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프리즘 전공수학
 
 
 
카페 게시글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복소 해석학 연결집합과 경로연결의 동치성
civilization 추천 0 조회 82 21.07.27 22:34 댓글 40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작성자 21.07.27 22:39

    첫댓글 혹시 몰라 필기노트를 첨부합니다

  • 21.07.28 00:07

    G안에서 K의 여집합에서 원소p를 하나 꺼내면요. p와 유한 연결 점집합은 다시 열린이구요. 그래서G안에서 K의 여집합이 열린이됩니다.

  • 작성자 21.07.28 00:11

    G 안에서 K의 여집합이 유한연결점집합이 어떻게 되는지 잘 이해 안 됩니다...

  • 작성자 21.07.28 00:13

    그런데 다른 책에서는 왜 정의로 두고 넘어가는 걸까요? 그 편이 저자 입장에서 논의하기가 더 쉬워지나요

  • 21.07.28 00:18

    @civilization G 안에서 K밖에있는 원소 p를 뽑았어요. 그럼 p와 유한선분연결점들을 모아서 집합을 구성할 수 있죠 그죠? 그게 근데 또 열린이죠?

  • 21.07.28 00:18

    @civilization 다른 책 이야기는 좀 이따가 합시다 먼저 이 이야기 마무리 하고요.~

  • 작성자 21.07.28 00:23

    @신선물고기 아아 이해했습니다
    B_r(p)를 유한 선분 따라서 합집합해버리면 해결되는 거 맞나요?

  • 21.07.28 00:23

    @civilization 음.. 글세요.. 다시 처음부터 해 봅시다.

  • 21.07.28 00:25

    지금부터 여기 댓글에서 G는 열린이고 비지않은 집합이고요. 복소평면에 있구요. 우선 점 p in G에 대하여 p와 유한 선분으로 얀결된 점집합은 열린입니다. 여기까지 오케이?

  • 작성자 21.07.28 00:25

  • 21.07.28 00:27

    @civilization 자 그럼 저기 p에서 유한 선분 연결 점집합을 K라 합시다. 이제 G에서 K에 안드는 원소 (있다면)를 q 라 하고요. q에서 유한 선분 연결 점집합을 L이라 합시다. 그럼 L도 열린이죠 그죠?

  • 작성자 21.07.28 00:27

    @신선물고기 네 그렇습니다

  • 21.07.28 00:28

    @civilization 근데 또 L과 K는 안 만나죠 그죠?

  • 작성자 21.07.28 00:28

    @신선물고기 네 당연히 두 집합은 서로소입니다

  • 21.07.28 00:29

    @civilization q가 임의의 원소니까 K는 G안에서 닫힌이죠?

  • 작성자 21.07.28 00:31

    @신선물고기 L이 열린집합이고 K는 L의 여집합이기 때문인가요?

  • 21.07.28 00:32

    @civilization 아뇨.ㅠㅠG안에서 K외부의 임의의 점 q에 대하여 그 열린근방이 존재해서 K하고 안 만나서요.ㅠㅠ

  • 작성자 21.07.28 00:34

    @신선물고기 각 q에 대해 부분기저 B_r(q)를 잡고 이 기저를 포함하는 열린 근방이 존재하는데, 이 열린 근방과 K와의 교집합이 공집합이기 때문인가요?

  • 21.07.28 00:35

    @civilization 부분기저이야기가 나오면 안되구요. q의 근방 L이 K랑 안 만나고있죠?

  • 작성자 21.07.28 00:36

    @신선물고기 네 안 만나고 있습니다

  • 21.07.28 00:38

    @civilization 각각의 q마다 늘 K랑 안만나는 열린근방 L이 존재하죠?

  • 작성자 21.07.28 00:39

    @신선물고기 네 그렇습니다

  • 21.07.28 00:40

    @civilization 따라서 G-K는 G에서 열린집합이죠?

  • 작성자 21.07.28 00:42

    @신선물고기 아 제가 위에서 실수했네요
    K가 L의 여집합이기 때문이 아니라, 임의의 q에 대해 열린근방이 존재하기 때문에 G-K가 열린집합이고 K가 닫힌 집합이 되는 거네요

  • 21.07.28 00:43

    @civilization 네 그럼 되신거죠 이 부분은?

  • 작성자 21.07.28 00:43

    @신선물고기 네 그렇습니다, 감사합니다, 이렇게 길게까지 답변을...

  • 21.07.28 00:44

    자 이제 그 다음 이야기를 해 볼까요?^^ 이 정리 증명에서 K가 닫힌집합임을 보이는데 점열을 이용한 책이 있다고 하셨습니다^^ 어떤 책일까요?

  • 작성자 21.07.28 00:47

    글에도 적었듯이 먼저 구글링을 해보았습니다. 다양한 영문 pdf와 몇몇 질문 답변을 보았는데 거기에서 위와 같이 정의하는 것을 목격했습니다.

    다음은 제가 보았던 질문 중 하나입니다

    My textbook (Complex Analysis by Saff & Snider) defines connectedness for open sets; the given definition of a connected open set is: a set in which every pair of points can be joined by a polygonal path that lies entirely in the set.

    Using the given definition of connected set, I don't understand why it isn't similarly defined for closed sets too?

  • 21.07.28 00:48

    @civilization 저 질문은 선생님이 하신 질문과 좀 다른 것 같은데요?

  • 21.07.28 00:49

    @civilization 저건 쉽게 이야기 하면 닫힌 연결 집합은 왜 촐리고널 패스 연결과 다르냐 열린 연결은 똑같은데. 이거구요.

  • 작성자 21.07.28 00:49

    @신선물고기 구글링을 키워드로 하다보니 제 질문과 정확하게 맞는 답변은 나오지 않았습니다

  • 21.07.28 00:50

    선생님 추가 질문은 제가 이해하기에는 K가 닫힌임을 다른 책에서는 점열을 이용해서 보이던데 왜 그런거냐로 보았는데 아닌건가요?

  • 21.07.28 00:50

    ^^ 질문을 명확히 다시 해 주세요. 저기 영어로 써 있는 부분에 대해서 답을 드리면 되는건가요?

  • 작성자 21.07.28 00:52

    아뇨 그런 의미가 아닙니다
    제 궁금증은 단지 "원론 v1.01에서 18.6을 정리로 해두었는데 다른 책은 정의로 해둔 거 같아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 궁금하다"였습니다.

  • 21.07.28 00:53

    @civilization 아. 그걸 정의로 둔 책은 일반 위상에대해서 관심이 별로 없는 경우구요. 우리는 임용 준비하니까 당연히 일반 위상에 관심이 많으니까 그렇게 정의하면 적당하지 않은 거구요^^

  • 작성자 21.07.28 00:57

    @신선물고기 아 관심의 유무였군요, 특별히 다른 의미가 있나 싶었습니다. 사소한 질문까지 신경써주셔서 감사합니다!

  • 21.07.28 00:57

    @civilization 도움이 되어 다행입니다.

  • 작성자 21.07.28 00:58

    @신선물고기 그런데 작년도 교재 정오표는 삭제하셨나요? 공지사항에 들어가서 다운 받으려는데 잘 안 되어서요...

  • 21.07.28 01:07

    @civilization 매년 개정이 되어서.. 그리고 시스탬을 오류정정게시판을 통한 관리로 바꿔서요.. 지난 교재도 정정게시판에 문의하시면 되긴하는데 일단 제가 작년 오류 모음 파일을 찾아볼게요^^

  • 작성자 21.07.28 01:19

    @신선물고기 늦은 시간까지 애써주신 만큼 더 즐겁게 수학공부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