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칼럼] `농업보호`는 불가침 영역인가 金榮奉 < 중앙대 교수·경제학 >
문제는 이런 국민 전체의 후생(厚生)보다 시끄러운 일부 이해집단의 이익이 항상 정부를 움직인다는 데 있다. 그 책임의 중심은 정치집단에 있지만 제 권리를 챙기지 못하는 소비자들도 공동으로 져야 한다. 지금부터라도 우리는 터부(taboo)가 되다시피 건드리기 어려운 농업보호주의를 쳐부숴야 한다. 2005년 우리의 농가인구비중은 7.1%이나 이들은 국내총생산(GDP)에 단지 2.9%를 기여했다. 그것도 싼 세계시장 가격을 적용하면 아마 1% 내외도 되지 못할 것이다. 따라서 농촌은 아무리 지원해도 가난하며 다른 국민의 희생 속에서나 존재한다. 오늘날의 글로벌 경제에서 식량안보 같은 농업존재 이유는 마치 서울도 식량자급을 위해 농사를 지어야 한다는 주장처럼 존립할 수 없다. 농업도 다른 산업처럼 경쟁에 직면하게 해서 1∼2%에 이르도록 뼈를 깎는 구조조정을 해야 항구적으로 농업과 농민이 살 수 있다. 국민세금으로 이뤄지는 농업지원은 이런 목적을 이루기 위한 것이다. 3년 전 한·칠레 FTA를 체결할 때,정부는 농가 피해가 10년간 5860억원이라며 1조5000억원의 지원 대책을 세웠다. 그 후 2년간 증가한 칠레산 농산물 수입액은 고작 750억원이었다. 정부는 이 농업부문에 2013년까지 119조원을 더 지원할 계획이다. 그러나 국수적 농업보호주의 아래 맹목적(盲目的)으로 퍼붓는 지원은 아무리 부어도 물거품만 될 뿐이다. 오늘에 이르기까지 한국의 소비자는 이런 엄청난 낭비를 방치했다. 지금부터라도 농업보호세력과의 적극 투쟁에 나서 국가경제를 지키는 것이 그들의 본분(本分)을 찾는 길이다. 입력시간: 03/18 17:25 |
첫댓글 식량안보 논리 더 이상 필요없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