가로되 심지며 또 3업 중에 심업이 가장 수승하므로 고로 가로되 심지임.
祖師西來; 초조 보리달마가 서방(인도)으로부터 동토(중국)에 옴을 가리킴.
格外; 통상적 분별과 이념, 지식과 견해를 초월함.
見諦; 진리를 증오(證悟)함.
先德; 1. 이미 서거한 고승에 대한 존칭. 2. 선참(先參)의 숙덕(宿德)이니 곧 선배의 유덕(有德)한 자. 여기에선 2를 가리킴.
與賊過梯; 도적에게 사다리를 줌이니 그가 경이(輕易)하게 입실하여 도둑질(偸竊)하도록 도움임. 선가가 선법은 언어와 문자를 세우지 않음을 명확히 알면서 도리어 그대로 언어와 문자로 접인(接人)하여 학인으로 하여금 능히 정식(情識)과 지견을 거제(祛除; 消除)하지 못하게 함에 비유함. 과(過)는 여(與; 予)임.
三乘; 승(乘)이란 것은 운재(運載)의 뜻. 삼장법수7. 3(乘) [출법화경] 1. 성문승(聲聞乘) 불타의 성교(聲敎)를 듣고 오도(悟道)를 얻나니 고로 가로되 성문이다. 이르자면 그가 고(苦)를 알고 집(集)을 끊고 멸(滅)을 흠모해 도를 닦나니 고로 이 4제(諦)로써 승(乘)을 삼는다. 2 연각승(緣覺乘) 12인연(因緣)을 관(觀)함으로 인해 진제(眞諦)의 이치를 깨치므로 고로 이름이 연각이다. 이르자면 처음에 무명(無明)의 인연 내지 노사(老死)를 관하나니 이는 곧 12인연의 생(生)을 관함이며 다음에 무명의 멸(滅) 내지 노사(老死)의 멸을 관하나니 이는 곧 십이인연의 멸을 관함이다. 이 인연의 생멸을 관하여 곧 비생비멸(非生非滅)을 깨치나니 고로 이 12인연으로써 승(乘)을 삼는다. 3 보살승(菩薩乘) 보살은 범어니 갖추어 이르면 보리살타(菩提薩埵)며 중화(中華; 중국)의 말로는 각유정(覺有情)이니 이르자면 일체의 유정중생(有情衆生)을 각오(覺悟)케 함이다. 보살은 육도(六度; 六波羅蜜)의 행을 행하여 널리 중생을 교화하여 생사를 출리(出離)케 하나니 고로 이 6도(度)로써 승(乘)을 삼는다.
十二分敎; 12부경(十二部經)ㆍ12분경(十二分經)과 같음. 삼장법수34 십이분경(十二分經) [또한 이름이 12부경. 출대지도론] 1. 수다라(修多羅; 梵 sūtra) 범어 수다라는 화언(華言; 中華의 말)으론 계경(契經)이다. 계(契)란 것은 위로 제불의 이치에 계합(契合)하고 아래로 중생의 근기(根機)에 계합함이다. 경(經)이란 것은 법(法)이며 상(常)이다. 10계(界)가 한가지로 준수(遵守)함을 가로되 법이며 3세(世)에 바뀌지 않음을 가로되 상(常)이니 이는 성교(聖敎)의 총명(總名)이다. 또 수다라는 곧 이 장행(長行)이니 바로 법상(法相)을 설해 그 의리(義理)의 장단(長短)을 따르고 글자 수로써 구애되지 않는다. 2. 기야(祇夜; 梵 geya) 범어 기야는 화언으론 응송(應頌)이며 또 이르되 중송(重頌)이니 이르자면 앞의 장행의 문(文)에 응하여 거듭 그 뜻을 선포(宣布)함이다. 혹은 6구(句)ㆍ4구ㆍ3구ㆍ2구를 다 송(頌)이라고 이름한다. 3. 가타(伽陀; 梵 gāthā) 범어 가타는 화언으론 풍송(諷頌)이다. 이르자면 장행을 송(頌)하지 않고 바로 게구(偈句)를 설함이니 예컨대(如) 금광명경(金光明經) 중의 공품(空品) 등이 이것이다. 4. 니다라(尼陀羅; 梵 nidāna) 범어 니다라는 화언으론 인연이다. 예컨대(如) 경중(經中)에 어떤 사람이 묻는 고로 이 일을 설하나니 예컨대(如) 율중(律中)에 어떤 사람이 이 일을 범하는 고로 이 계를 제정(制定)함이다. 여래가 설하는 바 일체의 근본 연기(緣起)의 일을 다 인연이라고 이름한다. 예컨대(如) 법화경 중 화성유품(化城喩品)에서 숙세(宿世)의 인연을 설하는 등이 이것이다. 5. 이제목다(伊帝目多; 梵 itivṛttaka) 범어 이제목다는 화언으론 본사(本事)니 이르자면 모든 보살과 제자의 인지(因地)에서 행한 바의 일을 설함이니 예컨대(如) 법화경 중 본사품(本事品)에 이르되 약왕보살(藥王菩薩)이 일월정명덕불(日月淨明德佛)의 처소에서 법을 얻어 환희하여 곧 몸과 팔을 태워 공양으로 삼아 모든 고행을 닦아 보리도(菩提道)를 구하는 등이 이것이다. 6. 사다가(闍多伽; 梵 jātaka) 범어 사다가는 화언으론 본생(本生)이니 이르자면 부처와 보살의 본지(本地)의 수생(受生)의 일을 설함이다. 예컨대(如) 열반경에 이르되 비구여 마땅히 알라, 내가 과거에 사슴ㆍ큰 곰ㆍ노루ㆍ토끼ㆍ용을 지었으며 및 금시조ㆍ속산왕(粟散王)ㆍ전륜성왕을 지었다 한 종류가 이것이다. 7. 아부달마(阿浮達磨; 梵 adbhuta-dharma) 범어 아부달마는 화언으론 미증유(未曾有)며 또는 이르되 희유(希有)니 이르자면 예컨대(如) 부처가 처음 탄생할 때 곧 일곱 걸음를 행하고 족적(足迹)의 곳에 다 연화(蓮華)가 있어 큰 광명을 놓아 시방세계를 두루 비추면서 이 말씀을 발하되 나는 곧 일체중생의 생로병사(生老病死)를 제도하는 자이니라. 땅이 크게 진동하고 하늘에서 뭇 꽃을 내리고 나무들이 음성을 내어 천기(天妓)의 음악을 짓는 이와 같은 등의 무량한 희유(希有)의 일이 이것이다. 8. 바타(婆陀) 범어 바타는 갖추어 이르자면 아바다나(阿波陀那; 梵 avadāna)니 화언으론 비유(譬喩)다. 이르자면 여래가 설법하면서 둔근(鈍根)인 자를 위해 비유를 빌려 타일러서 그에게 보여 그로 하여금 개해(開解)케 함이다. 예컨대(如) 법화경 중 화택(火宅)ㆍ약초(藥草) 등의 비유가 이것이다. 9. 우바제사(優婆提舍; 梵 upadeśa) 범어 우바제사는 화언으론 논의(論議)니 이르자면 제경(諸經) 중에 제법(諸法)의 일을 문답하고 변론(辯論)함이다. 예컨대(如) 법화경 제바달다품(提婆達多品) 중 지적보살(智積菩薩)과 문수사리가 묘법(妙法)을 논설하는 등이 이것이다. 10. 우다나(優陀那; 梵 udāna) 범어 우다나는 화언으로 자설(自說)이니 이르자면 묻는 사람이 있지 않는데 여래가 타심지(他心智)로 중생의 근기를 관하여 스스로 선설(宣說)함이다. 예컨대(如) 릉엄회상(楞嚴會上)에서 50종 마사(魔事)를 설했는데 아난의 청문(請問)을 기다리지 않았다. 또 예컨대(如) 미타경은 연기(緣起)가 있지 않는데 스스로 사리불(舍利弗) 등에게 고한 등이 이것이다. 50종 마(魔)란 것은 이르자면 색수상행식(色受想行識)의 5음(陰)에 각기 10종이 있다. 11. 비불략(毗佛略; 梵 vaipulya) 범어 비불략은 화언으로 방광(方廣)이니 방(方)이란 것은 법(法)이며 광(廣)이란 것은 대(大)다. 또 바른 이치를 가로되 방(方)이며 포괄(包括)함이 풍부함을 가로되 광(廣)이다. 이르자면 대승방등경전(大乘方等經典)은 그 뜻이 광대하여 마치 허공과 같음이다. 12. 화가라(和伽羅; 梵 vyākaraṇa) 범어 화가라는 화언으론 수기(授記)다. 이르자면 여래가 모든 보살ㆍ벽지불(辟支佛)ㆍ성문(聲聞)을 위해 작불(作佛)의 기(記)를 줌이니 예컨대(如) 법화경에 이르되 너 아일다(阿逸多)는 당래세(當來世)에 불도를 이루리니 호하여 가로되 미륵이니라 한 등이 이것이다.
汾陽十八問; 송대 임제종 분양선소(汾陽善昭)가 학인이 사가(師家)를 상대로 문화(問話)함을 가지고 분류하여 18종으로 삼았으니 선림 사이에서 일컬어 분양십팔문이라 함. 분양은 산서(山西) 태원(太原) 서남의 분주(汾州)에 위치하며 분주의 수읍(首邑)이 됨. 성중(城中)에 태자원이 있고 선소가 여기에 거주하며 선법을 굉양(宏揚)했음. 고로 선림에서 또 분양으로써 선소를 지칭함. 오가종지찬요상(五家宗旨纂要上). 분양십팔문(汾陽十八問) 청익문(請益問) 무엇이 이 부처입니까. 청익하는 바가 있어 물음이다. 정해문(呈解問) 하늘이 능히 덮지 못하고 땅이 능히 싣지 못할 때는 어떻습니까. 스스로 견해를 보이며 물음이다. 찰변문(察辨問) 한 질문이 있으나 화상처(和尙處)에 있을 때는 어떻습니까. 심찰(審察; 살피다)하며 변난(辨難; 분변하면서 힐난함)하면서 물음이다. 투기문(投機問) 화상이 말씀한 고장(枯樁; 마른 말뚝)이 어찌 이 법신변(法身邊)의 일이 아니겠습니까. 서로 투기(投機)하고 뚫으면서(竅) 물음이다. 편벽문(偏僻問) 학이 마른 소나무에 섰을 때는 어떻습니까. 편고(偏枯)로 벽집(僻執)하여 물음이다. 심행문(心行問) 조백(皂白: 흑백)이 나뉘지 않았습니다. 스님의 방편을 구걸합니다. 스스로 심행을 표하며 물음이다. 탐발문(探拔問) 알지 못하는 사람이 무엇 때문에 의심하지 않습니까. 탐구(探求)하고 심발(尋拔)하면서 물음이다. 불회문(不會問) 막 총림에 들었으니 스님의 지시를 구걸합니다. 저(箇) 일을 알지 못하여 바로 진술하며 물음이다. 경담문(擎擔問) 한 물건도 가져오지 않았을 때는 어떻습니까. 스스로 소견을 경담(擎擔)하고 물음이다. 치문문(置問問) 눈을 부릅떠도 변제(邊際)를 보지 못할 때는 어떻습니까. 한 문두(問頭)를 두어 물음이다. 고문문(故問問) 일체중생이 모두 불성이 있거늘 무엇 때문에 개는 도리어 없습니까. 한 연고를 시설하여 물음이다. 차문문(借問問) 대해에 구슬이 있는데 어떻게 취득합니까. 따로 한 단서를 빌려 물음이다. 실문문(實問問) 다만 화상을 보매 이 승려이거니와 무엇이 이 부처며 이 법입니까. 그 실리(實理)로써 물음이다. 가문문(假問問) 이것은 이 전리(殿裏)의 것입니다. 무엇이 이 부처입니까. 이 한 단서를 빌려 물음이다. 심문문(審問問) 일체제법은 본래 이 있음입니다. 어느 것이 이 없음입니까. 그 이치를 심찰(審察)하며 물음이다. 징문문(徵問問) 조사가 서래함은 마땅히 무슨 일을 위함입니까. 그 연고를 징고(徵考)하며 물음이다. 명문문(明問問) 유언을 묻지 않고 무언을 묻지 않습니다. 명백하게 직첩(直捷)히 물음이다. 묵문문(默問問) 외도가 불타의 처소에 이르러 말없이 섰다. 묵연하며 말하지 않고 물음이다. ◆善昭 (947-1024) 송대 임제종승. 태원(太原; 산서) 사람이며 속성은 유(兪). 어려서 대지(大智)가 있었으며 일체의 문자를 늘 능히 자연히 통효(通曉)했음. 14세 때 부모가 서로 이어 세상을 떠나자 드디어 머리 깎고 구족계를 받았음. 제방을 유력(遊歷)하며 71원(員)의 석덕존숙(碩德尊宿)을 참방하였는데 여주(汝州) 수산(首山)에 이르러 성념선사(省念禪師)를 참알(參謁)하여 대오하고 그의 법을 이었음. 후에 형상(衡湘)과 양면(襄沔)의 사이를 노닐었는데 군수(郡首)가 힘껏 맞이하며 여러 명찰(名刹)에 주지할 것을 요청했으나 스님이 다 윤허(允許)하지 않았음. 수산성념(首山省念)이 입적함에 이르러 비로소 서하(西河) 도속(道俗; 僧俗)의 요청에 응해 분주(汾州; 지금의 산서 분양) 태자원(太子院)에 주(住)했음. 스님은 평생에 대장경을 6편(遍) 열람했고 종요(宗要)를 광설(廣說)했는데 3구(句)ㆍ4구ㆍ3결(訣)ㆍ18창(唱) 등의 기용(機用)으로써 학인을 접화(接化)했으며 명성이 일시(一時)를 진동했음. 스님은 발이 문지방을 넘지 않은 것이 30년이었으며 도속(道俗)이 더욱 존중해 감히 그 이름을 바로 부르지 못하고 분양(汾陽)으로써 그를 호칭했음. 송 인종(仁宗) 천성(天聖) 2년에 시적했으니 나이는 78이며 시호는 무덕선사(無德禪師). 분양무덕선사어록ㆍ분양소선사어록ㆍ분양소선사어요 등이 있어 세상에 전함 [전등록13. 광등록16. 속등록1. 연등회요11. 불조역대통재18].
驗主問; 또 탐발문(探拔問)ㆍ심행문(心行問)으로 지음. 주(主)는 사가(師家)를 가리키며 학인이 문제를 설계하여 사가의 기략(機略)의 심천을 탐시(探試)함을 일컬어 험주문(驗主問)이라 함. 위의 분양십팔문을 보라.
探拔問; 알지 못하는 사람이 무엇 때문에 의심하지 않습니까. 탐구(探求)하고 심발(尋拔)하면서 물음임. 위의 분양십팔문을 보라..
抵對; 지대(祇對)와 같음. 회답, 응대임.
本分作家; 본색으로 당행(當行; 주관하여 행함)하는 선사를 가리킴.
三家村裏漢; 편벽(偏僻; 외지다)한 작은 촌에서 출생한 사람. 늘, 치미(癡迷)하여 깨치지 못하는 자에 대한 척책어(斥責語; 責罵하는 말)로 지어 씀.
遠錄公云; 부산법원(浮山法遠)을 가리킴. 위(제3칙)에 이미 나왔음. 오등회원6 낙포산원안선사(洛浦山元安禪師) 말후의 일구라야 비로소 굳센 관문에 이르나니 요진을 쇄단(鎻斷)하여 범성(凡聖)이 통하지 않는다.
指南; 또 이르되 사남(司南)이며 또한 이르되 사방(司方)임. 장경음의수함록11. 귀곡자(鬼谷子)에 이르되 정(鄭)나라 사람 숙신씨(肅愼氏)가 흰 꿩을 바치고 돌아가자 주공(周公)이 위하여 지남거를 만들어 전송했다. 그가 미혹할까 염려했음이다. 제기(帝記)에 이르되 고신씨(高辛氏)가 지남거(指南車)를 만들었다.
拍盲; 이르자면 손으로 자기의 눈을 때림임. 만약 사물을 보려하면 마치 맹인과 상사함의 뜻.
一星事; 성(星)은 세소(細小)를 형용함. 일점이라고 말함과 같음.
大妄語; 망어는 10악의 하나. 이르자면 허언을 구조(搆造; 제조)하여 사람들에게 믿음을 취하려 함임. 그러나 망어에 대소의 구별이 있음. 대망어(大妄語)란 것은 이르자면 얻지 못하고서 얻었다고 말하고 증득하지 못하고서 증득했다고 말하여 명리(名利)를 탐하고 도모하면서 괴이를 나타내어 무리를 혹란하는지라 고로 대망어를 이룸. 소망어(小妄語)란 것은 이르자면 보지 못하고서도 보았다고 말하고 보고서도 보지 못했다고 말하고 듣고서도 듣지 못했다고 말하고 듣지 못하고서도 들었다고 말함임. 만습(慢習)의 교사(矯詐; 남을 속이거나 기만함)로 앞의 사람을 경모(輕侮; 업신여기거나 모욕함)함이니 곧 소망어를 이룸 [전계정범].
古人道; 영가현각(永嘉玄覺)을 가리킴. 이하의 2구는 영가증도가의 글임.
打在; 타(打)는 동사의 전철(前綴; 접두사)이니 실의(實義)가 없으며 다분히 사람의 동작과 행위를 표시함.
空腹高心; 이르자면 뱃속은 공허하면서 도리어 스스로 매우 높다고 봄.
臘月三十日; 본래의 뜻은 12월 최후의 1일이 됨. 선가에선 다분히 써서 인생의 종료ㆍ사기(死期)의 도래를 비유로 가리킴.
南禪師; 황룡혜남선사임. 혜남(慧南) (1002-1069) 송대승. 임제종 황룡파(黃龍派)의 개조(開祖). 신주(信州) 옥산(玉山; 강서 上饒) 사람이며 속성(俗姓)은 장(章). 어릴 적에 유업(儒業)을 익혔으며 경사(經史)를 박통(博通)했음. 11세에 정수원(定水院) 지란(智鑾)을 좇아 출가했으며 19세에 구족계(具足戒)를 받았음. 서현징식(棲賢澄諟)ㆍ운봉문열(雲峰文悅)ㆍ석상초원(石霜楚圓) 등 여러 존숙을 두루 참알(參謁)하다가 드디어 석상초원(石霜楚圓)의 법을 이었음. 스님이 처음엔 동안(同安) 숭승선원(崇勝禪院)에 주(住)하며 개당설법(開堂說法)했는데 4중(衆)이 귀추(歸趨)했음. 오래지 않아 귀종사(歸宗寺)로 이지(移至)했는데 당우(堂宇)가 돌연(突然)히 화재를 만나 전사(全寺)가 모두 훼손(毁損)됨으로 인해 드디어 원통(寃痛)하게 옥사(獄事)에 연좌(連坐)됨을 입었음. 이자(吏者; 獄吏)가 백단(百端; 온갖 방법)으로 틈을 구했으나 스님이 이연(怡然)히 허물을 끌어당겼음. 오래 후에 사면(赦免)되어 이에 황벽(黃檗)으로 퇴거했으며 계곡 위에 적취암(積翠庵)을 축조(築造)했는데 사방에서 접종(接踵; 사람이 잇따르다)하여 이르렀음. 요청을 받아 황룡산(黃龍山) 숭은원(崇恩院)에 이르러 종풍을 크게 진작(振作)했으며 호남ㆍ호북ㆍ강서ㆍ민월(閩粤) 등의 땅에 두루 미쳤음. 이 일계통(一系統)이 곧 황룡파를 위성(蔚成)했으며 일본 임제종의 개조(開祖)인 영서(榮西)도 곧 이 한 유파(流派)에서 원출(源出)했음. 스님이 매번 공안으로 4(衆)을 널리 제도했는데 실중(室中)에서 늘 불수(佛手)ㆍ여각(驢脚)ㆍ생연(生緣)의 3전어(三轉語. 轉은 양사)를 시설해 학인을 감험(勘驗)했음. 30여 년에 그 지취(旨趣)에 계합하는 자가 드물게 있는지라 세칭이 황룡삼관(黃龍三關)임. 스님이 황룡에 주(住)할 때 법석이 정성(鼎盛; 융성)하였으며 송(宋) 희녕(熙寧) 2년에 입적(入寂)했으니 나이는 68. 세칭이 황룡혜남(黃龍慧南)이며 휘종(徽宗) 대관(大觀) 4년(1110) 추시(追諡)하여 보각선사(普覺禪師)라 했음. 동문인 방회(方會)의 양기파(楊岐派)와 대치(對峙)하며 임제ㆍ위앙ㆍ조동ㆍ운문ㆍ법안 등 5가(家)와 더불어 병칭(竝稱)하여 오가칠종(五家七宗)이라 함. 유작(遺作)에 황룡남선사어록(黃龍南禪師語錄)ㆍ어요(語要)ㆍ서척집(書尺集) 각 1권이 있어 행세(行世)함. 문하(門下)의 회당조심(晦堂祖心)ㆍ보봉극문(寶峰克文)ㆍ늑담홍영(泐潭洪英) 등은 다 선림에 치명(馳名)했음 [속전등록7. 선종정맥17. 석씨계고략4].
拈云; 약칭이 염(拈). 공안을 들어 설하고 아울러 평의를 가함. 이는 선가에서 설법하는 1종의 형식임.
帝鄕; 제왕의 마을이니 경사(京師).
句裏呈機*劈面來響 魚行水濁 莫謗趙州好 *爍迦羅眼絕纖埃撒沙撒土 莫帶累趙州 撈天摸地作什麽 東西南北門相對開也 那裏有許多門 背却趙州城 向什麽處去 無限*輪鎚擊不開自是爾輪鎚不到 開也
劈面; 對著面 劈 冲著 正對著
爍迦羅; 又作灼羯羅 斫迦羅 斫迦婆羅 此翻爲金剛 堅固 輪鐵等意 爍迦羅眼 謂金剛眼 堅固眼 卽明定正邪 辨別得失之眼 [慧琳音義四十二 玄應音義二十三]
輪鎚; 輪轉鐵鎚
구리(句裏)에서 기(機)를 보여(呈) 벽면(*劈面)해 오더라도 울리는구나(響). 고기가 다니면 물이 탁해지니 조주를 비방하지 말아야 좋으니라. 삭가라안(*爍迦羅眼)엔 가는 티끌마저 끊겼다 모래를 뿌리고 흙을 뿌리는구나. 누(累; 폐)를 조주에게 끼치지 말아라. 하늘을 잡고(撈) 땅을 더듬어 무엇하랴. 동서남북의 문으로 상대하니 열렸다. 어느 속에 허다한 문이 있으리오. 조주성(趙州城)을 등져버리고(背却) 어느 곳을 향해 가겠는가. 무한한 윤추(*輪鎚)로 쳐도 열리지 않는다. 스스로 이는 너의 윤추가 이르지 않음이다. 열렸다.
劈面; 얼굴에 대착(對著). 벽(劈)은 충착(冲著; 찌르다), 정대착(正對著).
爍迦羅; 또 작갈라(灼羯羅; 梵 cakra)ㆍ작가라(斫迦羅)ㆍ작가바라(斫迦婆羅)로 지음. 여기에선 금강ㆍ견고ㆍ윤철(輪鐵) 등의 뜻으로 번역함. 삭가라안(爍迦羅眼)은 이르자면 금강안ㆍ견고안이니 곧 정사(正邪)를 명정(明定)하고 득실을 변별(辨別)하는 눈임 [혜림음의42. 현응음의23].
輪鎚; 윤전(輪轉)하는 철추.
趙州臨機 一似金剛王寶劍 擬議卽截却爾頭 往往更當面換却爾眼睛 這僧也敢捋虎鬚致箇問頭 大似無事生事 爭奈句中有機 他旣呈機來 趙州也不辜負他問頭 所以亦呈機答 不是他特地如此 蓋爲透底人自然*合轍 一似安排來相似 不見有一*外道 手握*雀兒來問*世尊云 且道 某甲手中雀兒 是死耶是活耶 世尊遂騎門閫云 爾道我出耶入耶一本云 世尊竪起*拳頭云 開也合也 外道無語 遂禮拜 此話便似這公案 *古人自是血脈不斷 所以道 問在答處 答在問處 雪竇如此見得透 便道句裏呈機劈面來 句裏有機 如帶兩意 又似問人 又似問境相似 趙州不移易一絲毫 便向他道 東門西門南門北門 爍迦羅眼絕纖埃 此頌趙州*人境俱奪 向句裏呈機與他答 此謂之有機有境 纔轉便照破他心膽 若不如此難塞他問頭 爍迦羅眼者 是梵語 此云堅固眼 亦云金剛眼 照見無礙 不唯千里明察秋毫 亦乃定邪決正 辨得失 別機宜 識休咎 雪竇云 東西南北門相對 無限輪鎚擊不開 旣是無限輪鎚 何故擊不開 自是雪竇見處如此 爾諸人又作麽生 得此門開去 請*參詳看
合轍; 車輪與車的軌迹相合 比喩彼此思想言行一致
外道; 又作外敎 外法 外學 指佛敎以外之一切宗敎 與儒家所謂異端一語相當 ▲三論玄義 至妙虛通 目之爲道 心遊道外 故名外道
雀兒; 卽雀 兒 後綴
世尊; 佛之尊號 以佛具萬德世所尊重故也 又於世獨尊也 阿含經及成實論 以之爲佛號中之第十 以具上之九號 故曰世尊 涅槃經及智度論置之於十號之外
拳頭; 卽拳 頭 後綴 ▲淸 翟灝通俗篇 頭 頭亦助詞也 卽人體言 眉曰眉頭 鼻曰鼻頭 舌亦曰舌頭 指亦曰指頭 器用之屬 則如鉢頭 把頭 用之尤甚多也
古人; 指世尊趙州
人境俱奪; 卽人境兩俱奪 臨濟義玄四料簡之一 是對我執與法執都嚴重的學人 所採取的接引施設 臨濟語錄 僧云 如何是人境兩俱奪 師云 幷汾絶信 獨處一方(幷汾 幷州 汾州 竝是地名)
參詳; 探究審思
조주가 임기(臨機)함이 금강왕보검과 일사(一似; 똑같음)하여 의의(擬議)하면 곧 너의 머리를 끊어버리고 왕왕 다시 당면(當面)하여 너의 눈동자를 바꾸어버린다. 이 중도 감히 범의 수염을 건드려 저(箇) 문두(問頭; 頭는 조사)를 보내니(致) 일 없는데 일을 일으킴과 매우 비슷하지만(大似) 구중(句中)에 기(機)가 있음을 어찌하리오(爭奈). 그가 이미 기(機)를 보여(呈) 오므로 조주도 그의 문두(問頭)를 저버리지 않는지라 소이로 또한 기를 보여 답하니 이는 그(조주)가 특지(特地; 특별히. 地는 조 사) 이와 같음이 아니라 대개 투득한 사람은 자연히 합철(*合轍)함이 일사(一似) 안배(安排)하여 옴과 상사(相似)하기 때문(爲)이다. 보지 못하는가, 한 외도(*外道)가 있어 손에 참새(*雀兒)를 쥐고 와서 세존(*世尊)에게 물어이르되 그래 말하십시오, 모갑의 수중의 참새가 이 죽겠습니까 이 살겠습니까. 세존이 드디어 문지방을 타고 이르시되 네가 말하라, 내가 나가겠느냐 들어오겠느냐. 일본(一本; 어떤 책)에 이르되 세존이 주먹(*拳頭)을 세워 일으키고 이르시되 열리겠느냐, 닫히겠느냐. 외도가 말을 못하고 드디어 예배하였으니 차화(此話)가 곧 이 공안과 비슷하다. 고인(*古人)은 저절로 이 혈맥이 끊어지지 않는지라 소이로 말하되 물음이 답하는 곳에 있고 답이 묻는 곳에 있다 하였다(首山省念의 말임). 설두가 이와 같이 보아 꿰뚫음을 얻은지라 곧 말하되 구리(句裏)에 기(機)를 보여 벽면(劈面)해 오더라도 라고 하였다. 구리(句裏)에 기가 있음이 마치 두 뜻을 띠는 듯하니 또 인(人)을 물음과 흡사하고 또 흡사 경(境)을 물음과 상사(相似)하다. 조주가 한 실터럭만큼도 이역(移易)하지 않고 곧 그를 향해 말하되 동문서문 남문북문이라 하였다. 삭가라안(爍迦羅眼)엔 가는 티끌마저 끊겼다 라고 한 것은 이것은 조주가 인과 경을 다 뺏으면서(*人境俱奪) 구리(句裏)를 향해 기(機)를 보여 그에게 답해 준 것을 송한 것이니 이것을 일러 기(機)도 있고 경(境)도 있다 한다. 겨우 전동(轉動; 轉)하면 곧 그(此僧)의 심담을 조파(照破)하나니 만약 이와 같이 하지 않으면 그의 문두(問頭)를 막기 어렵다. 삭가라안이란 것은 이 범어니 여기에선 이르되 견고안(堅固眼)이며 또한 이르되 금강안이니 조견(照見)이 무애하여 천 리에 추호(秋毫)를 환히 살필 뿐만 아니라 또한 곧 사(邪)를 정(定)하고 정(正)을 결(決)하며 득실을 분변하며 기의(機宜)를 분별하며 휴구(休咎)를 안다. 설두가 이르되 동서남북의 문으로 상대하니 무한한 윤추(輪鎚)로 쳐도 열리지 않는다 하니 이미 이 무한한 윤추이거늘 무슨 연고로 쳐도 열리지 않는가. 스스로 이 설두의 견처가 이와 같나니 너희 제인은 또 어떠한가(作麽生). 이 문이 열림을(去는 조사) 얻고자 한다면 청컨대 참상(*參詳)하여 보아라.
合轍; 수레바퀴와 수레의 궤적이 서로 합함이니 피차의 사상과 언행의 일치에 비유함.
外道; 또 외교(外敎)ㆍ외법(外法)ㆍ외학(外學)으로 지음. 불교 이외의 일체 종교(宗敎)를 가리킴. 유가(儒家)에서 이른 바 이단(異端)의 일어(一語)와 상당(相當)함. ▲삼론현의. 지묘(至妙)하여 허통(虛通)함을 제목하여 도(道)라 하고 마음이 도 밖에 노니는지라 고로 이름이 외도(外道)다.
雀兒; 곧 작(雀; 참새)이니 아(兒)는 후철(後綴).
世尊; 불타의 존호(尊號)임. 불타는 만덕(萬德)을 갖추어 세상에서 존중하는 바이기 때문임. 또 세상에서 홀로 존귀함. 아함경 및 성실론은 이를 불호(佛號) 중의 제10으로 삼나니 위의 9호(號)를 갖춘지라 고로 가로되 세존이며 열반경 및 지도론은 10호의 밖에 둠.
拳頭; 곧 권(拳; 주먹)이니 두는 후철. ▲청 적호(翟灝) 통속편. 두(頭) 두는 또한 조사이다. 인체로 나아가(卽) 말하자면 미(眉)를 가로되 미두며 비(鼻)를 가로되 비두며 설(舌)은 또 가로되 설두며 지(指)는 또 가로되 지두이다. 기용(器用)의 무리는 곧 발두(鉢頭)ㆍ파두(把頭) 같은 것이니 이를 씀이 더욱 심다(甚多)하다.
古人; 세존과 조주를 가리킴.指世尊趙州
人境俱奪; 곧 인경량구탈(人境兩俱奪). 임제의현의 4료간(料簡)의 하나. 이는 아집과 법집이 모두 엄중한 학인에 대해 채취한 바의 접인시설(接引施設).
參詳; 탐구(探究)하고 심사(審思)함.
첫댓글 "무엇이 이 투관하는 눈의 전신처인가?" 이 물음에 나는 손으로 눈을 가리고 멍멍 짖겠다. 차제연(次第緣)의 緣은 없다. 空中에서는 眼이 없는데 眼의 전신처가 따로 있겠는가? 멍멍 개소리 하지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