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유철 | 복지요결 | |
| 강점에 대해서 실습생들 간의 의견을 나누었습니다. 요약하자면 강점이 중요하다는 것이었는데, 저는 이전에도 말했듯이 강점이라는 것은 말하기 나름이라고 생각하였습니다. 어떤 사람에게 답답한 사람 또는 행동과 생각이 느린 사람이라고 말한다면 그것은 단점입니다. 하지만 깊게 생각하는 사람 또는 그윽한 사람이라고 말한다면 그 사람의 장점이 되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강점은 누구나가 가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
김예슬 | 복지요결 | |
돈 많이 쓰지 않고 소박하게, 아름다운 곳으로 평가 여행을 떠나는 겁니다. | 평가라는 말을 들었을 때 딱딱하고 형식적인 느낌이 많이 들었었습니다. 그런데 저희 성동종합사회복지관에서 진행한 실습 중간평가 이후로 평가라는 말은 자연스러운 분위기라는 생각으로 다가왔습니다. 복지요결에서도 잘했는지 못했는지를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추억, 희망, 강점, 사례 등에 대해 이야기하는 거라고 나와 있듯이 중간평가에서 동료들끼리 지지해주고 강점을 말해주면서 자연스럽게 실습을 정리할 수 있었습니다. 지난 시간 어떤 것들을 배웠는지 형식적으로 말하지 않더라도 둘러 앉아 이야기하면서 자연스럽게 흘러나오는 것이 좋았습니다. 동료들의 강점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서로의 관계가 더욱 발전되었음을 느낄 수 있어서 행복한 시간이었습니다. |
신종현 | 복지요결 | |
잘 발휘되었거나 새로 발견한 자신의 강점 가능성을 이야기합니다. 동료와 기관과 복지 당사자들과 지역사회의 강점 가능성까지 이야기하면 더욱 좋습니다. 그 강점 가능성으로 미래를 상상해봅니다. | 복지연수부터에서 강점워크숍을 통해 서로간의 강점에 대해 알아가고 격려하는 첫 시간 이후 복지관에서도 지속적으로 동료의 강점에 대해 지지와 격려를 통해 상기시켜주며 새로이 알게 된 강점에 대해 부각시켜주는 활동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활동은 처음에 작은 강점에서 이러한 지지와 격려를 통해 더 큰 강점으로 키워주었다.
|
김동희 | 복지요결 | |
책에서 보았거나 누구에게 들었거나 스스로 터득한 지식 기술 지혜 가운데 특히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 두어가지씩 나눕니다 | 최근들어서 책에서 배운 복지요결 내용을 나스스로 무의식적으로 적용하는 모습을 발견 할 수 있다. 그런 모습에 나 스스로 놀라서 아 정말 마음속으로 느끼고 배운 것은 정말 효과가 잇구나 스스로 뿌듯하고 기뻐하엿고 좋은 열매를 맺고 있는것 같아서 나 스스로가 대견스럽기 까지 했습니다.
|
이선영 | 복지요결 | |
당사자와 지역사회가 무엇을 했는지 어떻게 했는지 어떻게 되었는지 말해 주는 이야기, 당사자와 지역사회의 이야기가 있어야 합니다.
정합성의 증거는 수치가 아니라 이야기입니다. | 학교에서 사회복지조사론, 사회조사분석론을 배우면서 당사자와 서비스와 프로그램을 함께 할 때, 이 후 당사자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과학적인 연구 방법을 이용하여 정확한 수치로 나타내어야만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사회복지도 전문성을 가진 학문이므로 당사자의 변화와 서비스,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하여 밝히기 위하여 과학적 연구설계방법과 척도 등을 사용한 딱딱한 평과과정이 필요하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해왔습니다. 사회복지 외부정합성을 위해 사전사후검사, 단일사례분석 등을 통해 눈에 보이는 객관적인 자료를 제시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그러나 이와 더불어 사회복지사는 당사자가 서비스와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과 작은 변화에 반응 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반드시 %이상 달성하였다, 행동이 감소하였다 등 가시적으로 나타나는 것 말고도 자연스럽게 이야기를 나누며 알게되는 당사자와 지역사회의 변화에도 초점을 맞추어야 합니다. 딱딱한 자료만을 제시하는 것은 목적보다는 수단에 초점을 맞추어 당사자를 이해하고, 함께 하는 사람 냄새 나는 과정이 아닐 수 있기 때문입니다. | |
|
김경민 | 복지요결 | |
‘즐거웠던 일, 그리워지는 일, 아름다운 풍경 낭만 정취, 재미있는 일화 사진 동영상 따위를 나눕니다. 이렇게 즐겁고 아름다웠다고 이렇게 잘 누렸다고 자랑합니다.’ | 친구들에게 우리 실습팀의 소소한 이야기와 재미있었던 일, 동영상을 공유하면서 자랑을하였다. 친구들의 반응은 ‘예쁘다’‘많이 친해졌네’하면서 우리팀을 부러워하였다. 친구들과 실습에 대해 공유하니 기쁨이 두배가 되어 실습이 정말 즐겁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