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가락문학회 garakmunhak
 
 
 
카페 게시글
문학자료실 스크랩 6월 26일 블로거 기사 중에서 `인터넷에서 수난받는 시작품들`
기다림 추천 0 조회 16 07.06.27 14:29 댓글 1
게시글 본문내용

 

꽃을 올리면서 시를 가끔 올린다. 그 많은 시를 내가 모두 외우지는 못하기에 검색을 하는데, 혹여 잘못 전달이 될까봐,

같은 제목의 시를 두세곳에서 검색을 하며 읽어보곤 한다. 역시 염려한 부분이 오늘 블로거 기사로 송고되었기에 복사하여왔다.

글쓴이는 도종환 시인이다.

 

☆.. 가지고 온 곳 - http://weekly.changbi.com/blog_post_143.aspx

 

인터넷에서 수난받는 시작품들  

도종환 | 시인

어제 ㄱ생명에서 사외보를 만드는 심아무개 박사한테서 메일이 왔다. 내 시 〈흔들리며 피는 꽃〉을 이번 호에 재수록하려고 하는데 원문이 맞는지 확인해달라는 메일이었다. 그는 이 시를 인터넷에서 가져왔다고 했다. 〈흔들리며 피는 꽃〉은 2연으로 된 짧은 시이고 많이 알려진 작품이기도 해서 시가 들어 있는 첨부파일을 열어보지 않고 그냥 "알았습니다. 그렇게 하세요" 하고 답변 메일을 쓰다가 혹시나 해서 열어보고는 깜짝 놀랐다.

2연으로 된 이 시에 3연이 한 단락 더 붙어 있었다. 이 시의 1연은 “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로 시작해서 5행 정도의 내용이 이어지고, 2연은 “젖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로 시작해서 5행 정도의 시가 서로 댓구를 이루고 있다. 그런데 누가 “아프지 않고 가는 삶이 어디 있으랴”로 이어지는 3연을 만들어 붙인 것이다. 앞의 내용과 똑같은 구문, 똑같은 어법으로 말잇기 방식을 취하고 있었다. 학생들과 수업시간에 시 공부를 하면서 '모방하여 쓰기'를 하는 적이 있는데 꼭 그같은 방식으로 씌어진 것 같았다.

문제는 내가 만약 무심결에 확인을 하지 않았다면 이런 글이 내 시가 되어 사보에 실리고 그것이 또 사람들 사이에 옮겨다니게 된다는 것이다. 지난주에는 서강대학교 교지 편집장이 내 시 「그렇게 살아갈 수 있게 해달라」가 이번 호의 기획 내용을 모두 아우르는 것 같다며 교지의 여는 시로 싣고 싶다고 연락을 해왔다. 그런데 나는 이런 제목의 시를 쓴 적이 없다.  
 
내가 쓰지 않은 내 시?

인터넷에는 이런 식으로 변형된 시들이 수없이 돌아다니고 있다. 달포 전에 어느 방송국의 〈하늘만큼 땅만큼〉이라는 일일연속극에서 내 시라고 소개된 글이 있었다. 극중 사제간 커플인 종훈(홍요섭분)과 명주(윤해영분)의 결혼식 장면에서였다. 명주는 20년이나 변함없이 선생인 종훈을 짝사랑해왔고, 그런 그들이 보여주는 색다른 결혼식 장면이 시청자의 눈길을 끌었다.

양가 가족들만 참석한 조촐한 결혼식엔 주례도 주례사도 없었다. 한복을 곱게 차려입은 명주와 종훈이 직접 혼인서약을 했다. 명주는 "편한 친구처럼 같이 걸어가겠다"며 종훈과 인생을 함께할 것임을 피력했고, 종훈은 백마디 말 대신 도종환 시인의 〈그랬으면 좋겠습니다〉란 시로 자신의 마음을 대신하겠다고 했다. 이날 종훈이 결혼식장에서 읊은 시는 인터넷 실시간 검색어순위 상위권에 오르는 등 많은 관심을 모았다. 그 시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말없이 마음이 통하고 그래서 말없이 서로의 일을 챙겨서 도와주고 그래서 늘 서로 고맙게 생각하고 그런 사이였으면 좋겠습니다. 방풍림처럼 바람을 막아주지만 바람을 막아주고는 그 자리에 늘 그대로 서 있는 나무처럼 그대와 나도 그렇게 있으면 좋겠습니다.
물이 맑아서 산 그림자를 깊이 안고 있고 산이 높아서 물을 깊고 푸르게 만들어 주듯이 그렇게 함께 있으면 좋겠습니다. 산과 물이 억지로 섞여 있으려 하지 않고 산은 산대로 있고 물은 물대로 거기 있지만, 그래서 서로 아름다운 풍경이 되듯 그렇게 있을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

제목 변형, 내용 첨삭, 오탈자... 시의 수난시대

이 시의 제목은 〈그랬으면 좋겠습니다〉로 되어 있다. 아마 문장 종결구인 “…면 좋겠습니다”에서 따온 것으로 짐작된다. 그런데 이 글은 시가 아니라 내 산문집 《사람은 누구나 꽃이다》 134면에 수록되어 있는 〈강물에 띄우는 편지〉라는 산문의 일부분이다. 이 글이 누군가에 의해 행갈이되고 제목이 붙고 시로 바뀌어 인터넷에 떠돌아다니고 있다. 시라면 제목을 이렇게 붙일 수가 없다. 그러다가 이제는 TV드라마에까지 시라고 소개되고 만 것이다. 올해 초 어느 기업에 강의를 하러 갔다가 이 글을 시로 오해하고 시낭송을 하는 걸 본 적도 있다.

이 장면이 방송되고 난 뒤에 많은 문의 전화와 메일을 받았다. 그 시가 어느 시집에 실려 있느냐는 질문이었다. 그 글이 시였다면 시집이 많이 나갈(?) 뻔했다. 문제는 거기서 그치지 않았다. 〈그랬으면 좋겠습니다〉의 다른 버전들이 나오기 시작한 것이다. 많은 네티즌들이 저마다 자기 희망사항을 담은 〈그랬으면 좋겠습니다〉를 써서 인터넷에 올리고 있다. 그런데 문제는 자기의 소망을 담은 시를 자기 이름으로 올리지 않고 내 이름으로 올린다는 것이다. 그래서 내가 쓴 적이 없는 내 시들이 싸이버공간을 떠돌아다니고 있다.

원문을 옮기는 과정에서 오탈자가 나오는 경우는 헤아릴 수도 없이 많다. 〈담쟁이〉라는 시는 중간에 "푸르게 절망을 다 덮을 때까지 / 바로 그 절망을 잡고 놓지 않는다"라는 구절이 있다. 그런데 옮겨적는 이가 "푸르게 절망을 잡고 놓지 않는다"라고 바꾸어놓았다. 바꾸었다기보다 앞 행의 ‘절망’까지 쓰고 다음 행의 '절망' 이후를 붙여쓰는 실수를 한 것으로 보인다.

작품 원형 존중하는 디지털 문화의식

그런데 이대로 돌아다니며 수많은 책과 싸이트와 행사에서 재인용되고 있다. 내게 확인요청이 오는 경우에만 바로잡아줄 수 있을 뿐 나머지는 내 힘으로 어떻게 할 수가 없다. 그리고 시가 노래로 만들어질 때도 어쩔 수 없이 조금씩 바뀌는 경우가 있는데 그 바뀐 노랫말이 시의 원문처럼 인식되는 사례도 허다하다. 나만 이런가 하고 동료시인들에게 물어보았더니 다들 이구동성으로 같은 하소연을 한다. 정호승 안도현 시인 등도 다 비슷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저마다 자기 싸이트의 주인이 되어 얼마든지 글을 쓰거나 옮겨서 싸이버공간을 채울 수 있는 세상이다 보니 부정확하고 믿을 수 없는 글이 범람하고 있다. 원문과 다르고 너무 엉뚱한 모습으로 변형되거나 축소, 확장되고 또 왜곡된 글이 많다. 그런데도 사실확인을 제대로 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퍼다가 인용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일이 손쉬워진 반면 작품이 훼손될 소지가 많아진 것이다. 그런 글을 원문에 맞게 정리하고 바로잡아주는 백신프로그램이 개발되거나 싸이트가 만들어져야 할지도 모른다.

2007.6.26 ⓒ 도종환

 
다음검색
댓글
  • 07.06.27 21:23

    첫댓글 원문 불변의 법칙을 정하지 않는 한 있을 수 있는 일이네요...그나저나 내 작품이 그리될 일은 없겠지만...혹시 그렇게 되면 고민 좀 되겠네요...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