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금했던 지구이야기]
별에서 온 운석, 어떻게 구별할까? #운석감별법
돌에도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는 것, 다들 알고 계신가요?
평범한 돌처럼 보이지만 사실 이 돌은 아주 특별한 곳에서 왔습니다.
바로, 하늘에서 떨어진 돌 운석인데요.
운석(隕石)은 사전적으로는 '우주에서 자연적으로 생성된 먼지, 소행성 파편 등이 대기권을 통과해 지구나 행성에 떨어진 것'이라 정의합니다. 그렇다면, 운석의 판별법은 무엇일까요? 운석신고센터에 운석을 의뢰하여 알아보는 방법도 있지만 보다 실속있게 운석인지 아닌지 감별해 보는 방법이 있답니다. 바로, 운석신고센터 홈페이지 내 ‘운석감별법’을 통해 알아보는 방법인데요. 홈페이지 상단의 "운석이란" 메뉴에서 "운석감별법" 확인이 가능합니다.
먼저, 암석 표면에 어두운 색의 얇은 막이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돌이 지구의 대기를 거쳐 오면서 표면이 녹고 공기압이 녹은 표면을 불규칙하게 깎아내립니다. 이런 과정을 거쳐 용융각이라는 밋밋하게 녹아내린 표면이 만들어지기 때문에 녹아서 밀린 듯한 표면의 돌이라면 운석일지도 모릅니다.
1번 질문이 YES일 경우
둘째, 해당 암석의 자성이 있는지 없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자석을 이용해 돌이 자성을 띄는지 확인이 가능한데요. 대부분의 운석에 자성이 있는 금속철과 니켈이 고농도로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자성이 없을 경우 운석이 아닐 확률이 높습니다.
2번 질문이 YES일 경우
셋째, 일반 암석보다 무거운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비슷한 크기의 일반 암석의 무게를 기준으로 비교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일반 암석보다 무거울 경우 운석일 가능성이 있으나, 암석 중에서도 무게가 다양하며 무게만으로는 운석인지 아닌지를 판별하긴 어렵습니다.
3번 질문이 YES일 경우
넷째, 암석 내부의 색상 확인이 필요합니다.
금속같은 색이거나 밝은 색일 경우 운석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암석의 내부 색상이 어둡다면, 운석이 아닐 확률이 높습니다.
4번 질문이 YES일 경우
다섯째, 암석의 내부에 구멍 또는 기공이 있을 경우, 운석이 아닐 확률이 높습니다.
운석은 단단하고 밀도가 높은 돌이므로 운석에는 내부에 구멍이 없습니다. 찾아낸 돌에 구멍이 많고 거품 같아 보인다면 운석이 아닐 확률이 높습니다.
5번 질문이 NO일 경우
마지막으로 암석 표면에 손가락으로 누른 듯한 움푹 패인 자국이 있다면 운석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운석의 표면은 대개 밋밋하지만 얕은 구멍이나 지문을 닮은 깊은 구멍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운석을 감별하는 방법들은 정말 다양한데요,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운석감별법 순서도에서는 핵심 질문들을 다루고 있어 세밀하게 자가 운석 감별이 가능합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운석신고센터’는 운석 감정 의뢰가 들어오면 우선 육안으로 운석이 가지는 일반적인 특징을 관찰합니다.필요한 경우에는 X-선 분석장치를 활용해, 주성분 원소를 분석하기도 합니다. 분류와 연구 목적으로 감정이 필요한 경우 더욱 자세한 분석 작업이 들어갑니다. 운석신고센터를 통해 연간 약 800명 이상의 일반인이 운석 감정 의뢰를 해 오고 있으나, 운석 감정 결과 가치를 인정 받은 사례는 약 40건 입니다.
[출처] [궁금했던 지구이야기] 별에서 온 운석, 어떻게 구별할까? #운석감별법|작성자 한국지질자원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