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뇨
당뇨약 기전별 분류 | |||
1. 소장에서의 흡수 차단 | α-glucosidase 억제제 | Acarbose (글루코바이) Voglibose (베이슨) | 매번 식사 시 첫 술과 함께 |
2. 췌장에서의 인슐린 생성 촉진 | DPP-IV 억제제 | Vildagliptin (가브스) Sitagliptin (자누비아) Lanagliptin (트라젠타) Saxagliptin (온글리라이자) Alogliptin (네시아) | 식사 직후 |
3. 혈액으로 인슐린 분비촉진 | Sulfonylurea계 | a. 단시간형 Gliclazide (다아미크롱) Gliquidone b. 중간형 Glibenclamide (다오닐) Glimepiride (아마릴) Glipizide (다이그린) c. 지속형 Chlorpropamide (다이아비네스) | 식사 전 |
비 Sulfonylurea계 | Repaglinide (노보넘) Nateglinide (파스틱) | 식사 직전 | |
4. 조직으로의 정확한 전달 | Biguanide 계 | Metformine Hcl (글루코파지) | 식사 중… 혹은 식사 직후 |
Thiazolidin디이온계 약물 | Rosiglitazone (아반디아) Poglitazone (액토스) | 식사와 무관 | |
5. 인슐린 직접 투하 | 초속효성 | 휴마로그 (Insulin Lispro) 노보래피드 (Insulin aspart) 애피드라 (Insulin Glulisine) | 식전 15분 이내 혹은 식사 직후 |
속효성 | 노보린알, 노보렛알, 휴물린알 (모두 Human Insulin) | 아침 식전 30분에 투약 투약 결과에 따라 15분 전, 30분 전, 45분 전으로 조정함. | |
중간형 | 노보린엔, 노보렛엔, 인슈라타드, 휴뮬린엔 (모두 Human Insulin) | ||
혼합형 | 속효성/중간형, 초속효성/중간형 | ||
지속형 | 란투스(Insulin Glargine), 레버미어(Insulin detemir) | 식사 시간과 무 관, 일정한 시간에 투여 |
고혈압
혈압약 기전별 분류 | ||
치료 계획 | 기전 | |
혈관 넓히기 | 혈관 확장제 | 주로 관상동맥 확장에 사용. 협심증 치료 |
혈관 수축 막기 | 칼슘 길항제 : CCB | 모든 근육의 수축은 세포내의 Ca2+ 농도 증가에 기인함 Ca2+의 작용을 차단하여 심근수축을 감소시키고, 세동맥과 말초 혈류를 원활하게 함. |
심장 박동 조절 | 교감신경차단제 : BB | 교감신경 말단에서 분비되는 adrenalin이 β1-수용체에 작용하면…심장수축, 심장박동수 증가 → 혈액량이 증가하므로 이것을 차단 |
계량기 조정 | Angiotensin 전환효소(ACE) 억제제 : ACEI | 신장 통과 혈류압이 감소하면 → renin 유리 증가 (자동계량기) → Angiotensin I 증가 → ACE(전환효소)에 의해 Angiotensin II로 전환 → *혈관세포를 비육, 비대하게 하고 (혈관벽을 두텁게 하여 혈관의 내부 통로를 좁힘) * 직접적으로 혈관을 수축시키거나, 교감신경을 흥분시키며 * Aldosterone 분비 증가로 세뇨관에서의 Na+ 재흡수를 증가 --소변량 감소, 체약 양을 늘림 → 혈압 상승 즉 ACE 견제 / Angiotensin II 차단하면 → 혈관 확장 + 이뇨작용 → 혈압 상승 억제 |
Angiotensin II 수용체 길항제 : ARBs | ||
혈액량 줄이기 | 이뇨제 | 소변량 증가로 혈액량 감소시키기 |
계획 | 기전 | |
혈관 확장 | 혈관 확장제 | Nitroglycerin (니트로글리세린) / Isosorbide mononitrate (임듈) / Isosorbide dinitrate (앤지비드) / Dipyridamol / Trimetazidine / Nicorandil (시그마트) |
혈관 수축 막기 | 칼슘 길항제 CCB | 1) Benzothiazepine계 --- Diltiazem 2) Phenylalkaylamine계 – Verapamil 3) Dihydropyridines계 – Nicardipine / Nifedipine / Nimodipine / Amlodipine / Felodipine/ Manidipin / Nitrendipin / Benidipine / Isradipine / Banidipine / Lacidipine / Cilnidipine / Efonidipine / Lercanidipine 4) Diarylamine propyl amine ether 류 – Bepridil |
심장 박동 조절 | 교감신경 차단제 BB | ① β1 선택성 차단제 --- Atenolol / Acebutolol / Betaxolol / Metoprolol / Celiprolol / Bisoprolol / Nebivolol ② α, β 선택성 ---------- Carvedilol / Labetalol / Amosulalol ③ 비선택성 β 차단제 – Penbutolol / Propranolol / Nadolol |
계량기 조정 | ACE 억제제 ACEI | Benazepril / Enalapril / Perindopril / Quinapril / Ramipril /Trandolapril / Fosinopril / Lisinopril / Captopril / Moexipril |
ARBs | Losartan / Valsartan / Irbesartan / Candesartan / Telmisartan / Olmesartan / Eprosartan | |
혈액 용량 감소 | 이뇨제 | 1) 탄산탈수효소 억제제 ------- Acetazolamide (다이아막스) 2) Thiazide 이뇨제 ------------- Hydrochlorothiazide (다이크로짇) / Indapamide (후루덱스) 3) 강력 이뇨제 (Loop 이뇨제) – Furosemide (라식스) / Azosemide / Torasemide (토렘) 4) K+ 보존성 이뇨제 ① aldosterone 길항약 --------- spironolactone (알닥톤) ② Na+/K+교환을 직접 억제 – Triamterene / Amiloride (아미로) |
고지혈증
고지혈증 약물 기전별 분류 | ||
흡수 방해 | 소장에서 지방 흡수 차단 | 담즙결합수지 (cholestyramine), 이지트롤 (Ezetimibe) |
생산 방해 + 세포 안으로 처리 | 혈액 중의 콜레스테롤 감소에 중점 | Lovastatin (로바로드) / Fluvastatin (레스콜) / Simvastatin (심바스타) → 저녁 식사 직후 복용 Atorvastatin (리피토) / Pravastatin (메바로친) / Pitavastatin (리바로) / Rosuvastatin (크레스토) → 아무 때나 복용 가능 |
운반담당 VLDL 생성 억제 + 제거 | 혈액 중의 중성지방 감소 중점 | Gemfibrozil (로피드) : 아침, 저녁 식전 30분 복용 Clofibrate (아트로미드에스) / Benzafibrate (베자립) / Fenofibrate (리피딜) / Etofibrate (리포멜즈) → 식후 즉시 복용 |
중성지방 생성 방해 + 중성지방 / 콜레스테롤 운반 담당 생성 방해 | 혈액 중의 콜레스테롤 + 중성지방 줄이기 | Nicotinic acid (니코틴) |
소화기계
1. 공격인자 방어
1) 제산제 : ① 염산 중화 ② pepsin 불활성화 ③ 흡착, 피복 등의 작용으로 궤양면 보호 (1) 흡수성 제산제 : 위산을 중화한 후 흡수되어 혈액의 alkali화 증대 → 양이 과하면 alkalosis가 됨 • 탄산수소나트륨 (Na bicarbonate. 타스나정), 구연산나트륨 (Na citrate. 혼합제), 초산나트륨(Na acetate) (2) 국소성 제산제 : 위산을 중화한 후 소화관으로 흡수되지 않으므로 혈액의 산-염기 평형에 영향을 주지 않음 • 탄산칼슘(Ca carbonate. 씨씨본), 탄산마그네슘(Mg carbonate. 혼합제), 수산화알루미늄(Al hydroxide. 혼합제), 수산화마그네슘(Magnesium hydroxide, 마그밀), 산화마그네슘(Mg oxide, 마그오), 규산알루미늄(Aluminum silicate, 혼합제), 규산마그네슘(Magnesium silicate, 혼합제), 인산알루미늄(Al phosphate, 겔포스), Diomagnite(디오겔 현탁액), Almagate(알마겔) |
2. 위산 분비 억제제
1) 항 Cholin성 약물 : 구갈, 배뇨곤란, 변비, 산동, 빈맥 등의 우려가 있다. • Pirenzepine (유니피렌) |
2) 항 Histamine제 : 위산분비를 억제하며, pepsin의 분비도 감소한다. • Cimetidine (에취투 : 고용량 장기투여시 가역적인 여성형 유방 발현 가능) • Ranitidine (큐란) / Famotidine (가스터) • Lafutidne (스토가) / Nizatidne / Roxatidne (록산) |
3) 항 Gastrin제 • Oxethazaine (가스트로카인) : Gastrin을 생산하고 방출하는 G 세포 마취 • Ethyl piperidino acetylaminobenzoate (슬카인) : G 세포 마취 • Urogastron (유론) : Gastrin 분비 억제와 위장운동 차단 |
4) H+/k+ ATPase 억제제(Proton pump inhibitor. PPI) : 산 분비 완전히 차단. 작용시간도 길다. 산성환경에서 활성화되므로 제산제와 동시에 투여하지 않는다. • Omeprazole (라메졸) / Lansoprazole (란스톤) / Esomeprazole (넥시움) • Ilaprazole (놀텍) / Pantoprazole (판토록) / Rabeprazole (파리에트) • Dexlansoprazole (덱시란트디알) |
5) 칼륨경쟁적 산억제제(Potassium competitive acid blocker. P-CABs) : 기존 PPI보다 작용시간이 빠르다. • Revaprazan (레바넥스) |
3. 방어인자 강화 및 증강제
1) Prostaglandin 생성촉진 (Prostaglandin synthesis) • Sucralfate (아루사루민), Ecabet sodium (가스트렉스 과립), Rebamipide (무코스타), Artemisia asiatica 98% ethanol ext. (스티렌) |
2) Prostaglandin 유도체 • Irsogladine (가스론엔), Misoprostol (알소벤) |
3) 기타 방어인자들 • Teprenone (셀벡스), Cetraxate (노엘), Sodium alginate (라미나지 액, 개비스콘 복합제), Bithmuth dicitrate (데놀), Boehmite(듀란타현탁액), Benexate betadex HCl (울긋) • Egualen sodium (아주록사 과립), Polaprezinc (프로맥), Sofalcone (쏘롱), Sulglycotide (글립타이드정), Troxipide (아푸라스정) / Aldioxa (혼합제), Azulene과 L-glutamine (아렌타민 혼합제) |
4. 위장기능조절제 (Prokinetics)
중추신경계 신경전달물질 중 위장관 운동 기능에 관여하는 물질로는 Acetylcholine, Dopamine, Serotonin 등이 있다. |
a. Dopamine 및 Serotonin 수용체 길항제 • Metoclopramide (맥페란정) : 항암제 투여 시 항구토제로도 사용하며, 식전에 복용 |
b. Dopamine 수용체 길항제 • Bromopride (벤트릴) / Clebopride (크레보릴) / Domperidone (모티리움) • Levosulpiride (레보프라이드) / Itopride (이토메드) |
c. Serptonin 수용체 길항제 • Mosapride (가스모틴) |
d. Acetylcholine 수용체 효능약 • Aclatonium mapadisilate (아크라톤) : 평활근 수용체에 작용하여 소화관운동을 촉진 |
e. Acetylcholine 수용체 길항제(Antimuscarinic) 및 약한 아편 효능제(weak mu-opioid agonist) • Trimebutine (포리부틴) : 대장 경련을 완화시키고 대장 운동성을 정상화 시킨다. |
호흡기계
1. 기관지확장제
1) 교감신경 효능약 : Adenylyl cyclase의 활성화에 의해 cAMP를 증가시켜 기관지 평활근을 이완시킨다. • 1세대 : Isoproterenol (주사제) / Trimetoquinol (기침시럽) • 2세대 : Hexoprenaline (에토스콜) / Salbutamol (벤토린) / Terbutaline (터부탈린흡입액) • 3세대 : Tulobuterol (호쿠날린패치) / Fenoterol (베로텍) / Formoterol (아토크, 심비코트터브할러) / Clenbuterol (기침시럽) / Procaterol (로테롤) • 4세대 : Bambuterol (밤백) / Salmeterol xinafoate (세레타이드 250 디스커스) • 기타 : Pseudoephedrine (슈다페드) |
2) 항 Choline제 : 시도는 주로 부교감신경 말단에서 분비되는 choline의 지배를 받아 기관지가 수축되며 기관지 점액 분비가 촉진된다. 항 콜린제는 choline의 작용 기전을 차단하는 약물이다. • Ipratropium (아트로벤트 흡입제), Tiotropium (스피리바레스피맷) |
3) Xanthine 유도체 : cAMP를 불활성화시키는 효소를 길항함으로써 세포내의 cAMP의 농도를 증가시켜 기관지 평활근을 이완시킨다. • Theophylline (테올라비), Aminophylline (아미노필린), Diprophylline (아스코마), Acepifylline (아토필), doxofylline (액시마) • 야간 천식 치료에 유용하기는 하지만 치료역이 좁고, 부작용이 심각하기 때문에 혈중 농도를 주기적으로 체크하여야 한다. |
4) 항 Histamine제 • Cromoglycate (리나크로엠나잘스프레이), Tranilast (트라젠), Epinastine (유니러지), Ketotifen (자디텐), Oxatomide (옥사틴), Azelastine (아젭틴), Ozagrel (도메난) |
5) Leukotriene 수용체 저해제 • Pranlukast (오논, 씨투스, 프라네어), montelukast (싱귤레어), Zafirlukast (아콜레이트) |
2. 항염증 약물
Corticosteroids • Hydrocortisone, Prednisolone, Budesonide, Beclomethasone, Fluticasone, Triamcinolone, Ciclesonide |
3. 진해제
기침은 기도와 기관지 전반에 있는 수용체의 화학적, 물리적 자극(가래, 이물질)에 의한 반사작용이며, 이 수용체는 미주신경을 통해서 연수의 해소중추와 연결되어 기침을 유발한다. 1) 중추성 진해제 : 뇌의 기침 중추에 작용하여 기침 반사를 억제한다. ① 마약성 중추성 진해제 : codein(코데인), Dihydrocodein (디코데서방정) ② 비마약성 중추성 진해제 : Dextromethorphan (종합감기약) / Carbetapentane (펜탈) / Tipepidine (종합감기약) / Noscapine (종합감기약) / Benzonatate (지콜) / Levocloperastine (프리비투스현탁액) / Ivy leaf dried extract (시네츄라 시럽) Zipeprol (레스피렌) : 중추와 말초 모두에서 기침을 억제함 Benproperine (코프렐) : 중추와 말초 모두에서 기침을 억제함 ※ 한외마약 : 비마약성 의약품에 마약성분이 미세하게 혼합된 약물 신체적, 정신적 의존성을 일으킬 염려가 없다(코데날, 코푸시럽 등) 2) 말초성 진해제 ① Levodropropizine (레보투스) : 감각신경세어 중추로 전달하는 구심성 신걍전달을 말초 수준 에서 억제시킴 Oxolamine (페브론 시럽) : 목 점막의 기침수용체에 직접 작용하여 기침을 억제하며, 기관지 경련에 대하여 직접 작용하여 진경작용을 나타낸다 ② 천식 자료의 항 Choline제, 교감신경 효능약, Xanthine 유도체, 항 Allergy제와 동일 |
4. 거담제
1) 자극성 거담제 기도의 점액분비 촉진, 섬모운동 촉진 등으로 기침을 유발하여 가래를 뱉게 함 • Bromhexine (비졸본), Ambroxol (록솔), Sobrerol (소부날), Guaifenesin (종합감기약) 2) 용해성 거담제 점조한 기관지분비액(객담)을 용해∙액화해서 객출을 용이하게 하는 약물 • Acetylcysteine (뮤테란), Letosteine (레토졸), Carboxymethylcysteine (리나치올), Erdosteine (엘도스), Streptokinase, Streptodornase (바리다제), Trypsin (혼합제), Ribonuclease (혼합제) |
항 Histamine 약물
제 1세대 항히스타민제 :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졸림이 심하며, 운동장애, 경련 등이 나타나고, 항 choline 효과 (구강과 눈의 건조, 소변 저류 증가, 빈맥, 발기부전, 녹내장, 두통), 항 serotonin 효과, 항 bradykinin 효과도 나타난다. • Chlirpheniramine (페니라민) / Pheniramine (디스몰시럽 혼합제) / Brompheniramine (베아코프) / Dexchlorpheniramine (베스민) / Triprolidine (액티피드 혼합제) • Carbinoxamine (화이투벤코푸 혼합제) / Dimenhydrinate (보나링) / Piprinhydrinate (푸라콩) / Diphenhydramine (사르민) / Doxylamine (자메로) • Pyrilamine (멘자펜 혼합제) • Clemastin (클레틴) / Diphenylpyraline (스카이나 혼합제) • Hydroxyzine (유시락스) / Meclizine (소보민 혼합제) • Mequitazine (프리마란, 멕타진시럽) • Cyproheptadine (페리악틴) |
제 2세대 항히스타민제 : 중추신경계로의 침투력이 거의 없이 진정작용이나 조림이 없거나 낮다. 항 serotonin작용, 항 choline 작용, 교감신경계에서 α-수용체 차단기능이 낮다. • Acrivastin (샘프레어) / Azelastine (아젭틴) / Emedastine (레미코트) / Epinastine (유니러지) / Mizolastin (미졸렌) • Cetirizine (지르텍) • Loratadine (로다인) / Desloratadine (에리우스) / Astemizol (타스민) / Terfenadine (테르페나딘) • Ebastine (에바스텔) / Oxatonide (틴세트) / Levocabastatine (리보시틴네잘 스프레이) / Ketotifen (자디텐) |
제 3세대 항히스타민제 : 졸음의 부작용이 거의 없다. • Fenofenadine (알레그라) / Levocetirizine (씨잘) |
안과질환
1. 녹내장
작용 | 기전 | 약물 | |
배출증가 | Choline 효능약 | 축동을 일으켜 → 방수 공간의 틀을 넓힘 → 방수 배출 증가 | Pilocarpine (오큐카르핀 점안액) Acetylcholine (마이오콜E 점안액) |
Cholinesterase 억제제 | Choline 분해 억제 → 축동 → 방수 공간을 넓힘 → 방수 배출 증가 | Neostigmine (산클 점안액 혼합제) | |
Prostaglandin 유도체 | 포도막, 공막을 통한 방수 배출 증가 | Latanoprost (잘라탄 점안액) / Travoprost (트라바탄 점안액) / Bimatoprost (루미간 점안액) / Unoprostone (레스큘라 점안액) / Tafluprost (타플로탄 점안액) | |
α-교감신경 효능약 | 방수 생성 감소시킴 + 포도막과 공막을 통한 방수 배출 증가 | Apraclonidine (아이오피딘 점안액) Brimonidine (브리딘티 점안액) / Dipivefrin (디피베프린 점안액) | |
생성감소 | β-교감시경 차단제 | 방수 생성 감소 | Timolol (티몰렌 점안액) /Betaxolol(베톱틱 점안액) / Nipradilol (하이파딜 점안) / Carteolol (미케란 점안액) / Levobunolol (베타간 점안액) / Metipranolol (베타옵티올 점안액) |
탄산탈수소효소 억제제 | 1. 근위세뇨관에 작용하여 재흡수 억제 → 이뇨작용 2. 모양페 상피에 작용하여 물을 빼냄 → 안압 저하 | Dorzolamide (트루솝 점안액) / Brinzolamide (아좁트 현탁액) / Diclofenamide (그라코나이드 경구 복용) / Methazolamide (메조민 경구 복용) / Acetaolamide (다이아막스 경구용) |
2. 백내장
성분 | 상품명 | 기전 |
Pirenoxine | 가리유니, 카다린 | Quinoid 물질과 경쟁적으로 작용하여 수정체의 투명성 유지 |
요오드화 칼륨, 요오드화 나트륨 | 큐아렌, 유니렌 | 수정체의 신진대사를 촉진 |
Azapentacene polysulfonate Na | 카타락, 퀴낙스 | |
A액. Rubidiun Iodide, Na Iodide, Ca folinate + B액. Na ascorbic acid, Thiamine Hcl | 루비요비트 점안액 | |
Bendazac lysine | 카리진 점안액 |
3. 안구건조증 치료, 각막 보호
• Povidone (옵타젠트 점안), Lanolin (듀라티얼즈 점안), Hyaluronic Acid (라큐아), Carboxy methyl cellulose (리프레쉬플러스 점안액), Dextran + Hypromellos (티얼스네추럴 점안액), Polysorbate (비나드롭 점안), Retinol (하이포티어스겔), Solcoseryl (솔콜린 점안), Carbomers (시카플루이드), Cetrimide (옵타젤 점안액), Polyvinyl Alcohol (루버리칸)
4. 안고 염증 질환 약물
1) 항 바이러스 제제
• Idoxuridine, Trifluridine (티.에프.디 점안액), Acyclovir (헤르페시드 안연고), Interferon Alfa (아파페론 안약), Ganciclovir (버간 점안겔)
2) 항생제 / Sulfa제 / 화학요법제
• Moxifloxacin (비가목스 점안액), Azithromycin (아지터 점안액), Chloramphenicol (옵티클 점안액), Pimaricin (나타신 점안액), Gentamicin (오큐겐타 점안액), Tobramycin (오클 점안액), Fusidic acid (비후시딕 점안액), Erythromycin (에코리신 점안액), Micronomicin (록소미시나)
• Sulfamethoxazole (신도톱쿨 점안액)
• Ofloxacin (퀴노비드 점안액), Norfloxacin (노프록산 점안액), Ciprofloxacin (씨프로신 점안액), Levofloxacin (크라비트 점안액), Gatifloxacin (가티플로 점안액), Besifloxacin (베시반스 점안액)
3) 항염증 제제 (Steroid 제제)
• Dexamethasone (맥시덱스 점안액), Loteprednol (알렉스 점안액), Betamethasone (베타스터른유디 점안액), Fluorometholone (오큐메토론 점안액), Rimexolone (벡솔 점안액), Fluocinolone (레티서트 이식정), Prednisolone (오큐프레드 점안액)
4) 항염증 제제 (비 steroid 제제)
• Azulene (아주라빈 점안액), Diclofenac (옵타낙 점안액), Flurbiprofen (오큐펜리퀴필름 점안액), Ketorolac (키톨락 점안액), Pranoprofen (ㅍ라노 점안액), Bromfenac (브로낙 점안액)
5) 기타 망막 치료제 / 각막 보호제
[당뇨병성 망막증 치료제] • Troxerutin (포소루틴 점안액)
[혼합제로 사용되는 각막 보호제] • Polyeth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중추신경계
1. 항정신병 약물
1. Phenothiazine 유도체 • Chlorpromazine (네오마찐), Perphenazine (트리민), Trifluoperazine (오페라진) | 2. Thioxanthene 유도체 • Chlorprothixene (트라진), Thiothixene (오나벤) |
3. Meperidine계 • Haloperidol | 4. 기타 약물들 • Risperidone (리스페달), Molindone (모반), Clozapine (클로자릴) |
2. 항불안 약물 (진정제, 수면제)….. [GABA, Serotonin과 관련]
GABA와 관련 | 1. Benzodiazepines류 소량에서는 졸림 → 용량이 증가하면 항불안, 항우울, 진정, 수면, 항경련, 근이완, 마취 작용 치료효과는 투약 후 수일이 지난 후에야 나타남 Lorazepam (아티반) / Diazepam (디아제팜) / Clotiazepam (리제) / Chlordiazepoxide (리버티) / Etizolam (데파스) / Alprazolam (자나팜) / Tofisopam (토핌) / Chlorazepate (트랑센) / Pinazepam (피나팜) / Clonazepam (리보트릴) / Triazolam (졸민) / Flurazepam (달마돔) / Bromazepa, (브로마제팜) 2. Imidazopyridine 유도체 : Zolpidem (스틸녹스) – 주로 단기 불면증 치료제로 사용 (항불안, 항경련 작용은 약함) 3. Barbiturate : phenobarbital (페노바르비탈) – 현재는 경련치료(간질), 일반 마취에 사용 |
Serotonin과 관련 | 4. Azapirones : Buspirone (부스파) |
3. 반감기에 따른 수면제 분류
수면유도제 • Doxylamine (아론) • Diphenhydramine (슬리펠) | 단시간형 • Zolpidem (스틸녹스, 졸피뎀) : 반감기 1.5시간 • Triazolam (할시온, 졸민) : 반감기 1.5~3시간 • Midazolam (도미컴) : 반감기 1.5-5.3 | 장시간형 • Flunitrazepam (루나팜) : 반감기 25-35 • Quazepam (도랄) : 반감기 39시간 • Flurazepam (달마돔) : 반감기 40시간~5일 |
- 다른 용도로 이용하는 약물 중 진정, 수면, 불안에 응용하는 약물 - • 항히스타민제 : Hydroxyzine (유시락스)….. 불안, 긴장 초조에 사용 Diphenhydramine (슬리펠)…… 낮은 용량에서 유효하고 안전한 수면 유도 작용 • 항정신병약 : Chlorpromazine (클로마진)… 불안, 긴장, 흥분에 사용 • 항우울증약 : Amitriptyline (에트라빌, 에나폰)… 진정작용과 공포증, 공황증 형태의 불안증 치료에 사용 |
4. 항우울증 약물
1) 삼환계 항우울증약 : Imipramine (이미프라민) / Doxepin (세라칸) / Amitriptyline (에트라빌) / Nortriptyline (센시발) / Quinupramine (키누민) / Amoxapine (아디센) |
2) MAO 억제제 : moclobemide (오로릭스) |
3) Serotonin-reuptake 길항제 : Fluoxetine (푸로작), Sertraline (졸로푸트), Paroxetine (세로자트) / Fluvoxamine (듀미록스) |
4) 제 2세대 항우울제 : Trazodone (트리티코), Bupropion (웨부트린서방정) |
5. 간질에 사용하는 약물
GABA (억제성 전달물질) / Cl- (발작 감소) / Na+ (발작 전달 증가) / Ca++ (세포의 발작 진동 진폭) 등이 관여 | ||
Hydantoins 유도체 | Phenytoin (히단토인) | • Na+ 통로에 결합함으로써 신경세포의 Na+ 유입을 억제함 • 간질이 없는 장애성 정신질환자, 삼차신경통, 부정맥 등에도 사용 |
Iminostilbens | Carbamazepine (테그레톨) | • 신경세포 내로 Na+의 유입 억제 (삼차신경통에도 사용) • 소발작에는 효과가 없으며… 오히려 악화시킴 |
Barbiturates 유도체와 유사체 | Phenobarbital (페노바르비탈) Primidone (프리미돈) | • 신경세포의 Cl-통로에 대한 GABA의 작용을 지속시킴 |
Valproic acid (데파킨크로노) | • 신경세포 내로 Na+ 유입 억제(신경세포의 안정화) + Ca++ 흡수 차단 + GABA의 대사 (불활성화)을 억제 → 발작억제 • 사망에 이르는 간 기능 이상의 심각한 부작용이 있으며, 간 독성은 약물의 용량, 연령과 무관하며, 특이체질 반응으로 나타난다. | |
Succinimide 계 | Ethosuximide (자론티) | • Ca++ 흡수를 차단. 세포의 발작 진동 증폭 억제 • 소발작 치료에만 효과 |
Benzodiazepins | Clonazepam (리보트릴) Diazepam (디아제팜) Clorazepam (트랑센) | • GABA 수용체와 인접한 Benzodiazepine 수용체에 작용 → 간접적으로 GABA의 신경전달을 촉진 |
신약류 | Gabapentin (뉴론틴) | • 현재까지 주요 부작용은 거의 발견 안됨. |
Lamotrigine (라모티진) | ||
Vigabatrin (사브릴) | • 신경세포에서 GABA의 대사(불활성화)을 억제 → 발작 감소 |
6. 파킨슨병에 사용하는 약물
분류 | 약물 | 기전 |
Dopamine을 증가시키거나 수용체를 항진시키는 약물 • 흔하고 심하게 나타나는 부작용으로 무도병(사지, 손발, 몸통, 혀 등이 춤추듯 움직임) 등이 있음 | Levodopa + Benserazide hydrochloride (마도파) | Dopamine의 전구체로 dopamine을 증가시킴 |
Bromocriptine (팔로델) | 파킨슨병 치료 외에 유즙분비억제 기능도 있음 | |
Amantadine (피케이멜즈) | 고농도의 Levodopa를 못 견디는 환자에게 Levodopa와 병용투여(바이러스 치료제로 사용) | |
Pergolide (씨랜드) | Levodopa + Carbidopa 혼합제의 보조제로 사용 | |
Selegiline (유멕스) | MAO 억제제(Dopamine의 불활성화 억제)로 Dopamine을 증가시킴 | |
Acetylcholine 억제제 • 파킨슨병 초기단계 or 증상이 완만한 경우에 사용 • 일반적인 부작용은 모양근 조절 마비, 구강건조, 뇨저류, 변비 등 • 고용량에서의 부작용은 착란, 헛소리, 환각 등을 일으킬 수 있다 | Benztropine (벤즈트로핀) | 항정신병 약물 부작용으로 나타나는 파킨슨병(특히 전율)에도 유효 |
Trihexyphenidyl (트리헥신) | ||
Biperidine (아톨) | ||
Diphenhydramine | • 항Choline제, 항Histamine제로 완만한 파킨슨ㅆ병에 사용 • Levodopa나 Dopamine 효능약들을 견디지 못하는 노약자에게 사용 |
7. 치매에 사용하는 약물들
• 발병 원인데 따라 파킨슨병 치료제 Selegiline (마오비)
심혈관계 치료제 칼슘길항제
발병 원인에 따른 근본 치료제 선택
• 증상발현에 대한 대증요법
a. 망상 : 항정신병약 Haloperidol (페리돌) / Risperidone (리스페달)
b. 정좌불능 : 수면제, 항불안약 Lorazepam (아티반) / Buspirone (부스파)
c. 우울 : 항우울약 중 선택적 Serotonin-uptake 길항제
d. 불안, 수면장애 : 수면제, 항불안약 Benzodiazepine 류
e. 통증 :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 Choline성 신경전당 촉진과 뇌기능 개선제
Bethanechol (마이토닌) : Choline 유사물질로 방광의 신경성 근이완증에 사용
Donepezil (아리셉트) : Choline성 신경전달을 빠르게 함
Acetyl-L-carnitine (카니틸) : Acetylcholine의 기능 촉진, 뇌새포의 강력한 항산화제, 뇌세포의 에너지 생산 향상
Pyridostigmine (메스티논) : Cholinesterase 저해제로 중증 근무력증에 사용
Lecithin : 인지질 복합체(phosphatidyl choline, Inositol, Serine)로 뇌, 신경조직의 필수성분, Choline 생산 촉진
Piracetam (뉴트로필) : 뇌기능개선제로 학습능력, 기억력의 증진에 효과가 있다고 여겨지고 있다.
암과 면역
Ⅰ. 세포독성 항암제
1. Alkylating agent : 항암제의 alkyl군과 세포의 일부(DNA, RNA, 단백질, 아미노산, 여러 효소의 친핵성 부위)와 공유결합을 하여 → 빠르게 증식하는 DNA, RNA 합성을 억제 →항암효과 | |
약물 계열 | 성분 |
Nitrogen mustards | Mechlorethamine / Cyclophosphamide (알키록산) / Chlorambucil (류케란) / Melphalan (알케란) / Ifosfamide (홀록산.주) / nimustine (니드란 주) |
Nitrosoureas | Carmustine (BiCNU.주) / Lomustine (씨이이엔유캅셀) / Semustine / Streptozocin |
Alkyl sulfonates | Busulfan (부설펙스 주) |
Ethylenimines | Thiotepa (테파디나 주) |
Triazenes | Temozolomide (테모달) / Dacarbazine (데티신.주) |
Platinum analogues | Cisplatin (유니스틴 주) / Carboplatin (카보티놀.주) / Oxaliplatin (옥사플라 주) / Heptaplatin (선플라 주) |
기타 | Estramustine (에스트라시트 캅셀) / Etoglucid / Mitobronitol / Pipobroman / Triaziquone / Carboquone |
2. 항암성 항생제 (Antibiotics) • DNA의 염기쌍 사이에 끼어들어 DNA와 결합 → DNA, RNA 합성 저해하거나, • DNA 이중나선을 알킬화하여 나선 사이에 cross-linking을 일으켜 DNA 합성 저해. • 연쇄반응에 의해 생성된 유리 산소가 DNA 한 가닥을 절단. | |
계열 | 성분 (상품명) |
Anthracycline계 | Doxorubicin (아드리아마이신주) / Daunorubicin (다우노루비신주) / Idarubicin (자베도스주) / Epirubicin (에피루비신 주) / Mitoxantrone (미트론 주) / Pirarubicin (피노루빈 주) / Zorubicin / Valrubicin / Amrubicin |
기타 | Mitoxantrone(DHAD) (미트론 주) / Bleomycin Sulfate (브레오신주) / Mitomycin (미토마이신씨주) / Dactinomycin (닥티노마이신 주) / Plicamycin (미트라신) |
3. 대사 길항제 (Antimetabolites) : 세포의 성장과 관련된 체내물질과 구조적으로 비슷하여 체내 물질의 결합부위와 상경적으로 결합하거나, 세포내의 DNA나 RNA에 들어가기 때문에 세포성장과 증식을 억제한다 | |
약물 계열 | 성분 |
Folate 길항제 (Folic acid 유도체) | Methotrexate(메토트렉세이트) / Pemetrexed (알림타 주) / Pralatezate (폴로틴 주) |
Purine 길항제 (Purine 유도체) | Mercaptopurine (푸리네톤) / Fludarabine (플루다라) / Clofarabine (에볼트라 주) / Thioguanine(치오구아닌) / Nelarabine |
Pyrimidine 길항제 (유도체) | Cytarabine(시타라빈 주) / Decitabine (다코젠 주) / Enocitabine (에노론 주) / Azacitidine (비다자 주) / Oteracil (티에스원 혼합제) / Gimeracil (티에스원 혼합제) / Doxifluridine(광동독시플루리딘) / Gemcitabine (젬자 주) / Uracil (유에프티이 과립 혼합제) / Cladribine (류스타틴 주) / Tegafur (티에스원 혼합제, 유에프티이 과립 혼합제) / Capecitabine (젤로다) / 5-Fluorouracil (유토랄 주) / Carmofur (미푸롤정) |
Ribonucleotide reductase inhibitors | Hydroxyurea (하이드린) |
4. 천연 항암제 (Plant Alkaloids & Natural Products) : 핵산 대사과정 및 유사분열에 관여함으로써 핵산 합성을 억제함 | |
약물 계열 | 성분 |
Vinca alkaloids | Vincrestine (빈크리스틴,주) / Vinblastine sulfate (벨바스틴주) / Vinorelbine (나벨빈주) / vindesine |
Epipodophyl- lotoxins | Teniposide (부몬주) |
Taxenes | Paclitaxel (탁솔주) / Cabazitaxel (제브타나 주) / Docetaxel (탁소텔주) |
Epipodophyllotoxins | Etoposide (라스텟트 주) |
기타 | Trabectedin (욘델리스 주) / Demecolcine |
5. 기타 세포 독성 항암제 | ||
약물 계열 | 성분 (제품명) | 특징 |
Proteasome inhibitor | Bortezomib (벨케이드 주) | • Proteasomes(enzyme 복합체)를 억제 → 세포 apoptosis(사멸) |
TOPO-1 inhibitor | Belotecan (캄코벨 주), Irinotecan (캄토푸 주), Topotecan (하이캄틴 주) | • DNA-Topoisomerase I저해제 : 번역이나 복제를 위한 초기단계를 억제함으로써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함 |
백금 화합물 | Cisplatin (시스플라틴 주) | • DNA와 cross-linking으로 DNA 합성 저해 |
Carboplatin (카프란 주) | ||
Oxaliplatin (옥사플라 주) | • DNA의 guanine 염기에 결합 → DNA 합성 저해 | |
Heptaplatin (선플라 주) | • 제 3세대 백금 착화합 항암제 | |
기타 | Procarbazine (마추란) / Mitotane (미소드렌) / Amsacrine (암시딜주) / Mitoxantrone (산트론주) / Altretamine (헥살렌) / L-Asparaginase (로이나제주) / Thalidomide (탈리도마이드) / Anagrelide (아그린) / Hematoporphyrin derivatives (포토딘 주) |
Ⅱ. 호르몬성 항암제 (Hormonal agents)
약물 계열 | 성분 (제품명) |
Glucocorticoid | Prednisone |
Antiestrogens (Estrogens) | Tamoxifen citrate (놀바덱스) / Diethylstilbestrol (비스트롤) / Estramustine sodium phosphate (에스트라시트) / Toremifene (화레스톤) |
Antiandrogens (Androgens) | Flutamide (유렉신) / Bicalutamide (비카루드) |
Aromatase inhibitors | Anastozole (아라미덱스) / Formestane (레타렌데포주) / Exemestane (아마로신) / Letrozole (페마라) |
LH-releasing hormone antagonist | Buserelin (슈퍼팍트) / Leuprolide (Leuprorelin. 루크린데포주) / Goserelin (졸라덱스주) |
Progestins | Megestrol (메게스트롤 현탁액) (영양실조(Cachexia)의 경우 식욕촉진제로도 사용) |
Somatostatin 유도체 | Octreotide (산도스타틴주) |
Ⅲ. 표적치료제 (신호전달체계 차단제)
약물계열 | 성분 (제품명) |
Monoclonal antibodies (단일클론 항체) | Alemtuzumab (맵캠파스 주) / Bevacizumab (아비스틴 주) / Cetuximab (알비툭스 주) / Ibritumomab (제바린키트 주) / Rituximab (맙테라 주) / Trastuzumab (허셉틴 주) |
Tyrosine kinase 억제제 | Imatinib (글리벡) / Erlotinib (타세바) / afatinib dimaleate (지오트립) / sorafenib (넥사바) / Sunitinib (수텐) / dasatinib (스프라이셀) / lapatinib (타이커브) |
EGFR 억제제 | Gefitinib (이레사) |
Ⅳ. 항암요법 보조제
약물 계열 | 성분 (상품명) | ||
세포성장 인자 (CSF : colony stimulating factor) | Granulocyte-CSF (G-CSF) | Filgrastim (그라신주) Lenograstim (뉴트로진주) | • 세포의 증식 및 분화를 자극하는 특이한 수용체에 결합 • 식세포의 작용을 증진시키고, 항체-dependent killing 기능을 향상시킴 • 화학요법 이후 호중구의 회복을 가속시켜 감염을 방지 |
Granulocyte-Macrophage-CSF (GM-CSF) | Sargramostim (류코젠액 주) | • 과립구와 대식세포가 만들어지는 기능과 생성을 강화시키며 • 고용량 화학요법, 고용량 방사선 조사, 골수이식 이후 골수의 회복을 가속화시키는데 사용한다. | |
Cytoprotective agents | Oxazaphosphorine | Mesna (미스타본액) | |
Cisplatin계 | Amifostine (에치올주) | ||
Anthracycline계 | Dexrazoxane (카디옥산주) | ||
엽산 길항제계 | Leucovorine (류코보린 주) | ||
비타민유도체 | ATRA(All-trans-retinoic acid. Tretinoin. 베사노이드연질캅셀) |
Ⅴ. 암 치료와 관련된 면역 조절제 (Immuno modulating agents)
약물 계열 | 성분 (제품명) | 특징 |
Levamisole | Levamisole (레바미솔) | • 원래 구충제로 개발된 약물로 T-cell 기능과 세포 면역 증가 |
Interferons | Interferons α-2a (인터맥스알파 주) Interferons α-2b (페그인트론 주) Interferons β-1a (레비프프리필트 주) Interferons β-1b (베타페론 주) Interferons γ (인터맥스감마 주) | • E.coli를 이용한 재조합 DNA 기술에 의해 생성되는 고순도의 단백질 • 세포막 수용체에 결합하여 항암작용을 나타낸다. |
Interleukins | Aldesleukin (Interleukin-2) | • T림프구의 세포독성 증가, NK cell의 세포 활성 유도, interferon-γ생성, 유도 등 면역계에 복합적인 영향을 미침 • LAK(lymphokine activated killer cell) 혹은 TIL (tumor infiltrating lymphocyte)과 병용하거나 단독으로 사용 |
균체 | BCG Strain tice (온코타이스 주) | • 독성을 약화시킨 소의 결핵균으로 면역 증강제로 사용된다(BCG vaccine) |
Picibanil (피시바닐 주) | • Streptococcus pyogenese로부터 동결 건조시켜 얻은 균체 제제 | |
Mistletoe (겨유살이) | Viscum album Ext. (헬릭소 주) | • 주요 성분은 Lectin, 다당류, 알칼로이드, viscotoxin 등의 폴리펩타이드 |
조개 | Immunocyanin (이뮤코텔 주) | • 바다 복족류과인 구멍삿갓조개의 헤모글로빈 KLH를 안정적인 형태로 변형시킨 물질로 방광 점막에서 세포성 면역과 체액성 면역을 증강시킴 |
흉선 추출물 | Thymomodulin (로이콘 시럽) | • 소의 흉선 추출물로 골수에 직접 작용하여 조혈기능을 증진시키며 • T-림프구, B-림프구에 작용하여 면역 기능을 향상시킴 |
균사체 | Polysaccharide-K (코포랑) | • 가와라다께 균사체에서 얻은 단백 다당류 |
장기 제제 | Polypeptide (협진폴리엘가) | • 돼지비장 가수분해 분말 |
|
첫댓글 정리왕 입니다. 수고 많았어요^^*
감사합니다 약사님 좋은 주말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