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44. 포천 순교성지(복자 홍인 레오 순교터, 포천 성당)
간략설명홍교만과 홍인 부자 순교자의 정신이 살아 있는
도로주소: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호국로 1564
포천 성당 춘천교구 소속 본당. 경기도 포천시 신읍동 138-32 소재. 1956년 2월 21일 설립되었으며, 주보는 성가정.
포천 지방은 1801년 신유박해(辛酉迫害) 때 복자 홍교만(洪敎萬) 프란치스코 하비에르와 그의 아들 홍인(洪鏔) 레오의 순교에서 알 수 있듯이 그 믿음의 뿌리가 깊은 곳이다. 신유박해 이후 박해를 피해 다른 지방의 신자들이 포천 지방으로 옮겨와 삶의 터전을 마련하고 신앙 공동체를 형성하였다. 1900년 초 포천군 포천읍 선단리 해룡마을에 포천 지방 최초의 공소가 설치된 이후 내촌, 맑은 데미, 송우리, 고일리, 오가리, 새묵이 등지에 공소가 설정되었다고 한다. 포천 지방은 1921년경 경기도와 강원도 일대에서 전교 활동을 하고 있던 손성재(孫聖載) 야고보 신부에 의해 사목 되다가 그 후 1930년 개성 본당, 1931년부터 1935년까지 행주 본당, 1935년부터 덕정리 본당(현 의정부 주교좌본당)의 관할 지역에 속하였다.
1956년 포천 본당이 설립될 수 있었던 배경에는 포천 일대에 주둔한 6군단 군단장 이한림 가브리엘 장군의 도움이 컸다. 독실한 신자였던 이한림 장군은 익명의 독지가가 기증한 1,000여 평 대지에 공병 부대의 도움을 받아 성당 건축을 추진하였다. 1955년 11월 60평의 석조 건물로 된 성당과 사제관 20평을 완공하였고, 12월에 춘천 대목구장 퀸란(Thomas Quinlan, 具仁蘭) 주교의 주례로 봉헌식을 거행하였다. 성당 건축을 전후로 잠시 6군단 조상익(趙相益) 베드로 군종 신부가 포천 신자들의 사목을 담당하다가 1956년 2월 김진하(金瑨河) 요한 신부가 초대 주임으로 부임함으로써 포천 본당이 설립되었다.
김진하 신부는 곳곳에 흩어져 있는 공소들을 방문하면서 사목 활동을 활발히 전개하는 한편, 미국 가톨릭 복지협의회 산하 전쟁 구호위원회의 도움을 받아 한국 전쟁 직후 기아에 허덕이는 주민들의 구제 사업에도 적극적으로 활동하였다. 또한 본당의 발전을 논의하기 위해 사목위원회를 구성하였고, 뒤이어 신심 단체인 성모 성심회를 조직하였다.
1969년부터 가평군과 포천군 일대가 서울대교구로부터 분할되어 춘천교구에 편입됨에 따라 강원도 일대의 선교를 담당하던 성 골롬반 외방선교회 소속 크로스비(P. Crosbie, 조선희) 필립보 신부가 포천 본당의 8대 주임으로 부임하였다. 1970년 11월 운천 공소를 본당으로 승격 · 분리하고, 양문, 관인, 지포리, 문혜리 일대 신자 306명을 이관하였다. 1971년 11월 4일에는 크로스비 신부의 권고에 따라 마리아의 작은 자매회에서 포천읍 신읍리 151-3번지에 2층 건물 44평과 2층 창고 건물 12평으로 된 수녀원을 세웠다. 같은 해 11월 7일 일동 공소를 본당으로 승격 · 분리하여 내촌면, 일동면, 이동면, 화현면 등지의 신자 279명을 이관하였다. 그리고 11월 말에는 미군 부대의 협조를 얻어 경사면의 성당 대지를 평지로 조성했으며, 1972년 8월 해룡마을에 마을 회관을 겸한 해룡 공소 회관을 건립하였다.
9대 주임 페리(F. Ferrie, 황) 프란치스코 신부 재임기인 1977년 2월에는 본당 신자들의 경제적 어려움을 극복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포천 대건 신용협동조합을 설립하였다. 1978년에는 신자들이 영적 독서와 성경에 많은 관심을 두게 하려고 본당 내 교리실을 도서관으로 바꿨고, 1979년 11월 약 40평 규모의 유치원 건물을 완공하였다. 10대 주임 누젠트(W. Nugent, 유) 월터 신부 재임기인 1980년 4월에는 유아들의 교육을 위해 복자유치원을 개원하였고, 1982년 5월에는 성당 정문부터 사제관까지 도로 포장공사를 시행하였으며, 1983년 11월에는 2층 건물로 된 사제관을 완공하여 축복식을 거행하였다.
11대 주임 엘리스(G. Ellis, 엄) 제라르도 신부 재임기인 1984년 4월에는 레지오 마리애 첫 모임을 개최하였고, 1985년 1월 13일에는 성체회를 발족하였으며, 1월 26일에는 청년회를 26세 이상 청년회원을 중심으로 ‘젊은이의 모임’이란 명칭으로 분리하였다. 또한 1987년 3월 초등부 주일학교를 후원하기 위한 자모회를 조직하는 등 본당 내 각 단체가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였다.
1988년에는 1969년부터 약 20년간 본당의 사목을 담당해 오던 성 골롬반 외방선교회 사제들 대신 한국인 사제인 허동선(許東善) 마태오 신부가 12대 주임으로 부임하였다. 허동선 신부 재임기인 1988년에는 신평 공소 내에 수녀원을 신축하였고, 청년 레지오인 황금 궁전 쁘레시디움과 부부들의 모임인 M.E.를 새롭게 결성하였다. 13대 주임 박우성(朴宇成) 사무엘 신부 재임기인 1989년 6월에는 송우리 공소 사도회를 발족하였고, 7월에는 청장년들의 모임인 프란치스코회를 창단하는 등 신심 단체 조직을 통해 본당 활성화에 주력하였다.
1990년 7월 11일 한 취객의 방화로 인해 성당이 완전히 전소되는 아픔을 겪었지만, 주임 신부와 신자들은 화재 발생 다음 날인 7월 12일 성당 건립 추진위원회를 결성하여 성당 재건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협의하였다. 박우성 신부와 신자들은 새 성당 건립을 위한 ‘사랑과 나눔의 바자회’ 개최 등을 통해 모금한 기금과 전국 각지에서 받은 성금으로 1992년 3월 새 성당 기공식을 거행하였고, 12월 10일 총건평 205평, 연건평 204평의 지하 1층 · 지상 2층으로 된 성당을 완공하고 봉헌식을 거행하였다. 1991년 8월에는 송우리 공소를 본당으로 승격 · 분리하였다.
14대 주임 김정식(金晶植) 토마스 신부 재임기인 1994년 10월부터 수녀원 보수와 증축 공사를 시작하여 12월에 축복식을 거행하였고, 1999년 5월에는 서울대교구 동두천 · 노원 · 덕정 본당 및 춘천교구 송우리(현 솔모루) 본당 신자들과 함께 ‘한마음 가족 체육대회’에 참여하여 교구의 벽을 넘어 친교의 장을 마련하였다. 15대 주임 강성구(姜成求) 요한 신부 재임기인 2000년 6월 철원 월정리에서 개최된 ‘민족 화해와 일치를 위한 기도의 날 전국 대회’에 본당 신자 150여 명이 참석하여 남북한의 화합을 기원하였고, 2003년에는 타본당 돕기의 일환으로 2차 헌금을 모아 신남 본당에 전달하였다.
6ㆍ25 전쟁 후 군부대 지원을 받아 지어진 옛 포천 성당은 1990년 한 취객의 방화로 목조 마룻바닥과 지붕틀 등이 불타 뼈대만 남았지만, 역사 보존 차원에서 1992년 새 성당을 건립한 후에도 헐지 않고 보존해왔다. 이한림 장군은 신앙 역사가 신유박해로 거슬러 올라가는 포천에 성당이 없는 것을 알고 1955년 포천 어디서든 잘 보이는 왕방산 기슭 언덕에 인근 덕정리에서 가져온 화강석으로 성당을 건립하였다. 이듬해 본당으로 설립된 포천 본당은 그 후 춘천교구 서부 지역, 즉 경기 북부 지역 복음화의 산실이 되었다.
옛 포천 성당(성 가브리엘 성당)은 한국 전쟁 직후에 건축된 석조 성당의 전형적인 의장적 특징(종탑과 뾰족한 아치 창호)과 공간적 특징(단일 홀로 구성된 강당형 평면), 화강석 조적구법의 특징을 잘 간직하고 있다. 또 한국 전쟁 이후 많은 교회 건물을 석조로 지었지만 군부대가 직접 세운 것 중 유일하게 남아 있는 종교 건축물로 그 가치를 인정받아 2006년 9월 19일 근대문화유산 등록문화재 제271호로 지정되었다.
포천 순교성지 2006년 5월 1일 본당 설립 50주년 기념행사를 한 포천 성당은 홍교만 프란치스코 하비에르와 홍인 레오 부자의 순교 정신을 계승하여 더욱 활기찬 신앙 공동체로 거듭나고자 했다. 2011년 성당 구내에 다목적 공간으로 활용할 레오 회관을 신축했다. 2014년 8월 16일 ‘포천의 사도’인 홍교만과 홍인 부자가 프란치스코 교황에 의해 광화문 광장에서 복자품에 오르자, 춘천교구는 같은 해 9월 27일 포천 실내체육관에서 열린 시복 감사 순교자 현양대회에서 복자 홍인 레오가 순교한 순교터(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구읍리 723-3)를 순교성지로 선포하였다. 춘천교구에서 순교성지로 선포된 곳은 여기가 처음이다.
복자 홍인 레오의 집안은 본래 한양의 이름 있는 집안이었다. 그의 부친인 복자 홍교만 프란치스코 하비에르가 경기도 포천으로 이주했기 때문에 그곳에서 성장했다. 1801년 서소문에서 순교한 홍교만 프란치스코가 천주교 신앙을 접하게 된 것은 1781년 양근에 살던 고종사촌 권일신으로부터 교리를 배우면서였다. 홍인 레오는 부친에게 교리를 배웠는데, 오히려 부친보다 먼저 천주교 신앙을 진리로 이해하고 받아들였다. 천주교에 입교한 후 홍인 레오는 세속의 꿈을 모두 버리고 하느님을 섬기고 교리를 전하는 데만 열중했다. 그러면서 효성을 다하는 길은 부친을 신앙으로 인도하는 길밖에 없다고 생각해 부친을 설득해 1784년 말 주문모 신부가 입국한 후 함께 찾아가서 세례를 받고 미사에 참석했다. 1801년 부친과 함께 체포되었으나 당시 부자를 함께 처형하지 않는다는 원칙에 따라 홍인 레오는 포천으로 이감되어 약 10개월 뒤인 1802년 1월 30일 포천의 사람들이 많이 다니는 저잣거리에서 순교하였다. 부친인 홍교만 프란치스코 하비에르는 이미 1801년 4월 8일 동료들과 함께 서소문 밖 네거리에서 순교한 뒤였다.
춘천교구와 포천 성당은 복자 홍인 레오의 순교터와 감옥터 등을 중심으로 포천 순교성지 조성에 들어갔다. 복자 홍인 레오가 신앙을 증거한 포천현 관아터와 감옥터(포천시 군내면 구읍리 530-4)는 옛 군내면사무소 옆 부지인데, 군내면사무소가 새 청사를 지으면서 옛 관아터는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순교터는 현 포천 경찰서와 소방서를 잇는 포천2교 인근 저잣거리의 한내천변 모래사장이다. 포천 성당은 한내천변 순교터에 약간의 부지를 마련해 2015년 9월 순교성지 선포 1주년을 기념해 홍인 레오의 순교 정신을 기리고자 순교현양비를 건립해 축복식을 갖고 주변을 정리해 포천 순교성지를 조성하였다.
2019년 포천 성당은 포천 순교성지 조성 3개년 계획을 수립하고 본격적인 성역화 작업에 돌입했다. 우선 2021년까지 약 3천 평에 이르는 성당 부지를 담장 없는 ‘순교 기념 공원’으로 조성하고, 순례자를 맞이하고 교육할 교육관을 새로 건립하며, 2017년에 우선 지붕을 덮고 창문을 보수한 옛 포천 성당을 순교 기념관으로 꾸밀 계획을 갖고 추진중이다.
[출처 : 양인성, 한국가톨릭대사전 제11권, 2005년과 관련 기사를 중심으로 편집(최종수정 2021년 4월 19일)]
복자 홍교만 프란치스코 하비에르(1738-1801년)
홍교만(洪敎萬) 프란치스코 하비에르는 한양 출신으로, 훗날 경기도 포천으로 이주해 살았다. 그의 집안은 대대로 조정에서 높은 벼슬을 지내고 있었으며, 그도 높은 벼슬을 지낸 맏형과 함께 일찍부터 학문에 힘써 진사가 되었다. 1801년에 순교한 홍인 레오는 그의 아들이며, 같은 해에 순교한 정철상 가롤로는 그의 사위이다.
포천으로 이주해 사는 동안, 홍 프란치스코 하비에르는 양근에 사는 고종사촌 권일신 프란치스코 하비에르의 집을 드나들다가 천주교 신앙을 알게 되었다. 그러나 그는 곧바로 신앙을 받아들이지는 않았다. 그러다가 먼저 천주교에 입교한 아들 홍인에게서 교리에 대해 자세히 들은 뒤, 이것이 바로 자신이 찾던 진리라는 것을 깨닫고는 실천해 나가기 시작하였다.
1794년 말 주 야고보 신부가 조선에 입국하자, 홍 프란치스코 하비에르는 주 신부를 찾아가 세례를 받고 미사에 참석하였다. 그런 다음 비신자 친구들과의 교제를 끊고, 자신의 학식을 이용하여 더 깊이 교리를 연구하였다. 또 글을 잘 알지 못하는 신자들을 자신의 집으로 데려와 가르치기도 하였으며, 냉담자를 회두시키거나 교리를 알고자 찾아오는 이들을 권면하는 데 열중하였다. 포천 지역에 복음이 널리 퍼지게 된 것은 그의 이러한 열성 때문이었다.
1801년의 신유박해가 일어나자마자, 홍 프란치스코 하비에르는 사돈 정약종 아우구스티노의 책 상자를 자신의 집에 숨겨 두기도 하였다. 그러나 한 신자가 이 상자를 다른 곳으로 옮기다가 박해자들에게 발각되었고, 이내 그의 이름도 박해자들에게 알려지게 되었다. 이 사실을 알게 된 그는 아들과 함께 다른 곳으로 피신하였다. 그러나 스스로 오래 피할 수 없음을 알고는 집으로 돌아왔고, 오래지 아니하여 포졸들에게 체포되었다.
2월 14일, 홍 프란치스코 하비에르는 곧장 의금부로 압송되어 문초와 형벌을 받게 되었다. 그러나 그는 어떠한 위협에도 전혀 굴하지 않았으며, 박해자들 앞에서 끊임없이 ‘천주교 교리가 진리’라는 것을 설명하였다. 실제로 박해자들이 오히려 그의 용감한 태도에 놀랄 정도였다.
“하느님은 천지의 큰 부모가 되시니, 어찌 큰 부모를 섬기지 않겠습니까? 또 큰 부모를 섬기는 천주교를 감히 사악한 종교라고 말할 수 있겠습니까? 이는 천하의 진리이니, 예수 그리스도를 사악하다고 할 수는 없는 것입니다.”
이후에도 홍 프란치스코 하비에르는 끊임없이 배교를 강요당하였지만, 조금도 흔들리지 않았다. 그러자 박해자들은 더 이상 어찌할 수 없다는 것을 알고는 그에게 사형을 선고하였다. 이에 따라 그는 동료들과 함께 서소문 밖으로 끌려 나가 참수형으로 순교하였으니, 그때가 1801년 4월 8일(음력 2월 26일)로, 당시 그의 나이는 63세였다. [출처 : 주교회의 시복시성 주교특별위원회 편, '복자' 윤지충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 123위 '하느님의 종' 증거자 최양업 토마스 신부, 서울(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2014년]
홍교만 프란치스코 하비에르는 대전교구에서 열린 제6회 아시아 청년대회에 참석하고자 한국을 사목방문한 교황 프란치스코에 의해 2014년 8월 16일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동료 순교자 123위와 함께 시복되었다. 시복미사가 거행된 광화문 광장 일대는 수많은 순교자와 증거자가 나온 조선시대 주요 사법기관들이 위치해 있던 곳이며, 또한 처형을 앞둔 신자들이 서소문 밖 네거리 · 당고개 · 새남터 · 절두산 등지로 끌려갈 때 걸었던 순교의 길이었다. 윤지충 바오로와 123위 동료 순교자들은 매년 5월 29일에 함께 축일을 기념한다.
복자 홍인 레오(1758-1802년)
홍인(洪鏔) 레오의 집안은 본디 한양의 이름 있는 집안이었으나, 그의 부친이 경기도 포천으로 이주하였기 때문에 그곳에서 성장하였다. 1801년 한양에서 순교한 홍교만 프란치스코 하비에르가 바로 그의 부친이다.
홍 레오의 가족이 천주교 신앙을 접하게 된 것은, 1791년경 그의 부친이 양근 땅에 살던 고종사촌 권일신 프란치스코 하비에르에게 교리를 배우면서였다. 홍 레오는 부친에게서 교리를 배웠는데, 오히려 부친보다 먼저 천주교 신앙을 진리로 이해하고 받아들이게 되었다.
천주교에 입교한 뒤 홍 레오는, 세속의 꿈을 모두 버리고 하느님을 섬기고 교리를 전하는 데에만 열중하였다. 그러면서 효성을 다하는 길은 부친을 신앙으로 이끄는 길밖에 없다고 생각하였다. 이에 그는 부친의 의심을 풀어 드리고, 입교를 망설이는 부친을 설득하여 마침내 부친을 신앙으로 이끄는 데 성공하였다.
1794년 말 주문모 야고보 신부가 조선에 입국하자, 홍 레오는 부친과 함께 주 야고보 신부를 찾아가 세례를 받고 미사에 참여하였다. 그리고 서오촌(庶五寸) 당숙인 홍익만 안토니오, 황사영 알렉시오 등과 함께 교류하면서 열심히 신앙생활을 하였다. 또 부친과 같이 포천 지역에 복음을 전파하는 데에도 노력하였다.
1801년에 신유박해가 일어나자, 홍 레오는 부친과 의논하여 정약종 아우구스티노의 책 상자를 받아 집 안에 숨겨 두었다. 그런데 한 신자가 이 상자를 다른 곳으로 옮기다가 체포되면서 그들 부자의 이름이 박해자들에게 알려지게 되었다.
그 무렵 홍 레오와 부친은 다른 곳으로 피신해 있었다. 그러나 오래 숨어 있을 수 없다는 것을 알고는 곧 집으로 돌아왔으며, 바로 그때 포졸들이 쳐들어와 그들 부자를 체포하였다. 이후 부친 홍 프란치스코 하비에르는 한양으로, 홍 레오는 포천으로 각각 압송되었다.
이윽고 홍 레오는 포천에서 첫 번째 문초와 형벌을 받게 되었다. 그러나 그는 아무것도 밀고하지 않고 신앙을 굳게 지킨 뒤, 경기 감영을 거쳐 포도청으로 압송되었다.
그에 앞서 홍 레오의 부친은 한양으로 압송된 지 얼마 안 되어 형벌을 받고 순교하였다. 홍 레오도 그 뒤를 이어 포도청과 형조에서 문초를 받았으나 신앙으로 극복하였다. 그런 다음 사형 판결을 받고 고향 포천으로 이송되어 참수형으로 순교하였으니, 그때가 1802년 1월 30일(음력 1801년 12월 27일)로, 당시 그의 나이는 44세였다. 형조에서 홍인 레오에게 내린 사형 선고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너는 천주교 신앙에 깊이 빠져 오랫동안 이를 믿어 왔다. 너의 아버지가 교리를 가르치고 너는 이를 배웠으며, 깊이 여기에 빠져 (교리의 가르침을 믿는) 마음을 바꾸지 않았으므로 경기 감영에서 포도청으로 이송되었다. …… 네가 저지른 죄의 실상을 보니, 만 번 죽어도 아깝지 않다.” [출처 : 주교회의 시복시성 주교특별위원회 편, '복자' 윤지충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 123위 '하느님의 종' 증거자 최양업 토마스 신부, 서울(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2014년]
홍인 레오는 대전교구에서 열린 제6회 아시아 청년대회에 참석하고자 한국을 사목방문한 교황 프란치스코(Franciscus)에 의해 2014년 8월 16일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동료 순교자 123위와 함께 시복되었다. 시복미사가 거행된 광화문 광장 일대는 수많은 순교자와 증거자가 나온 조선시대 주요 사법기관들이 위치해 있던 곳이며, 또한 처형을 앞둔 신자들이 서소문 밖 네거리 · 당고개 · 새남터 · 절두산 등지로 끌려갈 때 걸었던 순교의 길이었다. 윤지충 바오로와 123위 동료 순교자들은 매년 5월 29일에 함께 축일을 기념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