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중국해지마을
 
 
 
 

친구 카페

 
등록된 친구카페가 없습니다
 
카페 게시글
☆ 청도 - 위해 ☆ 3차 모니터...1등이다~
수안마미 추천 0 조회 84 10.06.07 23:36 댓글 23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0.06.08 10:24

    첫댓글 와~ 수안마미님 완전 꼼꼼하게 하셨네요.. 수고 하셨습니다.. 제 생각이랑 비슷한 부분이 너무 많은데요..ㅎㅎ

  • 작성자 10.06.08 11:23

    아마도 주부들의 생각은 거의 비슷비슷한가봐요.

  • 10.06.08 10:50

    한눈에 보기 쉽게 꼼꼼히 잘 정리하신 거 같아요~~^^*

  • 작성자 10.06.08 11:24

    감사합니다. 부족한 점이 많은데...사실 헛점 투성이네요~

  • 10.06.08 11:01

    간단명료한 보고서라 시간에 쫒기시는 사장님 입장에서 보시기에
    좋은 자료인듯 합니다.
    쌈빡하고 간단하고 예리한 지적에......
    글씨체를 보면 그 사람의 성격을 알수가 있다던데
    우리 모니터요원들의 보고서를 보면 저마다 개성이 보이네요. ㅋㅋ

  • 작성자 10.06.08 11:25

    제 성격이??? 흐릿한걸 싫어하고 간단명료 좋아하긴 하죠~ 예리하시네요^^

  • 10.06.08 14:23

    1등을 놓쳤군........ㅠㅠ
    꼼꼼한 모니터링 잘 보았습니다.
    성적도 1등 !!!!
    빠른시일안에 올려야겠녜요.
    마음이 조급해지녜요.......ㅎㅎ

  • 작성자 10.06.08 11:26

    1등으로 올린 보람이 있네요. 몸둘바를 모르겠네요~ 천천히 완벽한 모니터 기다리겠습니다.

  • 10.06.11 01:06

    수고하셨구요...하기와 같이 간단명료하게 회신드립니다. ㅎㅎㅎㅎ

  • 10.06.11 01:08

    1. 삼치 : 반으로 절단하는다는 아이디어 좋아 보이네요...그런데 절단을 했을때 좀 작아보여서 고객들의 불만도 있을 것으로 보임.. 좋은 아이디어 한번 연구를 해봐야 겠어요...감사. 그런데 몇cm가 좋을까요?

  • 작성자 10.06.11 09:33

    안잘린 상태가 거의 30cm가 되더라구요. 절반 정도가 좋을 것 같네요. 갈치도 손질된 것이 보통 그 정도 하는 것 같은데 먹기에 괜찮거든요.

  • 10.06.11 01:11

    2. 북어채 : 아무래도 북어채의 경우 현재 당사에서는 구색으로 판매를 하고 있습니다. 그렇다 보니 포장지를 아직 못했어요... 앞으로 전문 포장지로 바꿀 예정입니다... 혹시 중량이 어느정도면 좋을 지 의견 주실래요? 지금 200g의 양이 좀 많지 않나요?

  • 작성자 10.06.11 09:36

    확실히 한번에 먹을 양은 아닌것 같아요. 저는 개봉후 다시 손질(자르고 다듬고)후 지퍼백에 담아 냉동보관하고 필요양에 따라 꺼내 씁니다. 라면끓일때도 조금씩 넣고 국도 조금씩 끓이니 조금 넣고...

  • 10.06.11 01:17

    3. 건미역 : 실미역의 중량을 줄이게 되면 제품의 객단가가 너무 저렴하여 실질적인 내용물의 가격은 없고 부자재의 가격이 초과하는 상태가 됨. 따라서 기본적으로 본 중량이 불가피함. 포장지 디자인은 앞으로 점차적으로 중국 내수용으로 전문적으로 바꿀 예정임. 말씀하는 내용을 주안으로 해서 변경하도록 하겠습니다.

  • 작성자 10.06.11 09:38

    포장에 그런 애로가 있다는 걸 몰랐네요. 그러시다면...용량은 늘리셔도 좋지만... 지퍼백은 살짝 건의드려요~

  • 10.06.11 01:25

    4. 볶음김치면 유통기한 표기 위치 : 각 개별 포장지의 전면에 보시면 생산일자 - 2009년 12월29일로 표기
    유통기한 - 12개월로 표기되어 있슴. 다소 적게 표기되어 있습니다만 ..묶음용기에는 전면에 투명하게 되어 있어 안의 개별포장지에 생산일자 및 유통기한이 보이도록 되어 있습니다. 본 포장지는 중국 현지 마트를 개발하기 위한 포장용기로서 한국인의 경우 대부분의 시식방법을 알고 있어 이를 중국인들에게 현지화 하기 위함임.

  • 작성자 10.06.11 09:40

    남편이랑 유통기한 샅샅이 찾다거 포기했었는데...눈은 뒀다 뭐하려는지ㅠ.ㅠ...이참에 눈에 띄이게 크게 부탁드려도 될까요??? 혹시 저같은 사람이 또 있다면...해지촌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지지 않을까 염려되네요.

  • 10.07.01 07:57

    한국야쿠르트에서 표기할 수 있는 글자크기와 표기 방식이 이정도라고 합니다. 한국야쿠르트에 제가 건의를 적극적으로 해봐야 겠어요.

  • 10.06.11 01:31

    5. 게맛살 : 붉은색 부분 - 현재 게맛살에 사용하는 붉은 색은 색소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당사 뿐만아니라 한국등 어느 회사도 모두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식용 적색을 사용합니다. 본 제품은 냉동후 바로 진공포장을 하여서 마른 부분이 발생할 수 없습니다. 만약 말랐다면 2가지 원인입니다. 1) 진공이 풀려서 장기 보관되었거나, 2) 진공이 되어 있는 상태라면 진공포장전에 이미 말라있었거나.... 당사 제품은 완제품이 나오는 시점에 열이 식기전에 이미 제품에 진공포장이 되며, 식은 후에 바로 냉동됩니다. 만약 건조되었다면 현재 냉동창고되어 있는 제품도 확인하도록 하겠습니다.

  • 작성자 10.06.11 09:44

    식용색소를 사용함은 저도 알고 있는데요. 색이 너무 선명한 것이 오히려 주부들은 염려가 되어서요. 자연상태에서 너무 가공한 듯한 느낌을 주부들은 그다지 좋아하지 않습니다. 그냥 조금 더 자연스러웠음 하네요. 건조부분은 확인해 보신다고 하시니...제 것만 그랬길 바랍니다.

  • 10.06.11 01:31

    수고 하셨습니다...감사합니다.

  • 작성자 10.06.11 09:45

    작은 소리 하나하나 귀 기울이시니 좀 더 신경써서 모니터 해야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앞으로 더욱 해지촌을 사랑할 것 같아요~

  • 10.07.01 07:59

    감사합니다. 저도 더욱 많은 부분에서 좋은 제품, 좋은 소리를 듣는 것에 열중해야 겠어요. 더욱이 한꺼번에 다 고칠수는 없지만 하나 하나 고쳐나갈려구 합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