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말씀 - 예레미야 31:1-9】
1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그 때에 내가 이스라엘 모든 종족의 하나님이 되고 그들은 내 백성이 되리라
2 여호와께서 이같이 말씀하시니라 칼에서 벗어난 백성이 광야에서 은혜를 입었나니 곧 내가 이스라엘로 안식을 얻게 하러 갈 때에라
3 옛적에 여호와께서 나에게 나타나사 내가 영원한 사랑으로 너를 사랑하기에 인자 함으로 너를 이끌었다 하였노라
4 처녀 이스라엘아 내가 다시 너를 세우리니 네가 세움을 입을 것이요 네가 다시 소고를 들고 즐거워하는 자들과 함께 춤추며 나오리라
5 네가 다시 사마리아 산들에 포도나무들을 심되 심는 자가 그 열매를 따기 시작 하리라
6 에브라임 산 위에서 파수꾼이 외치는 날이 있을 것이라 이르기를 너희는 일어나라 우리가 시온에 올라가서 우리 하나님 여호와께로 나아가자 하리라
7 여호와께서 이와 같이 말씀하시니라 너희는 여러 민족의 앞에 서서 야곱을 위하여 기뻐 외치라 너희는 전파하며 찬양하며 말하라 여호와여 주의 백성 이스라엘의 남은 자를 구원하소서 하라
8 보라 나는 그들을 북쪽 땅에서 인도하며 땅 끝에서부터 모으리라 그들 중에는 맹인과 다리 저는 사람과 잉태한 여인과 해산하는 여인이 함께 있으며 큰 무리를 이루어 이 곳으로 돌아오리라
9 그들이 울며 돌아오리니 나의 인도함을 받고 간구할 때에 내가 그들을 넘어지지 아니하고 물 있는 계곡의 곧은 길로 가게 하리라 나는 이스라엘의 아버지요 에브라임은 나의 장자니라
【말씀 나눔】
어제에 이어지는 오늘 말씀에서 예레미야 선지자는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는데, 1절을 보면 그 때에 내가 이스라엘 모든 종족의 하나님이 되고 그들은 내 백성이 되리라라고 선포합니다. 내가 이스라엘의 하나님이 되고 그들은 내 백성이 되리라는 말씀은 시내산 언약을 떠올릭 합니다.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의 부르짖음을 들으시고, 아브라함에게 하신 약속을 지키시기 위해 이스라엘 백성들을 애굽에서 약속의 땅으로 이끌어내셨습니다. 그리고 시내산에서 이스라엘 백성들과 언약을 맺으셨습니다.
출애굽기 19:5-6에보면,
5 세계가 다 내게 속하였나니 너희가 내 말을 잘 듣고 내 언약을 지키면 너희는 모든 민족 중에서 내 소유가 되겠고
6 너희가 내게 대하여 제사장 나라가 되며 거룩한 백성이 되리라 너는 이 말을 이스라엘 자손에게 전할지니라 라고 말씀하십니다.
시내산 언약에는 조건이 있습니다. 바로 이스라엘 백성들이 하나님의 언약을 지켜 행하는 것입니다. 이 조건이 충족 될 때, 이스라엘 백성들은 하나님은 예배하는 나라가 되고, 하나님의 거룩한 백성이 됩니다.
출애굽 할 때, 이스라엘 백성들은 애굽에서 곧바로 약속의 땅으로 옮겨진 것이 아니라, 광야에서 40년의 세월을 보내게 하셨습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의 입장에서 광야는 고난의 기간이었을지 모르지만, 오늘 본문에서는 ‘은혜’를 입은 곳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2절에 ‘백성이 광야에서 은혜를 입었나니’ 라는 말씀의 원어를 직역하면 ‘백성이 광야에서 은혜를 찾았다’는 말로도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이 칼을 피하여 갔던 광야를 은혜의 장소로 표현한 이유는 그 광야를 통해 약속의 땅으로 들어가기 때문입니다. 광야는 ‘안식’을 얻기 위한 과정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성경에서 안식이라는 단어는 안식일을 표현하는 ‘샤바트’라는 단어를 사용하지만, 오늘 본문은 ‘라가’라는 단어를 사용합니다. ‘샤바트’는 그침, 멈춤이라는 의미가 강하지만, 라가는 ‘쉼’이라는 의미가 강합니다. 따라서 그들이 지나간 광야는 참된 ‘쉼’을 얻기 위한 과정이었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그들이 광야서 하나님의 은혜를 입어 ‘쉼’을 얻을 수 있었던 것은 그들이 행한 일에 대한 보상이 아니라 순전히 하나님의 사랑 때문입니다. 하나님의 이 사랑이 애굽에서 이끌어내사 약속의 땅으로 인도하신 것처럼, 변함없으시고, 신실하신 하나님께서 영원하신 그 사랑으로 이스라엘 백성들을 바벨론에서 이끌어내실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이끌어내시는 대상은 남 유다 왕국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이미 100여 년 전에 앗수르에 의해 멸망 당한 북이스라엘도 포함됩니다. 앗수르가 바벨론에 의해 패망하였기 때문에 앗수르에 포로로 끌려간 사람들도 바벨론의 통치 아래 놓이게 되었을 것입니다. 하나님께서는 그들 모두를 모으십니다.
하나님께서는 북쪽에 있는 민족을 이끌어 들여서 이스라엘을 심판하셨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북쪽 땅에서부터 흩어져 있는 이스라엘 백성들을 모으셔서 시온으로 돌아오게 하실 것입니다. 8절에 보면,
보라 나는 그들을 북쪽 땅에서 인도하며 땅 끝에서부터 모으리라 그들 중에는 맹인과 다리 저는 사람과 잉태한 여인과 해산하는 여인이 함께 있으며 큰 무리를 이루어 이 곳으로 돌아오리라 라고 말씀하십니다.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그가 부정한 상태이든 정결한 상태이든, 하나님의 백성이라는 이유만으로 그들은 돌아오게 됩니다. 그런데 그들의 복귀는 패잔병의 후퇴와 같은 비참한 모습이 아닙니다.
오늘 본문 4절을 보면,
처녀 이스라엘아 내가 다시 너를 세우리니 네가 세움을 입을 것이요 네가 다시 소고를 들고 즐거워하는 자들과 함께 춤추며 나오리라 라고 약속하십니다.
마치 개선장군이 복귀하는 것처럼, 이스라엘 백성들을 이끄셔서 약속의 땅으로 돌아오게 하시며, 70년간 ‘쉼’을 누렸던 이 땅에서 그들이 ‘쉼’을 누리게 될 것입니다. 뿐만아니라 그들은 그들의 땅에서 농작물을 심고 거두게 될 것입니다.
그들은 그렇게 기쁨으로 돌아오게 될 것입니다. 9절에,
그들이 울며 돌아오리니 나의 인도함을 받고 간구할 때에 내가 그들을 넘어지지 아니하고 물 있는 계곡의 곧은 길로 가게 하리라 나는 이스라엘의 아버지요 에브라임은 나의 장자니라 라고 말씀하십니다.
이스라엘이 포로 귀환하는 길은 출애굽처럼 광야 길이 아니라, 넘어지지 않을 평탄한 길로 인도하시며, 물이 없어 목이 타는 고통을 느끼지 않도록 물이 많은 시냇가로 가게 하실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우리를 광야로 인도하시는 것은 그 만한 이유가 있어서입니다. 우리가 가는 인생길은 항상 광야길만 걷는 것이 아닙니다. 하나님은 우리를 평탄한 길로, 시냇가로도 가게 하십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하나님의 인도하심입니다. 하나님의 인도하심에 따르면 광야도 은혜를 입고 ‘쉼’을 누리는 자리가 될 것이며, 우리가 걷는 길이 험하고 멀지라도, 하나님께서는 그 길을 목마르지 않는 시냇가의 길과 같게 하실 것입니다.
어느 길을 걷는가 보다 더 중요한 것은 주님과 함께 하는가?입니다.
주님과 함께 동행하는 길은 기쁨이 있고, 은혜가 있으며, 풍성한 열매가 있습니다.
오늘, 우리 앞에 있는 길의 험 함에 낙심하지 말고, 사막 한가운데 있더라도 그곳을 시냇가로 만드시는 주님과 동행함으로 참된 ‘쉼’을 누리는 하루를 살아가는 저와 여러분 다 되기를 예수님의 이름으로 축원합니다.
【하루를 시작하며 하나님의 말씀을 깨닫는 묵상 - 하시깨묵】
1. 어제 하나님께서 주신 마음으로 결심한 결단과 실천 사항을 생활 속에서 적용한 결과는 어떻게 평가 할 수 있습니까?
2. 오늘 말씀 속에서 발견한 하나님은 어떤 분이며, 말씀에서 깨달은 하나님의 뜻은 무엇입니까?
3. 어제 하루 중에 기억에 남는 사건(일) 한 가지를 기록해 보세요.
그 사건에 대한 나의 마음이 어떤 느낌인지 적어 보세요.
4. 오늘 본문에서 발견한 문제와 어제 기억에 남는 사건은 어떤 유사점을 가지고 있나요?
5. 어제 사건 중에 하나님은 나에게 어떤 행동을 원하셨을까요?
6. 오늘 본문은 나에게 어떤 교훈을 주고 있습니까?
그렇다면 내가 하여야 할 일은 무엇입니까?
7. 하나님께서 주신 마음으로 기도문 적기 & 실천 사항 적기
【추천 찬송가】
304장 그 크신 하나님의 사랑
【은혜의 찬양】
여호와께 돌아가자 :
https://youtu.be/NYiH9ftHjWo?si=yLVDuQcfF7H9K21-
【새벽예배 영상】
https://youtube.com/live/_xqsy4k7Gf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