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 청남대 일대로 떠나 본 가을여행
2020년 10월 6일,청주 인근의 청남대일대인 월리사,인공수초 재배섬,현암사등지를 돌아보는 가을 여행을 떠났다.
아산에 있는 박 병무 원장 부부와 천안에 사는 김 홍수교수, 박 병옥 회장과 동행하여 떠나게된 여행 길이었다.
여행을 떠나게된 동기는, 며칠전 속리산 인근으로 땅콩캐기 봉사작업을 갔다가,싸고 맛있는 송어회를 먹고온 이야기를 했더니, 우리도 한번 가보자고 해서 성사된 여행길이 되었는데....
목적지를 청남대로 정해놓고, 주변일대 가볼만한 곳을 돌아보자고 했던게,월리사와 현암사,인공수초 재배섬이다.
청남대만 하더라도 온종일 시간을 보낼수 있는 곳이지만,동행자 대부분이 한두번씩은 다녀온데다, 코로나 여파로 원만한 여행을 할수없도록 제한되고 있기도 하여,청남대는 대충 일부분만 돌아보고 다음 행선지를 물색했다.
그리하여 맨 먼저 가본 곳은 월리사란 사찰인데,이정표가 금방 눈에 띄어 가까운 곳이려니 생각했던게, 웬걸! 예상외로 길은 멀었지만 찾아간 보람이 뿌듯했다.
우선 충북 제일의 고찰이라는 점과, 화초를 가꾸시던 보살께서 너무도 친절히 우리를 맞아주었기 때문이다.
월리사를 돌아보고 점심식사를 하기위해 판장횟집을 찾았는데,그곳 역시 의외로 먼곳에 자리하고 있었다.
송어회와 매운탕으로 점심을 먹고 나서, 다음 찾게된 코스는 요즘 청주에서 가장 핫한곳으로 뜨고 있다는 인공 수초재배섬이 있는 산책로ㅡ.
보트로 수초섬을 돌아볼수 있는 코스도 있었지만,코로나관계로 운항은 중단상태였기에,잠시 산책을 대신하고....
그리고 마지막 코스로 찾게된 곳은 현암사란 사찰이었다.
현암사는 월리사와 함께 속리산 법주사의 말사로써,천년고찰로 이름난 사찰이다.

역대 대통령들의 별장인 청남대
대청호반에 자리 잡고 있는 청남대는 "따뜻한 남쪽의 청와대"라는 뜻으로 1983년부터 대한민국 대통령의 공식 별장으로 이용되던 곳이다.
총면적은 182만 5천m²로, 주요시설로는 본관을 중심으로 골프장, 그늘집, 헬기장, 양어장, 오각정, 초가정 등이 있고 여섯분의 대통령이 89회 472일 이용 또는 방문하였으며, 2003년 4월 18일 일반인에게 개방되었다.
사계(四季)에 따라 제 모습을 바꾸는 조경수 124종 11만 6천여 그루와 야생화 143종 35만여 본은 청남대의 또 다른 자랑거리의 하나이며, 자연생태계도 잘 보존되어 천연기념물 수달, 날다람쥐와 멧돼지, 고라니, 삵, 너구리, 꿩 등이 서식하고 있는가 하면,각종 철새의 도래지이기도 하다.

준비해온 간식을 나누며....











충북에서 가장 오래된 사찰이란 월리사 이정표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구룡산(九龍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의상이 창건한 사찰이란다.
대한불교조계종 제5교구 본사인 법주사(法住寺)의 말사이다.
신라 때 의상(義湘)이 창건한 사찰이라 전하여오고 있으나, 확실한 고증의 자료는 없으며, 법당 주변에 흩어져 있는 기와들로 보아 조선시대에 중창되었음을 알 수 있다.
연혁에 대해서는 1665년(현종 6)에 세운 「월리사사적비」를 통해 알 수 있다.
여기에 따르면 절이 높은 곳에 자리하여 달에 가깝기 때문에 월리사라 했다 하며, 또는 절 아래에 월동사(月洞寺)가 있어 그렇게 이름 지었다고도 한다.
1645년(인조 23)에 원학(元學)이 현재의 위치로 옮겨 법당을 짓고 중창하였다.
1997년에 대웅전을 수리하였으며 1998년에 삼성각을 지었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대웅전과 삼성각·요사채가 있다. 충청북도유형문화재 제58호로 지정된 대웅전은 정면 3칸, 측면 3칸의 팔작(八作)지붕에 다포(多包)건물로서 조선 중기 이후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대웅전내에는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을 한 90㎝의 석가여래좌상과 1897년에 조성한 후불탱화(後佛幀畵), 1838년(헌종 4)에 조성한 신중탱화(神衆幀畵) 등이 봉안되어 있다.




친절한 보살 아줌마와 ....





맛집으로 소문난 판장횟집
점심때가 지난 1시경인데도, 60여명이 앉을 자리가 꽉차있었다.



청주의 핫한 곳! 인공 수초재배섬을 찾아서....




구절초가 가득 피어 있었고.....





현암사는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현도면 구룡산(九龍山)에 있는 고려시대 에 창건된 사찰이다.,
대한불교조계종 제5교구 본사인 법주사의 말사이기도 하다.
백제 때 선경대사(仙鏡大師)가 창건하였다는 설과 신라 성덕왕 때 선경이 창건하였다는 설, 고구려 승려가 세웠다는 설 등이 있으나 모두가 신빙성은 없다.
사찰 내 현존하는 석조물들은 대체로 고려 말기 이전의 것들이어서 창건시기도 고려 후기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조선시대에는 큰 번영을 누리지 못한 채 폐사가 되었다가, 8·15광복 후 괴산의 김사익(金思益)이 중건하였고, 1986년부터 주지 도공스님이 부임하여 1993년까지 대웅전·용화전(龍華殿)··삼성각 등을 건립하여 오늘에 이른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대웅전과 용화전·삼성각·요사채 등이 있으며, 대웅전 안에는 110㎝의 석조여래좌상이 봉안되어 있는데, 속전에는 백제 때 선경대사가 자연 돌출석에 조각하였다고 하나 후기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얼굴은 둥글고 넓은 편이고 상호는 원만하여 자비가 넘치며 선정인(禪定印)을 취하고 있다.
이 밖에도 이 절에는 팔각원당형부도(八角圓堂形浮屠) 1기가 있는데, 상륜부는 연꽃봉오리 형식으로 장식되어 조선 중기 이전의 특징을 잘 나타내주고 있다.

이렇게 험난한 계단길을 타고 올라야 했다.

험준한 암석이 알몸을 들어내고 있었고....






대청호가 한눈에 바라보이는 명소이다.





2000원찌리 자장면이 맛은 일품이었다.
탕수육을 곁들여 먹으면 매우 만족한 식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