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속인기도터수첩 퍼옴
전국기도터 : 경상도권 / 전라도권 / 충청도권
경상도권
여궁폭포 :( 경북 문경시 )조령 제1관문 (주흘관)을 지나 800여 미터 개울 옆으로 난 등산로를 올라가면 높이 20여 미터 되는 장엄한 '여궁폭포'가 있다. 그러나 이곳은 등산객들의 왕래가 잦아 잠시 인사나 할수 있으며 산불감시 기간에는 출입이 통제 된다.
※소재지 : 경북 영주시 문경읍 상초리
백마산 장군당 : ( 경북 예천군 )예천군청에서 500여 미터 떨어진 곳에 예천초교가 있다. 학교뒤로 400여 미터 골목길을 따라 가면 벧엘 기도원이 있다. 기도원 정문으로 들어가 우측으로 200여 미터 올라가면 우측에 연못과 서낭나무가 있고 그 위로 70여 미터 가면 요사채 뒤에 벽돌과 기와지붕으로 된 산신당과 장군당이 있다. 예천에서는 이곳을 '장군당', '산신당', '산시장', 부근성황당', 등으로 부른다.
※소재지 : 경북 예천군 예천읍
국사암 기도도량 : ( 경북 영주시 )
주소 : 경북 영주시 풍기읍 봉현면 두산1동 전화 : 054) 635 - 1185
두레골 금성대군당 ( 경북 영주시 )풍기에서 순흥을 지나 단산면 소재지 방향으로 가다보면 소수서원이 있는데 그곳을 지나 6km 가면 도로 좌측에 단곡1리가 있다. 단곡1리로 좌회전하여 마을을 지나 뒷길로 6km 정도 들어가면 '금성대군당'이 있다. 당 근처까지 차가들어 갈수있다.
※소재지 : 경북 영주시 단산면 단곡리 두레골
소백산당 : (경북 영주시 )풍기에서 죽령 방향으로 7km 정도 가면 도로가에 '수철리(대마골)' 안내판이 있다. 그곳으로 좌회전하여 희망민박을 지나 400여 미터 올라가면 길 좌측 산비탈에 '소백산당'이 있다.산당에는 백호산신각, 천제단(백호산신각 위에 있는 허공제단), 소백산 산신각,용신각, 서낭단, 굿당 건물이 있다. 이곳에서 기도를 하면 여산신도 잘 실리지만 국망봉의 조종이신 백호도사가 잘실리며 소고기와 인절미를 잘 받는다 한다.
※소재지 : 경북 영주시 풍기읍 수철리 대마골 전화 : 054) 638 - 3778
대마골 성황당 : ( 경북 영주시)소백산당 앞을지나 산길을 따라 200여 미터 올라가면 우측 개울 옆에 '성황당'이있다. 이곳은 대마골의 동제당인데 이곳에서도 무속인들이 기도를 한다. 제물은 산신님 내외분과 300여년전 이곳에서 기도하던 분의 몫까지 준비하여 메 3그릇, 무채나물 한가지, 삼색실과, 삶은 돼지고기 등을 올린다.
※소재지 : 경북 영주시 풍기읍 수철리 대마골
죽령매표소 위의 기도터 :( 경북 영주시 )죽령은 충북 단양군과 경북 영주시의 경계선이다. 죽령 정상에 특산물판매장이 있는데 그곳 좌측에 비로봉으로 올라가는 등상로가 있다. 등산로를 따라 100여 미터 가면 죽령매표소가 나온다. 그곳에서 비로봉으로 가는 등산로로 가지말고 매표소 옆으로 난 산판길을 따라 1.3km 정도 가면길 좌측에 밭터가 있다.밭터를 지나 100여 미터 가면 길이 우측으로 굽어지는데 그곳에서 100여 미터 올라가면 좌측 개울 건너편 큰바위밑에 제단과 돌탑이 있다. 바위위에는 오래된 소나무 한그루가 서있다.
국망봉 봉두암 기도터 :( 경북 영주시 )풍기에서 순흥으로 간 후 초암사 가는 방향으로 4.5km 가면 소백산 초암매표소가 있다. 매표소를 지나 2.3km 가면 초암사가 있다. 초암사를 지나 국망봉으로 가는 등산로를 따라 3.4km 정도 올라가면 '봉두암'이 있다. 이곳은 원래 '석륜암'이 있던 암자터인데 박정희 때 헐린 곳으로 넓은 공터에 '봉두암'이라는 높은 바위가 우뚝 서 있다. 봉두암에서 국망봉 까지는 등산로를 따라 1km 정도 올라가면 된다. 봉두암에서 국망봉으로 가는 등산로를 따라 50여 미터 가면 길 좌측에 돼지모양을 하고 있는 '돼지바위'가 있다.
※소재지 : 경북 영주시 순흥면 배점리
산방산 산방굴사 : ( 제주시 남제주군 )서귀포에서 대정가는 방향으로 가다보면 화순삼거리가 나온다. 그곳에서 화순으로 들어가 2km 정도 가면 도로가에 산방굴사 매표소가 있다. 매표소를 지나 위로 300여 미터 올라가면 '산중턱에 굴'이 있다. 굴속에 부처님이 모셔져 있으며 약수가 흘러나오는 우물이 있다. 산방굴사는 관광객들과 불자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곳으로 무속인들도 자주 간다.
※소재지 : 제주시 남제주군 안덕면 사계리
법성사 주변 : ( 경북 구미시 )금오산 도립공원에서 현곡동으로 가는 2차선 도로를따라 1.5km 정도 가다보면 우측에 '법성사'로 들어가는 길이있다. 이곳 법성사 주변계곡에서도 무속인들이 기도를한다.
※소재지 : 경북 구미시 형곡동
도선굴 : (경북 칠곡군 )구미시내에서 금오산 도립공원으로 들어가면 케이블카 타는 곳이 있다. 그곳에서 케이블카를 타고 올라가서 조금 걸어가면 절벽위에 도선국사가 도를 닦았다는 '도선굴'이 있다. 그곳에도 기자들이 간다.
※소재지 : 경북 구미시 칠곡군 북삼읍
고성산 기도터 : ( 경북 김천시 )김천역에서 700여 미터 떨어진 곳에 김천농협 부곡지점이 있다. 그곳에서 좌회전하여 400여 미터 가면 서부초등학교가 있으며 그곳을 지나 1km 가면 '원골'이라는 마을이 나온다. 그 마을 뒤로 500여 미터 가면 고성산 굿당이 있는데 굿당 50여 미터 앞에서 우측계곡으로 50여 미터 가면 개울에 누군가 만들어 놓은 작은 제단이 있으나 거론할 만한것은 못되며 주로 계곡 적당한 곳에 앉아서 기도를 한다. 제물로는 비린것과 닭고기는 피하나 다른 것은 무방하다.
※소재지 : 경북 김천시 부곡동
황산 기도터 : ( 경북 김천시 )김천 중앙시장에서 대구가는 방향으로 200여 미터 가면 김천교가 있다. 김천교를 건너 좌회전하여 10여 미터 가면 두번째집과 세번째집 사이에 작은 오솔길이 있는데 그곳으로 70여 미터 올라가면 좌측에 우물과 제단이 있다. 황산은 천황이 세다는 말이 있다.
※소재지 : 경북 김천시 지좌동 배다리마을
삼바산 기도터 : ( 경북 김천시 )김천 중앙시장에서 시외버스터미널 가는 방향으로 100여 미터 가면 우측에 김천농협 성내지점으로 들어가는 길이 있다. 그곳으로 우회전하여 20여 미터 가면 자산공원이 나온다. 공원 화장실이 있는 곳에서 우회전하여 100여 미터 가면 벤치가 있고 밑에는 울타리가 쳐져 있다. 울타리를 건너 50여 미터 산을 내려가면 바위 밑에 제단이 있다.
※소재지 : 경북 김천시 성내동 자산공원 內
서산대산 성불당 기도도량 : ( 경북 상주시 )상주시 중심가에 있는 낙양사거리에서 김천 방향으로 1.5km 정도 가면 도로좌측에는 삼백주유소가 있으며 우측에는 외남면으로 가는 길이 있다. 그곳으로 우회전하여 8km 정도 가면 외남면 사무소가 있다. 면사무소 앞을 지나 200여 미터 간 후, 좌회전하여 1km 정도 가서 다리를 건너 우회전하여 500여 미터 가서 다시 좌회전하여 200여 미터 가면 구서2리 마을 회관이 있다. 마을회관 앞에서 좌회전하여 광덕사가는 방향으로 700여 미터 가면 외딴집이 있다.그곳에서 우회전하여 800여 미터 산길을 올라가면 산중턱에 '성불당'이 있다. 제물은 소고기, 돼지고기, 북어는 가능하나 닭고기는 올릴수 없다.또한 삶은 고기는 받지 않으므로 생고기를 올려야 한다.
※소재지 : 경북 상주시 외남면 구서2리 전화 : 011) 9720 - 5292
천봉산 성황사 -남매천황 : ( 경북 상주시 )상주시에서 북천교를 건너 임란북천전적지 앞을 지나 문경가는 방향으로 800여 미터 가면 도로 좌측에 월드장 옆으로 들어가는 길이 있다. 그 길로 죄회전하여 1.1km 정도 가면 우측 산비탈에 '성황사'와 큰 암석을 모셔 놓은 '영암각'이 있으며 성황사 좌측바위 앞에는 제단이 있다. 천봉산은 여산신으로 조상천도 발웡이 잘 되며, 고기는 받지 않는다 한다.
※소재지 : 경북 상주시 만산동 만산마을
백화산 기도터 : ( 경북 상주시 )상주에서 가는경우, 내서면을 지나 모서면 소재지를 거쳐 정산리로 가야 한다. 정산리에서 모서초등학교 화산분교 앞을 지나 2km 정도 들어가면 백화산 기도터가 있다. 서울에서 가는 경우, 겨부고속도로 황간IC로 나가 황간면 소재지를 지나 정산리로 가면 된다. 제물로는 마른 명태는 가능하나 조기등 비린 생선과 돼지고기나 닭고기는 올릴수 없다.소고기는 산신각에만 올리수 있으며 용궁에는 절대 고기를 올리수 없다.
※소재지 : 경북 상주시 모서면 정산리 전화 : 054) 533 - 4204
돈달산 기도터 : ( 경북 문경시 )점촌에 있는 점촌중학교 정문 우측에 '천흥사' 안내판과 들어가는 길이 있다. 그길을 따라 600여 미터 올라가서 천흥사 50여 미터 앞에서 우측 기슭으로 30여 미터 가면 바위 앞에 제단이 있다. 제물은 육식도 받으나 비린것은 가린다.
울소폭포 : ( 경북 칠곡군 )가좌삼거리에서 제2석굴암 가는 방향으로 700여 미터 가면 좌측에 현대주유소가 있으며, 우측에는 선샤인호텔로 들어가는 길이 있다. 그곳에서 우회전하여 선샤인호텔 입구로 들어가서 호텔을 지나 개울을 따라 300여 미터 가면 '폭포'가 있다. 이곳은 주로 인근의 보살들이 많이 가는 곳인데 조사자가 갔을 때 주변이 지저분 하였다. 이곳을 다니는 무속인들이 보다 청결하게 해야할 것같다.
※소재지 : 경북 칠곡군 동명면 기성리
송정동 미륵불 : ( 대구광역시 동구 )동화사에서 가좌삼거리 방향으로 8km 가다보면 우측에 송정1동 경로당이 있으며 마을안으로 들어가는 길이 있다. 그곳으로 우회전하여 100여 미터 가서 복숭아 과수원쪽으로 우회전하여 300여 미터 가면 과수원 중간에 '미륵불'과 용궁이 있다.
※소재지 : 대구광역시 동구 송정동 363번지
기생바위와 방갈로 기도터 : ( 대구광역시 동구 )
기생바위 : 동화사에서 백안삼거리 방향으로 800여 미터 내려가면 우측계곡 산기슭에 서 있는 바위가 기생바위인데 무속인들은 기생바위밑 계곡에서 굿이나 기도를 많이 한다. 과거처녀가 기생이 되기위해 바위위에서 기예를 배우다 떨어져 죽어 '기생바위'라 불리우는 이곳은 이때죽은 여인이 산신으로 좌정하여 있다 한다.
방갈로 : 기생바위에서 백안삼거리 방향으로 200여 미터 내려가 좌회전하여 팔공칸트리클럽 가는 방향으로 150여 미터가면 우측에 계곡이 있는데 이곳을 '방갈로'라 한다. 이곳도 기생바위 앞과같이 곳곳에 허공제단이 있으며 굿이나 기도하는 사람으로 붐비는 곳이다.
※소재지 : 대구광역시 동구 도학동
주산 기도터 : ( 경북 고령군 ) 고령군 법원에서 50여 미터 떨어진 곳에 통일신라 중기인8세기 후반에 제작된 고령 지산동당간지주가 있다. 그곳으로 들어가 200여미터 가서 고령 학생체육간과 농업기술센타 앞을 지나 주산 삼림욕장으로 올라가는 등산로를 따라 300여 미터 가면 오두막집과 주산신랑탑이 있다. 오두막 뒤에 천제단이 있으며, 산신령탑 우측 대나무 숲으로 조금가면 용궁이 있다.
※소재지 : 경북 고령군 고령읍 지산리
선바위 : ( 경북 성주군 )성주에서 가천면 소재지를 지나 6km 정도 가면 신성 삼거리가 나온다. 그곳에서 좌회전하여 9km 가면 중리삼거리가 나온다. 중리삼거리에서 무주 가는 방향으로 700여 미터 가면 좌측하천 건너편에 우뚝 서 있는 '선바위'가 보인다. 이곳에는 정해진 제단은 없으나 바위 앞 하천에서 굿과 기도가 가능하며, 간섭하는 사람이 없고 마음놓고 기도할수 있어 각지에서 무속인들이 간다.
※소재지 : 경북 성주군 금수면 무학2리
육대산장 기도터 : ( 경북 성주군 )백운리 솔밭가든에서 해인사쪽으로 2.5km 정도 가면 도로 좌측에 '신비의 돌집'이 있다. 도로 우측에는 생수 식당이 있는데 생수 식당 앞으로 50여 미터 올라가면 수령 200년 된 당산나무가 있다. 이 당산나무는 1982년 성주군에서 보호수로 지정되었는데 이곳에서도 기도를 한다. 자세한 것은 신비의 돌집에서 문의하면 된다.
※소재지 : 경북 성주군 수륜면 백운리( 054 - 932 - 3537 )
백운리 폭포 : ( 경북 성주군 )성주에서 수륜면 소재지로 가서 그곳에서 우회전하여 해인사 방향으로 몇 km 가면 도로 좌측에 솔밭 가든이 있으며 20여 미터 더 가면 우측 철망울타리에 문이 있다. 그 문을 통과하여 600여 미터 오솔길을 따라 산으로 올라가면 폭포가 있다. 이곳은 단속이 심하여 야간에만 갈수 있으며 촛불을 켜 놓거나 징을 칠수 없다.
※소재지 : 경북 성주군 수륜면 백운리
마수폭포 : ( 경북 성주군 )성주에서 가천면 소재지로 가다보면 가천 삼거리가 있다. 그곳에서 좌회전하여 1km 정도 가서 화죽교를 건너기전에 우회전하여 화천을 따라 1km 정도 가면 좌측에 화죽1리 경로당이 있다. 경로당을 지나 좌회전하여 다리를 건너 4km 정도 가면 길 좌측에 마수동 새마을 창고가 나온다. 그곳을 지나 직진해서 1.3km 정도 가면 삼거리가 나오며 우측에 통나무로 만든 집한채가 있다.그곳에서 죄회전하여 300여미터 올라가면 좌측에 농가가 한채있으며 농가 앞에 좌회전하여 들어갈수 있는 길이 있다. 그곳으로 들어가 500여 미터가면 철망으로 된 문이 있고 삼거리가 나오는데 좌측길로 200여 미터 가면 개울 앞에 공터가 나오며 건너편에 폭포가 있다.
※소재지 : 경북 성주군 가천면 법전리
굴암사 위 굴법당 : ( 경북 칠곡군 )구미에서 북삼면 소재지를 지나서 조금가면 복성삼거리가 나온다. 그곳에서 우회전하여 김천가는 방향으로 3km 정도 가면 좌측에 한라회타운이 있고 우측에 '숭오2.3리' 안내판이 있다. 그곳에서 우회전하여 2km 정도 가서 좌회전하여 500여 미터 가면 굴암사가 있다. 차는 굴암사까지 들어갈수 있으므로 그곳에 주차를하고 극락보전 옆으로 난 오솔길을 따라 300여 미터 올라가면 굴법당을 관리하는 분이 거주하는 움막집이 있다. 움막집 뒤 암벽에 넓은 굴이 있는데 굴속에 부처님을 모셔놓은 법당이 있다.
※소재지 : 경북 칠곡군 북삼읍 숭오2리 전화 : 054) 975 - 3837
비봉산 기도터 :( 경북 의성군 )의성에서 12km 정도 가면 금성면 소재지가 있다. 그곳에서 가음면 소재지 가는 방향으로 1.5km 가면 도로 좌측에 산운1리 안으로 들어가 2.7km 정도 수정사 방향으로 가면 좌측에 저수지가 있다. 저수지를 지나 수정사 방향으로 500여 미터 가다보면 좌측에 '암벽'이 보인다. 정해진 제단은 없으나 암벽 밑에서 기도나 치성을 드리며, 의성, 군위는 물론 대구에서도 무속인들이 간다.
※소재지 : 경북 의성군 금성면 수정1리
비슬산 석불입상 : ( 대구광역시 달성군 )고속도로로 가는 경우 구마고속도로 현풍IC로나가 현풍에서 창녕가는 방향으로 2km 정도 가면 유가면 소재지로 들어가는 길이 있다. 그길로 들어가서 면소재지를 지나 소재사 가는 방향으로 6km 정도 가면 소재사 입구에 주차장이 나온다. 주차장에서 산길을 따라 500여 미터 가면 소재사가 있다. 소재사 앞을 지나 비슬산 자연휴양림 쪽으로 가는 등산로를 따라 700여 미터 가면 막걸리, 파전 등을 판매하는 비슬산 쉼터(053 614~3661)가 있다. 그곳에서 직진하여 올라가면 대견사지 쪽으로 가게 되며 우회전하여 700여 미터 올라가면 좌측에 정자가 있다. 정자쪽으로 좌회전하여 20여 미터 가면 우측에 산으로 올라가는 오솔길이 있다. 그 길로 100여 미터 가면 석불과 옆에 움막과 우물이 있다. 이곳은 비슬산 8부능선 기슭에 위치하여 가는 길은 멀지만 인근의 무속인들이 많이 간다.
※소재지 :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면 용리 산2-1
운문사 사리암 : ( 경북 청도군 )운문면 소재지에서 10km 가면 예로부터 참선 도장으로 이름이 나 있으며 비구니 승가 대학이 있는 고사찰 '운문사'가 있다. 운문사 좌측 뒤로 2km 가면 주차장이 있는데 그곳에서 좌측 등산로를 따라 2km 정도 올라가면 가파른산 7부 능선에 '사리암'이 있다. 이곳에 기도시간은 새벽 : 3~5, 오전 9~11시, 오후2~4시, 저녁 6~8(겨울), 6:30~8:30(여름)으로 스님이 주관하여 먼저 염불과 절을 하고 천수경을 읽고 기도시간 내내 "나반존자, 나반존자.."하면서 정근을 한다. 교통편은 대구남부터미널에서 운문사행 버스가 하루 14번 다니며, 부산역 광장 올림픽 예식장 옆 버스정류장에서 오전10시와 오후7시30분 1일 두 차례 버스가 다닌다.
※소재지 : 경북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 전 화 : 054) 372 - 8811
화악산 약수폭포 : ( 경북 청도군 )청도군청 뒤로 조금가면 저수지가 있으며 계속해서 1km 정도 올라가면 주차장이 나온다. 그곳에서 300여 미터 오솔길을 따라 올라가면 '약수폭포'가 있다. 웅장한 암벽위에서 물줄기가 떨어지는데 절벽 밑에 탈의실을 만들어 놓아 약수를 맞으러 오는 사람들이 편리하게 이용할수 있도록 해놓았으며 여름철에는 피서객들로 붐빈다. 기도는 암벽 옆 공터에서 할수있어 기자들이 더러간다.
※소재지 : 경북 청도군 화양읍 범곡리
영천 돌할매 : ( 경북 영천시 )영천에서 북안면 소재지 방향으로 7km 가면 도로 좌측에 '돌할매' 안내판이 있다. 그곳으로 들어가서 4.7km 정도 가면 도로 우측 산 밑에 '돌할매'가 모셔져 있다. 전국 도처에 돌할매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이곳 돌할매가 가장 유명하여 영천에 관광 명물이 되어 연일 찾아오는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음력 6월 15일은 돌할머니의 생일날로 모시고 있으며 초하루, 보름날은 돌할머니 기도회를 가진다.
※소재지 : 경북 영천시 북안면 관리 417번지
함지산 기도터 : ( 경북 칠곡군 )고속도로로 갈 경우 중앙고속도로 칠곡IC로 나가면 칠곡네거리가 나오는데 그곳에서 계속해서 직진해서 가다보면 도로가 좌측으로 굽어지는 끝에 LG주유소와 Joy마트 편의점이 있다. 편의점 옆으로 난 길을 따라 저수지를 지나면 운암지공원이 있다. 그곳에서 직진해서 등산로를 따라 200여 미터 가면 갈림길이 나오는데 함지산 등산로로 가지말고 우회전하여 철로만든 작은 다리를 건너 외딴집 앞을 지나 500여 미터 가면 그리 높지 않은 산기슭에 미륵불과 산신단과 용궁이 있다. 이곳은 밑에 있는 절에서 관리하여 주변이 깨끗하며 대구의 무속인들이 많이가는 기도터이다.
※소재지 : 경북 칠곡군
대덕산 왕굴 : ( 대구광역시 남구 )앞산사거리에서 앞산 방향으로 가다보면 현충삼거리가 있다. 그곳에서 우회전하여 상인동 가는 방향으로 1km 가면 우측에 대덕식당이 있으며 좌측에는 체육공원이 있다. 그곳에서 체육공원으로 올라가 1km 정도 가면 안일사가 있다. 안일사를 지나 등산로를 따라 300여 미터 올라가면 큰 돌탑과 우물이 있다. 그곳을 지나 계속해서 200여 미터 올라가면 대덕산 9부 능선이 위치한 바위밑에 몇 명 정도 들어갈수 있는 왕굴이 있다. 왕굴에서 우측암벽위로 올라가 정상쪽으로 30여 미터 가면 왕건이 지어주었다는 산신각터가 있다. 그곳을 지나 산위에 능선으로 올라가 우측 능선길로 300여 미터 가서 우회전하여 안일사로 내려가는 등산로를 따라 30여 미터 가면 좌측바위밑에 '정암굴'이 있다. 굴속에는 산신님과 용왕님의 상을 모셔 놓았는데 이곳에도 인사하러 가는 사람들이 있다.
※소재지 : 대구광역시 남구 봉덕동
무학산 불국사 원효굴 : ( 경북 경산시 )진인삼거리에서 와촌가는 방향으로 8.5km 가면 도로좌측에 기와촌 음식백화점이 있으며, 우측에 세종수련원으로 가는 길이 있다.그곳에서 우회전하여 2km 가면 산 중턱에 '불국사'가 있다. 불국사에서 우측으로 150여 미터 가면 암벽 중턱에 '원효굴'이 있으며, 그곳을 지나 암벽위로 올라가면 독성각이 있다. 이곳은 참선기도만 가능하며 불자들과 일반인들도 많이 간다.
※소재지 ; 경북 경산시 와촌면 강학리 5번지
촛불암 기도도량 : ( 경북 칠곡군 )울소폭포를 지나 우측개울을 따라 300여 미터 가면 개울 옆 암벽 밑에 제단과 움막이 있다. 이곳은 15년전 당주 할머니가 터를 잡은 곳으로 조용히 기도할 수 있어 대구의 보살들이 많이 간다.
※소재지 : 경북 칠곡군 동명면 기성리 전화 : 016) 9411 - 1545
일월사 : (황씨부인당) -(경북 영양군)영양터널과 봉화터널 앞에 일월산 정상으로 올라가는 길이 있다. 그 길을 따라 4km 정도 가면 일월재(940m)가 있으며 일월재에서 정상방향으로 3km 정도 더 올라가면 군부대 밑에 일월사 황씨부인당이 있다. 일월산의 굿당들은 대부분 황씨부인당을 꾸며놓았는데 정상 일월사에 있는 황씨부인당이 기도를 잘 받는다 하여 무속인들이 많이 간다.
※소재지 : 경북 영양군 청기면 당리 산118 전화 : 054) 682 - 4724
천문사 기도도량 : ( 경북 영양군 )이곳은 개인사찰로 20여년 전에 개관 하였으며 기도손님만 받는다. 법당과 요사채 주변에 황씨부인당, 산신각, 천제단, 용왕당, 서낭단을 만들어 놓았다.
※소재지 : 경북 영양군 일월면 용화리 전화 : 054) 683 - 6102
용화사 기도도량 : ( 경북 영양군 )용화사는 과거 일월산 상봉에 있다가 30여년 전 산중암자 철거령이 내려졌을 때 현재의 자리로 내려 왔으며 대웅전과 단군전, 산신당, 용왕전, 황씨부인당, 요사채를 만들어 놓았으며 좌측에 있는 폭포 밑에도 제단이 있다.
※소재지 : 경북 영양군 일월면 용화2리 402 전화 : 054) 683 - 0661
일월사 기도도량 : ( 경북 영양군 )
※소재지 : 경북 영양군 일월면 용화리 전화 : 054) 683 - 1009
칠성 미륵사 기도도량 : ( 경북 영양군 )이곳은 2002년에 개관 하였다. 당주의 꾼에 신령님이 현몽하여 가리키는 곳을 찾아가보니 칠성봉과 삼신봉이 만나는 지점에 거대한 바위 두개가 묻혀 있어 2001년12월18일 일으켜 세우니 높이 3.2m 둘레 5.5m로 높이와 같은 두개의 바위가 발견되어 미륵부처님으로 모셔놓았다.
※소재지 : 경북 영양군 일월면 칠성리 344-1 전화 : 054) 683 - 0255
칠성봉 삼불암 기도도량 : ( 경북 영양군 )일월산 줄기인 칠성봉 기슭에 자리잡은 삼불암은 당주가 8년전에 터를 잡은 곳으로 요사채 뒤에 칠성당, 산신당, 황씨부인당을 만들어 놓았다. 당주에 의하면 칠성봉은 1일 기도는 효험이 없으며 3일 또는 1주일은 해야 산신에서 응답을 준다 한다. 따라서 이 도량에서는 장기기도 손님만 받는다. 이곳에서는 칠성님과 산신님이 잘 실리는데 산신에서는 소고기, 돼지고기의 생고기를 좋아하며 다른고기는 받지 않는다 하며, 어디나 마찬가지로 칠성에는 일체 고기를 올리지 않는다.
※소재지 : 경북 영양군 일월면 칠성리 전화 : 054) 683 - 1112
광암사 기도도량 : ( 경북 청송군 )대전사에서 좌측개울을 건너 등산로를 따라 600여 미터 가면 장군봉 아래에 '광암사'가 있다. 이 암자는 기도도량으로 100여 년 되었는데 장군봉을 멀리서보면 서광이 하늘로 올라가듯 보여 '광암'이라 하였는데 그 아래 있다하여 광암사라 하였다. 이곳은 장군줄이 강한 도량이다.
※소재지 : 경북 청송군 부동면 상의리 산32 054) 873 - 3196
주왕굴 : ( 경북 청송군 )대전사 뒤 등산로를 따라 40분정도 가면 주왕암이 있다. 주왕암 오른쪽 아래로 돌아 암벽사이 협곡으로 들어가면 주왕이 살다가 마장군에게 발각되어 죽었다는 '주왕굴'이 있다. 이곳에서도 기도를 한다.
※소재지 : 경북 청송군 부동면 상의리
빙계계곡 : ( 경북 의성군 )가음면 소재지에서 청송가는 방향으로 1km 정도 가면 삼거리가 나온다. 그곳에서 우회전하여 2km 가면 빙계계곡이 있다. 근래에는 군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관광객들도 많이 간다. 무속인들은 계곡의 적당한 곳에서 기도를 하나 관광지가 되어 최근에는 가는 사람이 드물다.
※소재지 : 경북 의성군 춘산면 빙계리 지내
갈라산 각시당 : ( 경북 안동시 )안동역에서 영덕 가는 방향으로 가다보면 안동대가 있다. 안동대를 지나 300여 미터 가서 우회전하여 다리를 건너 조금 가다가 다시 우회전하여 2km 가면 남선면 소재지가 있다. 그곳에서 도로리 사북골마을로 가서 등산로를 따라 1km 정도 가면 산비탈에 '각시당'이 있다.
※소재지 : 경북 안동시 남선면 도로리 사북골
학가산 애련사 : ( 경북 안동시 )저전삼거리에서 서후면 소재지로 가서 8km 정도 가면 천주리가 나오는데 그곳에서 산으로 1km 올라가면 산 중턱에 '애련사'가 있어 기도와 굿을할 수 있다.
※소재지 : 경북 안동시 서후면 천주리
학가산 기도터 : ( 경북 안동시 )안동에서 제비원 앞을 지나 영주 가는 방향으로 10km 정도 가면 옹천삼거리가 있다. 그곳에서 좌회전하여 신전리까지 가면 학가산 정상에 있는 KBS송신소로 올라가는 길이 도로 좌측에 있다. 그곳으로 좌회전하여 4km 정도 올라가면 KBS송신소 바로 앞에 MBC송신소 쪽으로 가는 길이 있는데 그곳으로 50여 미터 가면 좌측 바위 옆에 '산불조심'이라고 쓰여 있는 곳이 있는데 그곳에서 기도를 많이 한다. MBC송신소 뒤 정상 바위 밑에 작은 굴이 있는데 그곳에서도 기도를 한다.
※소재지 : 경북 안동시 북후면 신전리
제비원 미륵불 : ( 경북 안동시 )안동에서 영주가는 방향으로 4km 정도 가면 도로 우측에 '제비원'이 있다. 이곳에는 '연비사'라는 암자와 옆에 신라말에서 고려초기 무렵에 만들어진 석불이 있다. 이곳은 성주풀이에서 성주의 본향으로도 잘 알려져 있는 곳으로 이곳에서 기도를하면 득남이나 시험에도 영험하다하여 수험생들의 부모들도 기도발원을 많이 한다. 기도는 주로 미륵불 앞에서 한다. 대중교통은 안동역에서 옹천행 54번 버스가 30분에 1대씩 다닌다.
※소재지 : 경북 안동시 이천동 산2번지
신영사 기도도량 : ( 경북 안동시 )
※소재지 : 경북 안동시 예안면 신남리 전화 : 054) 822 - 8818
김생굴 : ( 경북 봉화군 )청량사 휴게소에서 350여 미터 내려가면 '입석'이 서 있으며 길 우측에 청량사로 올라가는 등산로가 있다. 그 길을 따라 500여 미터 올라가서 갈림길에서 우측으로 500여 미터 가면 '외청량사'라고도 하는 웅진전이 있다. 웅진전을 지나 계속해서 등산로를 따라 700여 미터 가면 암벽 밑에 넓은 굴과 우물이 있다. 이곳에도 무속인들이 가는데 등산객들이 많아 낮에는 잠시 인사나할 수있다.
※소재지 : 경북 봉화군 명호면 북곡1리
장군바위 : ( 경북 봉화군 )봉화군 재산면 소재지에서 4km 가면 남면삼거리가 있다. 그곳에서 우측길로 500여 미터 가면 우측에 청량산으로 가는 길이 있다. 그 길을 따라 2.5km 정도 가면 길 좌측에 청량산 휴게소가 있는데 그곳을 지나 청량사 방향으로 50여 미터 가면 길 우측에 오솔길이 있다. 그곳으로 들어가 300여 미터 가면 계곡 좌측 암벽 밑에 넓은 굴과 우물이 있다. 이곳은 과거 강감찬 장군이 기거하며 수도했다는 말이 전해지는데 무속인들이 많이 간다. 소재지 : 경북 봉화군 명호면 북곡1리
태봉사 기도도량 ( 경북 봉화군 )이곳은 일월산에서는 좀 떨어져 있으며 재산면 소재지 쪽에 있다.
※소재지 : 경북 봉화군 재산면 갈산1리 988번지 전화 : 054) 672 - 2708
장군봉 기도도량 : ( 경북 봉화군 )봉화터널에서 봉화가는 방향으로 5.4km 정도 가면 도로 우측에 '장군봉 기도도량' 안내판이 있다. 그곳으로 우회전하여 5km 정도 가면 장군봉 밑 산기슭에 기도도량이 있다. 이곳은 5년 전에 개관하였으며 장군당, 산신당, 천제단, 미륵부처님을 노셔놓은 용화전, 용궁이 있다. 장군단과 산신단에는 고기를 올리나 천제단과 용화전에는 올리지 않는다.
※소재지 : 경북 봉화군 소천면 서천리 1번지 전화 : 054) 672 - 0478
오봉산 주사암 뒤 장군바위 : ( 경북 경주시 )건천에서 아화가는 방향으로 가다보면 장시마을이 있으며, 도로 좌측에 '주사암' 안내판이 있다. 그곳으로 좌회전하여 500여 미터 가면 삼갈래 길이 있는데 삼갈래에서 (좌회전하면 유학사와 여근곡으로 가게 됨) 우회전하여 1km 가면 목일마을 이 있다. 목일마을에서 좌회전하여 산길을따라 4.5km 정도 올라가면 산정상에 '주사암'이 있다. 주사암앞 주차장에서 우측으로난 오솔길을따라 바위뒤로 50여 미터 돌아가면 바위 밑에 제단이 있다.
※소재지 : 경북 경주시 건천읍 송선리
오봉산 만교사 : ( 경북 경주시 )건천에서 신선사 가는 방향으로 1.5km 정도 가면 도로 우측에 '약사사' 안내판이 있다. 그곳으로 우회전하여 1km 가면 우측에 계곡이 보이는데 그곳 계곡에서도 기도를 하며 그곳을 지나 1.5km 정도 산으로 올라가면 '만교사'가 있는데 그곳 산신각과 폭포에서 기도를 한다.
※소재지 : 경북 경주시 건천읍 송선리
단석산 신선사 마애불 : ( 경북 경주시 )경주에서 영천가는 방향으로 12km 가면 건천이 있다. 그곳에서 좌회전하여 청도가는 방향으로 4.5km 가면 도로 좌측에 '신선사 마애불' 안내판이 있다. 그곳으로 좌회전하여 3km 정도 올라가면 가파른 산 중턱에 신선사가 있으며 암자에서 50여 미터 떨어진 암벽에 미륵부처님이 선각 되어 있다. 신선사 앞까지는 차가 들어갈수 없으므로 1km 정도는 걸어서 올라가야 한다.
※소재지 : 경북 경주시 건천읍 송선리
대왕암 용궁기도처 : ( 경북 경주시 )경주에서 보문단지 앞을 지나 동해로 가면 바닷가에 '문무대왕 수중릉'이 있다. 가는 길은 곳곳에 안내판이 있어 쉽게 찾을수 있다. 무속인들은 이곳 뱃사장에서 대왕암을 바라보며 기도나 굿을 한다. 장기기도를 하는 경우 인근에 있는 민박 집을 이용해야 한다.
※소재지 : 경북 경주시 양북면 봉길리
동대봉산 황용사 옆 계곡 : ( 경북 경주시 )보문단지를 지나 5km 가면 덕동교가 있는데 그곳을 지나 문무대 왕릉 방향으로 1.5km 정도 가면 좌측에 황용휴게소가 있으며 황용사로 들어가는 길이 있다. 그곳으로 좌회전하여 3km 가면 '황용사'가 있다. 황용사 우측 옆에 있는 개울을 따라 200여 미터 올라가면 개울가에 '책바위'가 있으며 50여 미터 더 올라가면 '폭포'가 있다. 무속인들은 이곳 책바위에서 기도를 한다.
※소재지 : 경북 경주시 황용동
동대봉산 명실마을 계곡 : ( 경북 경주시)경주에서 보문단지 앞을 지나 문무대왕릉 가는 방향으로 5km 정도 가면 '덕동교'가 있다. 그 다리를 건너면 좌측에 '수덕사' 안내판이 있다. 그곳으로 좌회전하여 4km 정도 가면 '명실마을'이 있다. 명실마을에서 개울을 따라 계곡쪽으로 300여 미터 올라가면 작은 폭포가 있다. 정해진 기도터는 없으나 기자들은 이곳 적당한 곳에서 기도를 한다.
※소재지 : 경북 경주시 덕동 명실마을
남산 삼릉 위의 기도터 : ( 경북 경주시 ) 삼릉 위로 등산로를 따라 1km 정도 올라가면 목잘린 부처님이 있다. 그곳에서 개울을 건너지 않고 바로 올라 가면 육불이 있으며, 우측으로 개울을 건너 50여 미터 올라가면 우측 바위 밑에 제단이 있다. 이곳에서 기도하면 '산신할배가 잘 내린다' 하며 과거에는 방도 꾸며 놓았으나 시청에서 헐었다. 이곳은 남산의 대표적인 기도터이다.
상선암 위 마애석가여래좌상 : 등산로를 따라 육불위로 1km 정도 가면 '상선암'이 있으며 그 위로 100여 미터 가면 '마애석가여래좌상'(경북 유형문화재 158호)이 있다. 거대한 암벽에 석가여래가 몸을 약간 위로 제치고 앉아 반쯤 뜬 눈으로 속세의 중생을 바라보고 있으며 어깨까지는 깊게 조각하여 돋보이게 한 반면 몸체는 얕게 새겨 자연과 인공을 조화시킨 조각수법이 특이하다. 기자들은 이곳에서 참선기도를 많이 한다. 상선암(054 745~8618)에서 기도손님을 받기는 하나 방이 부족하다.
※소재지 : 경북 경주시 배동
삼선바위 용궁기도터 : ( 경북 포항시 )포항에서 오천을 지나 장기면 소재지까지 간 후 면사무소 앞에서 좌회전하여 장기초등학교를 지나 2.7km 정도 가면 금곡교 앞 해변에 작은 산 같은 바위가 3개 있다. 인근에는 민박집과 횟집이 있으며 휴일에는 행락객들의 왕래가 빈번한 곳이지만 이곳 바위 앞 해변에서 포항의 무속인들이 용궁기도를 한다. 한편, 장기면 소재지에서 삼선바위쪽으로 가다보면 좌측산 밑에 '할매바위'와 '할배바위'가 있는데 인근에 주민들이나 무속인들이 옛날부터 이곳에서도 기도를 했다. 기도는 특히 할매바위 위 야산에서 많이 한다.
※소재지 : 경북 포항시 남구 장기면 금곡리
내연산 보경사 뒤 12폭포 : ( 경북 포항시 )포항에서 영덕가는 방향으로 23km 가면 송라면 소재지가 있다. 그곳에서 좌회전하여 8km 가면 '보경사'가 있다. 입구 매표소에서 보경사를 지나 도보로 1시간 정도 가면 긴 계곡을 따라 연산폭포, 관음폭포, 쌍생폭포등 경관이 뛰어난 폭포가 여러개 있어 '12폭포'라고 하는데 이곳에서 무속인들이 기도를 한다. 대중교통은 포항시외버스터미널에서 1 시간에 한대씩 보경사행 버스가 있다.
※소재지 : 경북 포항시 북구 송라면 중산3리
천태산 해선암 기도도량 : ( 경남 밀양시 )밀양에서 김해가는 방향으로 20km 가면 삼랑진이 있다. 삼랑진역을 지나 원동가는 방향으로 3.5km 가면 도로 좌측에 안태가든이 있다. 그곳에서 좌회전하여 800여 미터 가서 양수발전소전시관 앞에서 좌회전하여 3.5km 정도 가면 안촌마을이 나온다. 안촌마을을 지나 천태호 가는 방향으로 1km 정도 가면 도로 우측에 두메산골가든이 있으며 50여 미터 더 가면 도로 좌측에 '해선암' 안내판이 있다. 그곳으로 좌회전하여 700여 미터 되는 산능선을 넘어가면 반대편 산비탈에 숭촌마을이 있으며,마을 밑으로 계속해서 2km 내려가면 계곡 우측에 '해선암'이 있다. 해선암에는 기도방이 있어 숙식을하며 기도할 수 있으며 조용히 장기기도하기에도 좋은 곳이다.
※소재지 : 경남 밀양시 삼량진읍 행곡리 숭촌56번지 전화 : 055) 355 - 9325
용두산 기도터 : ( 경남 밀양시 )밀양 영남루 앞에 있는 밀양교를 건너 밀양역 방향으로 가다보면 용두교가 있다. 용두교를 건너자마자 좌회전하여 강변주차장으로 내려가 100여 미터 가면 청룡사가 있다. 청룡사 앞에서 10여 미터 더가면 길우측 '암벽 밑에 제단'이있다. 전방으로 강물이 흐르는 이곳은 도심 가까이에 있어 밀양의 무속인들이 많이간다.※소재지 : 경남 밀양시 가곡동
덕기마을 허공기도터 : ( 경남 하동군 )이곳은 마을 개울가에 있는 작은 기도터로서 조용히 기도 할 수 있는 곳이 아니다. 일부러 멀리서갈 필요는 없을 것 같다.
※소재지 : 경남 하동군 악양면 동매리 덕기마을
신불산 기도터 : ( 울산광역시 울주군 )가지산도립공원 인근에 있는 신불산은 산정에 억세풀이 장관을 이루며 등억리에서 작천천을 따라 홍류폭포에 이르며 31m의 폭포는 가슴을 서늘하게 하고 계곡엔 암반위로 흐르는 옥류가 절경이다. 신불산에는 정해진 기도터는 없다. 무속인들은 간월산장에서 정상으로 올라가는 등산로 주변 계곡 적당한 곳에서 기도를 하며 천상기도를 하는 사람들은 산 정상으로 올라간다.
※소재지 :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
문수산 (청량산) 범굴기도터 : ( 울산광역시 울주군 )울산 문수경기장 앞에서 부산가는 방향으로 1.5km 정도 가면 도로 우측에 '문수사' 안내판이 있다. 그곳으로 우회전하여 3.5km 정도 가면 주차장이 있다. 주차장에서 문수사로 가는 오솔길을 따라 500여 미터 가면 오솔길 좌측에 바위가 서 있다. 좌측 바위 밑으로 사람이 다닌 흔적이 있는데 그곳으로 들어가면 긴 암벽이 시작된다. 암벽 밑으로 난 길을 따라 100여 미터 가면 '용궁'이 있으며 30여 미터 더 가면 암벽에 과거 호랑이가 살았다는 '범굴'이 있다.
※소재지 :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면 율리
구암리 용궁기도처 : ( 울산광역시 북구 )어물동 마애불 앞을 지나 1.5km 정도 가면 금천이 있다. 그곳에서 우회전하여 800여 미터 가면 구암회집이 있는데 회집 앞 바닷가 주변에 거북이가 육지로 기어오르는 형상을 한 바위가 여러 개 있다. 각지에서 찾아갈 만큼 유명한 곳은 아니나 울산의 무속인들은 이곳에서 용궁기도를 많이 한다. 대중교통은 울산시내에서 6번, 306번 버스가 구암까지 다닌다.
※소재지 : 울산광역시 북구 어물동 구암마을
어물동 마애여래좌상 : ( 울산광역시 북구 )폭포미륵 산당에서 정자해수욕장 가는 방향으로 6km 정도 가면 삼거리가 나오며, 도로 우측에 '어물동 마애여래좌상' 안내판이 있다. 그곳으로 우회전하여 2.5km 가면 도로에서 50여 미터 떨어진 좌측 산비탈에 마애여래좌상이 있다. 많이 알려져 있는곳은 아니나 이곳에서도 기도하는 사람이 있다.
※소재지 : 울산광역시 북구 어물동
형산 미륵기도터 : ( 경북 경주시 )국당2교를 건너 좌회전하여 900여 미터 가면 도로 우측 바위 밑에 제단이 있다. 이곳 바위에는 이름이 많이 쓰여 있는데 이곳에서 무속인들이 단골의 수명장수와 복을 위해 자주 이름을 판다. 이곳은 포항의 무속인들이 빈번히 가는 허공기도터로서 고기는 받지 않는다 한다.
※소재지 : 경북 경주시 강동면 국당1리
형산 정상의 기도터 : ( 경북 경주시 )
용왕전 : 이곳 행정구역은 경주시에 속하나 포항에 인접하여 포항에 주민들이나 무속인들이 많이간다. 포항에서 경주 방향으로 가다보면 유강터널이 있다. 터널을 지나 300여 미터 가서 좌측으로 들어가 국당2교를 건너 좌회전하면 국당1리와 2리이며, 우회전하여 1.3km 가면 국당3리다. 국당3리에서 마을 뒤로 난 개울을 따라 1km 정도 가서 좌측으로 난 산길을따라 1km 올라가면 형산정상이 나온다. 그곳에 '용왕전'과 '암자'가 있다.
장군수 : 용왕전에서 좌측으로 난 오솔길을 따라 50여 미터 내려가면 밭이 있다. 밭을 지나 국당2리로 가는 오솔길로 100여 미터 내려가다가 좌측으로 50여 미터 가면 '우물'이 있다. 예전에는 이 물을 먹고 장군이 낳다 하여 이곳을 '장군수'라고 하는데 이곳에서도 기도를 한다.
※소재지 : 경북 경주시 강동면 국당2리
오봉산 여근곡 : ( 경북 경주시 )원신마을 유학사 뒤쪽에 있는 '여근곡'에 전에는 기도하러 가는 사람들이 있었으나 근래에는 드물다. 선덕여왕때 백제군이 이곳 여근곡으로 숨어들었다가 신라군에게 몰살 되었다. 대중교통은 경주역에서 301번 버스가 아화까지 다닌다.
※소재지 : 경북 경주시 건천읍 신평2리 원신마을
충청도권
소두머니 용궁기도터 : ( 충북 진천군 )도룡골 주민들이 전하길, 소두머니 용궁기도터는 예전부터 무속인들은 물론 인근에 사는 주민들도 크게 위하던 곳이라 한다. 특히 칠석날에는 많은 사람들이 정성을 드리기 위해 왔다 한다.
※소재지 : 충북 진천군 문백면 은탄리2구 도룡골마을
봉화산 기도터 : ( 충북 진천군 )기도터에는 부처님과 산신님의 상(像)을 모신 제단이 있으며 도랑에는 용궁을 만들어 놓았다.
※소재지 : 충북 진천군 진천읍 원덕리
수촌리 동제당 : ( 충북 단양군 )이곳엔 소백산의 신령님이 직접 강림하는 곳이라고 한다. 이곳은 각지의 무속인들이 찾아올만큼 알려진 곳은 아니다. 단양에 있는 무속인들이 가끔 가는 곳이다. 그러나 때묻지 않은 청청한 곳으로 산도 소백산 줄기에 속하는데 신령스러워 보인다. 이곳은 상수도보호구역이므로 주민들은 무속인들이 오는 것을 싫어한다. 이곳에서는 조용한 참선기도만 가능하며 절대 오물을 남기지 말아야한다.
※소재지 :충북 단양군 단양읍 수촌리
금수산 용담폭포 : ( 충북 제천시 )이곳은 무속인이나 도인들에게는 명기를 받기에 좋은곳이라 한다. 용담폭포에는 편히 자리를 잡고 기도할 수 있거나 허공제단이 설치되어 있지는 않다. 잠시 구경을 하거나 인사나 하고 갈 수 있을 정도이며 각지에서 무속인들이 많이 오는 곳은 아니다.
※소재지 : 충북 제천시 수산면 상천리
도화리 약수터 : ( 충북 제천시 )이 약수터는 예전부터 내려오던 곳으로 '배가 아프거나 몸이 아플 떄 이곳의 물을 마시면 효험이 있고 기도가 잘 받는다'하여 무속인들은 물론 인근의 주민들도 기도하러 오는 곳이다. 도하리에 사는 아주머니들은 젊었을 떄 생리하면 이곳에 메를 올리고 기도를 했다 한다.
※소재지 : 충북 제천시 청풍면 도화리
용두산 물안이골 기도터 : ( 충북 제천시 )제천 시내에서 의림지를 지나 명암리 방향으로 1km정도 더 가다보면 '피재1교'라는 작은 다리가 있다. 다리를 건너기 직전에서 우회전하여 계곡으로 400여 미터 올라기면 곳곳에 '허공기도터'가 있다. 인근의 주민들은 이쪽 계곡을 '무당골'이라 부른다.
※소재지 : 충북 제천시 송학면 도화리
남산 창룡사 앞 기도터 : ( 충북 충주시 )기도터에는 개울 옆 암벽 밑에 제단을 만들어 놓았다. 충주에 있는 한 무속인에 의하면, 이곳은 충주의 무속인들이 많이 가는 곳으로 기도하면 '할머니가 잘 실린다(남산은 여산임)' 한다. 한편, 청룡사는 원효대사가 지었다는 고사찰이다. 또한 길목에 있는 '범바위'는 옛날 산신령으로 추앙받던 호랑이가 오르내리며 사천개(이 부근의 옛 이름)를 돌보던 파수대 같은 곳이다.
※소재지 : 충북 충주시 직동
미륵사지 미륵불 : ( 충북 충주시 )월악산과 주흘산의 사이에 있는 이곳은 일찍부터 풍수지리를 연구하는 사람들에게 '명당(明堂)'으로 주목을 받아온 땅이다. 특히 백두대간의 줄기가 주흘산으로 이어지면서 백두산으로부터의 정기를 직접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땅으로 간주된다. 풍수연구가들은 풍수 입지상(風水立地上) 이곳 미륵리 명당터의 결점은 궁(宮)의 황천살(黃泉殺)인데 비보로서 사탑을 세움으로서 문제를 해결하였다고 본다.
※소재지 : 충북 충주시 상모면 미륵리
덕주사 마애불 : ( 충북 제천시 )덕주골에서 마애불까지 가는 길은 많은 등산객들이 다니는 길이며 곳곳에 안내판이 있어 쉽게 찾아갈 수 있다. 매애불은 살비탈 암벽에 있는데 앞에 기도할 수 있도록 제단과 자리를 만들어 놓았다. 마애불은 앞에 있는 암자에서 관리한다. 미륵사지의 미륵불만큼은 무속인들에게 알려져 있지 않지만 덕주사 마애불도 무속인들이나 불자들이 기도하러 가는 곳이다.
※소재지 : 충북 제천시 한수면 송계리
부모산 물탕골 기도터 : ( 충북 청주시 )이곳은 계곡 옆 낮은 암벽 밑에 약수가 나오는 '허공기도터'이다.
※소재지 : 충북 청주시 흥덕구 비하동 주봉마을
우암산 병풍바위 : ( 충북 청주시 )청주시 상당공원 뒤 충북 교육과학연구원과 교동수퍼 사이에 있는 도로를 따라 올라가면 도로가 끝난다. 그곳에서 좌측 길을 따라 'KBS송신탑' 가는 방향으로 가면, 길 우측에 병풍바위 굿당이 있다.
※소재지 : 충북 청주시 상당구 수동
속리산 정이품송 : ( 충북 보은군 )법주사 입구에 있는 정이품송에도 무속인들이 가끔씩 가서 인사를 한다.
※소재지 : 충북 보은군 내속리면 상판리
쉰배나무골 기도터 : ( 충북 보은군 )이곳에는 길이 30여 미터 되는 넓고 긴 바위가 누워 있는데 바위 밑에 50여 명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있다. 주민들에 의하면, 임진왜란인가 동학운동 떄 쉰 명이 이곳에 들어가 피난을 한 적이 있다 한다. 6.25 후에는 스님 한 분이 바위 밑에 방을 만들어 놓고 '암하사(岩下寺)'라 부르며 기도를 한 적도 있다. 그 후 암하사는 박정희 시절 산중 암자 철거령이 내려졌을때 헐리고 20여 년 전부터는 무속인들이 찾아와서 기도를 하기 시작했다 한다.
※소재지 : 충북 보은군 내속리면 산해리3구
세명당 기도터 : ( 충북 보은군 )과거 세명당 할머니가 이곳에 거주하며 기도했던 곳이라 하여 인근에 사는 주민들은 이곳을 '세명당'이라 부른다. 전에는 할머니가 거주하던 집이 이곳에 있었는데 할머니 작고후 속리산 관리사무소에서 철거했다.
※소재지 : 충북 보은군 내속리면 상판리
도명산 삼채불 : ( 충북 괴산군 )이곳은 가는 길이 멀지만 삼채불로 가는 등산로 곳곳에 안내판이 있어 쉽게 찾아갈 수 있다. 이곳은 많이 알려져 있는 곳은 아니지만 괴산의 무속인들은 자주 가는 곳이다. 삼채불 앞 안내판에는 다음과 같이 쓰여 있다.
※소재지 : 충북 괴산군 청천면 화양리
군자산 무지서낭 · 절터 · 원효굴 · 금요왕 기도터 : ( 충북 괴산군 )
무지서낭 :누군가 나무에 오색강목을 묶어 놓았으며 나무 앞 우물(용궁)에도 기도한 흔적이 있는 것으로 보아 무속인들의 발길이 잦은것으로 보였다.
절터 :이절터는 과거 '군자사가 있던 자리'인데 박정희 시절 산중 암자 철거령이 있을 떄 헐리었다. 현재는 당시에 사용하던 우물과 공터 안 바위 앞에 제단이 있다. 이곳 제단과 우물에서 기도를 한다.
원효굴 :원효굴은 과거 원효대사가 기도를 했던 곳이라 하는데 예전에 이곳에서 기도를 하다가 호랑이를 본사람도 있다 한다. 핸재 동굴의 길이는 3미터 정도되는데 6.25때 무장한 인민군들이 은신처로 삼기도 하여 괴산군에서 굴의 일부분을 돌로 채웠다.
금요왕 :이곳은 옛날 '흰 사기그릇에 물을 뜨면 금빛이 돈다'고 하여 '금요왕'이라 불리게 되었다 한다. 군자사 스님이 전하길, 이물을 먹으면 속병에 좋다 하며, 아픈 환자나 아기를 놓지 못하는 사람이 이곳에서 기도를 하면 효험이 있다 한다. 그러나 부정한 사람이 우물(용궁)에 가서 1시간만 있으면 물이 마른다 한다.
※소재지 : 충북 괴산군 칠성면 사은동
군자산 군지사 : ( 충북 괴산군 )군자사는 주지스님이 10년전 군자산 기슭에 세운 사찰이다. 이곳에는 대웅전과 요사채, 굿을 할 수있는 간이건물, 대웅전 앞 계곡에 허공제단이 만들어져 있다.
※소재지 : 충북 괴산군 칠성면 외사리 전 화 : 043) 832 - 1333
두타산 기도터 : ( 충북 괴산군 )두타산 중턱 계곡에 위치한 이 기도터는 바위 앞에 움막을 지어놓은 형태다. 예전부터 사람들이 기도하러 다니던 곳인데 증평에 거주하는 보살 몇분이 7년전 이곳에 움막을지어 놓았다. 두타산은 여산이며 소고기와 돼지고기는 제물로 올릴수 있으나 닭고기는 올릴수없다. 두타산은 진천이나 괴산군 인근에사는 보살들이 많이가는 곳으로 산주변에 기도터가 몇 군데 있다.
※소재지 : 충북 괴산군 증평읍 연탄2리 탑선리마을
신원사 뒤 금룡암 기도터 : ( 충남 공주시 )신원사 앞에서 우측뒤로 가는길을 따라 500여 미터 가면 '금룡암'이 있다. 금룡암에있는 계곡주위에 여러개의 '허공제단'이 있는데 이곳은 각지에서 찾아오는 사람이많아 연일 무속인들의 발길이 잦은 곳이다.
※소재지 : 충남 공주시 계룡면 양화리
대성 굿당뒤 은혜골 허공기도터 : ( 충남 공주시 )연촌봉 기슭에 있는 은혜골은 이성계와 관련된 설화가 전해진다. 즉,과거 이성계가 연천봉에서 기도를 드릴 때 기생들과 잠을 잔 후 이곳으로 버렸는데, 기생들이 이성계에게 '은혜를 입었다'하여 이쪽 골짜기를 '은혜골'또는 '연애골'이라 한다는 말이 있다.
※소재지 : 충남 공주시 계룡면 양화리
소나무 굿당뒤 허공기도터 : ( 충남 공주시 ) 이곳에는 큰 바위 밑에 용궁과 제단이 있으며, 우측에는 개울이 있다.
※소재지 : 충남 공주시 계룡면 양화리
불암당 뒤 허공기도터 : ( 충남 공주시 )장군당'(개울의 바위 밑에 제단이 있음)이라 불리는 허공기도터가 있다.갈림길을 지나 산소 옆 개울에 보면 제단이 있는데 이곳에서 기도하면 '계백장군이 많이 실린다'하여 '계백장군당'이라 부른다. 계속해서 올라가면 오솔길을 지나 대나무 숲이 있다. 대나무 숲을 지나 300여 미터 가면 '부도골'기도터가 나온다. 부도골에는 30cm 정도되는 작은 부처님과 용궁 그리고 주위에 제단이 있다.
※소재지 : 충남 공지시 계룡면 하대리
갑사 약사여래불 : ( 충남 공주시 )갑사 경내 우측 계곡 옆에 '약사불'이 있다. 이 약사불은 영험하다고 알려져 있어 제자들이 많이 간다.
※소재지 : 충남 공주시 계룡면 중장리52
옥계폭포 : ( 충북 영동군 )높은암벽 사이로 웅장한 물줄기가 떨어지는 옥계폭포는 주변경관이 아름다워 관광객들도 찾는곳이다.과거에는 명기가 세다하여 무속인들이 이곳을 많이 갔으나 관광지가 된후로 기도발이 세지않아 근래에는 기도하러 가는 사람이 많지 않다.
※소재지 : 충북 영동군 심천면 고당리
서대산 기도터 : ( 충북 옥천군 )기도터에는 암벽밑에 산신당과 돌탑,용궁,움막이 있다. 이곳은 예전부터 내려오던 기도터로서 9년 전부터 대전에 거주하는 보살님이 움막을 짓고 관리하고 있다. 기도터를 관리하는 보살님에 의하면, 서대산은 남녀합산으로 약사불과 도줄이 강하며, 제물로 밥과 나물은 잘 받지만 생선이나 닭과 계란은 올릴수 없다 한다.
※소재지 : 충북 옥천군 군서면 원천리
황룡암 용궁기도터 : ( 충북 옥천군 )이곳에는 정기적으로 다니는 배가 있는 것이 아니라 낚시터에 배가 있어 손님이 있을 떄만 가기떄문에 '뱃삯은 부르는 것이 값'이다. 대청호 강변에 있는 황룡암은 용궁기도터로 유명하여 인근에 있는 무속인들은 물론 대전 등지에서도 많이 가는 곳이다.
※소재지 : 충북 옥천군 안내면 장계리 용댕이마을
구녀성 기도터 : ( 충북 청원군 )이곳은 여산신으로 산신이 무척 세다는 말이 있다. 구녀성에는 청주 지역의 무속인들 보다는 서울 등지의 외지에서 기도하러 오는 경우가 많다.
※소재지 : 충북 청원군 미원면 대신리
갑하산 폭포기도터 : ( 충남 대전시 유성구 )이곳은 개울의 작은 폭포 앞에 제단을 만들어 놓았다.
※소재지 : 충남 대전시 유성구 갑동
갑하산 허공기도터 : ( 충남 대전시 유성구 ) 울타리 담장 안에 제단과 용궁이 있다. 이곳과 아래에 있는 폭포 기도터는 대전에 있는 무속인들이 많이 가는 곳이다.
장군봉 허공기도터 : ( 충남 공주시 )산으로 올라가는 시멘트 포장된 길을 따라가면 공터가 나온다. 공터 끝에 가면 산에서 내려온느 좁은 골짜기가 있으며, 옆에 산으로 올라가는 오솔길이 있다. 오솔길을 따라 올라가면 갈림길이 나오며 그곳에서 골짜기따라 산위로 곧장 올라가는 길로가면 바위밑에 굴(산중턱에 있는 기도터)이 있다.
※소재지 : 충남 공주시 반포면 학봉리
삼불봉 허공기도터 : ( 충남 공주시 )삼불봉의 암벽 밑에 위치한 이곳 기도터는 계룡산에서 가장 유명한 허공기도터다. 이곳에서 만난 한 보살님은, "이곳은 제석할머니가 주령으로 내리며 제자들이 남의 가정사를 판단하는데 영험을 준다. 또한 제자길을 가야할지, 그만 두어야 할지 기도의 덕을 전부 받을 수 있을 정도로 영검하다. 아픈 환자도 이곳에서 기도하면 완쾌된다. 이곳에서 기도하면 조상에서도 도와주며, 다른 곳에서 해결되지 않을 것들이 해결된다."들이 이곳 자랑을 늘어놓았다. 삼불봉 기도터로 들어가는 입구 갈림길에서 삼불봉 정상 반대 방향으로 20여 미터가면 낮은 봉우리가 하나 있는데 그 봉우리를 무속인들은 '선녀봉'이라 하는데 정상은 평평하여 앉아서 천신기도를 해도 된다. 또한 갈림길에서 선녀봉 밑으로 난 오솔길을 따라 가면 '칠성바위'가 있는데 칠성줄에 매여 있는 제자들이 이곳에서 기도하면 잘된다 한다.
※소재지 : 충남 공주시 반포면 학봉리
임금봉 굿당 뒤 허공기도터 : ( 충남 공주시 )임금봉 굿당 마당에는 제단이 있다. 제단 옆에 산으로 올라가는 오솔길이 있는데 그길을 따라 밤나무 사잇길을 지나 50여 미터 올라가면 산중턱에 제단이 있다. 이 주변에는 이곳 외에도 기도터가 몇곳 있다.
마티고개 국사봉 허공기도터 : ( 충남 공주시 )국사봉은 마티고개 쪽에 있는 것과 향한리 향적봉 부근에 있는 것이 있다. 미티고개 쪽에 있는 국사봉의 허공기도터는 대문사 굿당 뒤로가는 것이가장 빠르다. 찾아가는 길은 대문사 굿당에서 문의하면 된다.
※소재지 : 충남 공주시 반포면 봉곡리
청벽수상레저선착장 부근 청벽산 허공기도터 : ( 충남 공주시 )다복파크와 청벽가든을 지나 조금 가면 도로 우측에 '충남산림연구소' 안내판이 있다. 그곳에서 우회전하여 강변(강변에 ' 청벽수상레저선착장'이 있음)길을 따라 가면, 길 우측에 산에서 내려오는 작은 개울이 있다. 개울 옆으로 오솔길이 있는데 그깃을 따라 올라가면 바위 밑에 제단과 용궁, 서낭단이 있다.
※소재지 : 충남 공주시 반포면 도남리
용화사 굿당 뒤 미륵불 : ( 충남 논산시 )용화사 굿당 뒤 계곡 옆으로 난 오솔길을 따라 500여 미터 올라가면, 길 좌측 20여미터 앞 바위에 '미륵불'이 새겨져 있다. 미륵불 앞에는 제단이 있고 우측에는 용궁이 있다.
※소재지 : 충남 논산시 상월면 상도1구
계룡산 중악단 : ( 충남 공주시 )이곳은 조선시대때 국가에서 계룡산신께 제를 지내던 곳(고종 때 묘향산에 상악단, 계룡산에 중악단, 지리산에 하악단을 두었음)으로 무속인들이 기도하러 가는 곳은 아니다. 그러나 금룡암이나 신원사에 가는 길이라면 이곳도 한 번 가볼 만한 곳이다. 우리 무속인들은 명산대천을 찾아가 산신기도와 용궁기도를 하지만, 조선시대 떄 국가기관에서도 명산대천에 사람을 보내어 산신제,용왕제를 지내고 국태민안(國泰民安)을 기원하였다.
※소재지 : 충남 공주시 계룡면 양화리 신원사
태학사 동굴 속의 마애불 : ( 충남 천안시 )태학사 경내에 길이 30여 미터 되는 좁고 긴 동굴이 있는데 동굴 끝에 '마애불'이 모셔져 있다. 이곳은 각지의 무속인들에게 많이 알려져 있는 곳은 아니다. 주로 천안 인근의 무속인들이 찾아간다. 이곳은 사찰이므로 조용한 참선기도만 가능하나 깊은 동굴 속에서 부처님 앞에 앉아 조용히 기도할수 있는 곳이다.
※소재지 : 충남 천안시 풍세면 삼태리 원당마을
신탄진 용궁 기도터 : ( 충남 대전시 대덕구 )금강변에있는 이 용궁기도터는 대전에서 유명한 용궁기도터는 대전에서 유명한 용궁기도처로서 연일 많은 사람들이 와서 기도나 치성을 드린다. 특히 밤이 되면 강변 암벽 밑에 켜놓은 촛불이 장관을 이루며 곳곳에서 나는 징소리를 쉽게 들을 수 있다. 한편 이곳 가까이에는 '대청암 굿당'이 있어 멀리서 가는 사람들은 굿당에서 숙식을 하며 기도할수 있다.
※소재지 : 충남 대전시 대덕구 신탄진동
안평산 기도터 : ( 충남 대전시 서구 )중간당 앞을 지나 올라가면 산소가 있는데 그곳을 지나 가서 우측 오솔길로 들어가면 암벽 밑에 제단과 움막을 지어놓은 '허공기도터'가 있다. 또한 산소 있는 곳에서 똑바로 올라가면 암벽 밑에 제단과 용궁, 움막을 만들어 놓은 '허공기도터'가 있다. 이곳은 '천존단'으로 불리는 곳인데 이곳에서 기도를 많이 한다.
※소재지 : 충남 대전시 서구 장안동
보문산 아들바위 : ( 충남 대전시 )송학사에서 우회전하여 100여 미터 가면 길 좌측에 배드민턴장이 있다. 배드민턴장으로 들어가 나무다리를 건너 30여 미터 올라가면 바위 앞에 제단과 용궁이 있다.
※소재지 : 충남 대전시 대사동
식장산 장군당 기도터 : ( 충남 대전시 동구 )이곳은 '장군당'이라고 하는데 집채만한 바위 밑에 제단이 있다.
※소재지 : 충남 대전시 동구 대성동
국사봉 허공기도터 : ( 충남 논산시 )귀룡정사 앞 등산로를 따라 올라가면 국사봉 정상에 허공기도터가 있다.
※소재지 : 충북 논산시 두마면 향한리
신성봉 기도도량 : ( 충남 공주시 )동남가든과 공덕암 사이에 산으로 올라가는 오솔길이 있는데 그 길을 따라 계속해서 300여 미터 가면 갈림길이 나오며 '돌탑'이 있다. 그곳에서 우측 길을 따라 100여 미터 가면 '돌탑'이 또 하나 있는데 돌탑을 지나 50여 미터가면 기도도량이 나온다. 도량은 계곡의 폭포 옆에 제단과 움막집을 지어놓은 형태인데 이곳의 당주가 30여 년전에 터를 잡아 현재까지 관리해 오고 있다. 소재지 : 충남 공주시 반포면 온천리
관음봉 기도도량 이곳은 원래 무속인들이 기도하러 오던 '자족암'이라는 암자가 있었는데 박정희 시절 산중암자 철거령이 내려질 때 헐리어서 현재는 허공기도터 앞에 보살님이 하우스집을 지어놓고 기도손님을 받고 있다.
※소재지 : 충남 공주시 반포면 학봉리 전화 : 042) 825 - 0206
백월산 말바위 : ( 충남 홍천군 )백월산 관리사무소 앞에 '말바위'가 있다. 이곳에서 기도를 하면 장군이 실린다고 한다. 예전에는 이곳에서 기도를 하지 않았으나 근래에는 많이 한다.
※소재지 : 충남 홍천군 홍천읍 월산2구
백월산 약사와 선녀가 잘 내린다는 바위 : ( 충남 홍천군)이곳에서 기도를 하면 약사와 선녀가 잘 내린다 하여 홍장군 사당에서 인사를 드리고 난 후, 이곳으로 가는 사람이 많다. ※소재지 : 충남 홍천군 홍천읍 월산2구
백월산 천존전 : ( 충남 홍천군 )홍장군 사당 뒤에 있는 바위를 '천존전'이라 부르며 이곳에서도 기도를 한다.
백월산 홍장군 사당 : ( 충남 홍천군 )산 정상에 올라가면 입구에 '백월산 관리사무소'가 있는데 차는 그곳에 주차해 놓으면 된다. 관리사무소 주위에는 홍장군 사당을 비롯하여 곳곳에 허공기도터가 있다. 이곳 좌측 제단 밑에는 세모난 돌이 있는데 이 돌을 '돌할머니'라 부른다. 소원을 빌면서 이 돌을 돌리면 '소원이 이루어질때는 돌이 뻑뻑하게 돌아가거나 멈칫 한다'고 한다.
백화산 백화 약수터 : ( 충남 태안군 )백화 약수터는 태안읍 뒤에 있는 백화산 정상 밑에 있지만 자동차가 쉽게 올라갈 수 있다. 이곳은 태안 등지의 인근에 사는 무속인들에게는 알려져 있는 곳이나 각지에서 무속인들이 찾아갈 만큼 유명한 곳은 아니다.
※소재지 : 충남 태안군 태안읍 동문리
설화산 기도터 : ( 충남 아산시 )설화산은 '남산신'으로 제물로 고기를 올려도 무방하다. 천제암 할머니가 전하길, 제물을 크게 가리지 않지만 더럽게 하는 것을 매우 싫어하여 정갈하게 기도해야 효험이 있다 한다. 또한 설화산은 기가 세서 애동제자들은 기도하기 힘들다 한다. 아산에서는 영인산과 설화산을 명산으로 생각한다.
※소재지 : 충남 아산시 장존동 산3-1
영인산 기도터 : ( 충남 아산시 )기도터는 개울 옆 산비탈에 서낭단을 비롯한 몇 개의 허공제단과 하우스집을 만들어 놓은 형태다. 현재 온양에 거주하는 무속인이 이곳을 관리한다. 이곳은 아산에서 유명하여 무속인들이 많이 오는 곳인데 온양에 있는 한 보살님은 일이 안 떨어질 떄 이곳에서 기도를 하면 효과가 있었다 한다. 영인산은 도줄이 센 산이다. 제물로 소나 돼지고기는 가능하나 닭고기는 간혹 서낭에는 올리지만 일반적으로 올리지 않는다.
※소재지 : 충남 아산시 영인면 상성리
천안 삼거리 : ( 충남 천안시 )민요 흥타령으로 유명해진 '천안 삼거리'는 도줄제자들이 주로가는 곳이다. 현재는 서낭당이 없기 떄문에 삼거리 길에서 허공기도를 한다고 한다. 과거에 정초가 되면 많은 사람들이 그곳에 가서 빌었는데 현재는 참나무만 남아있고 미륵은 다른곳으로 옮겼다.
※소재지 : 충남 천안시 삼룡동
각원사 미륵불 : ( 충남 천안시 )이곳은 예전부터 사람들이 와서 기도하던 곳인데 15년전 각원사에서 이곳 암벽에 미륵불을 조각해 놓았다. 현재 기도터는 각원사에서 관리하므로 이곳에서는 조용한 참선기도만 가능하다.
※소재지 : 충남 천안시 안서동
월명산 금지사 : ( 충남 부여군 )금지사는 월명산 9부능선에 있는 작은 사찰이다. 주지스님이 전하길, 이곳은 삼한시대부터 내려온 고승들이 기도하던 암자였다. 나한전 부근에 과거에 연못이 있었는데 그곳에서 금잉어가 나와 '금지사'라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소재지 : 충남 부여군 내산면 금지리 산43
미암사 쌀바위 : ( 충남 부여군 )부여에서 보령시 가는 방향으로 17Km 정도 가면 도로 좌측에 '미암사' 안내판이 있다. 그곳으로 좌회전하여 1km 정도 들어가면 산 중턱에 '미암사'가 있다. 미암사는 요사채와 법당하나가있는 작은 사찰인데 법당 앞에 "쌀바위"가 있으며 옆에는 용궁이 있다. 이곳에는 인근에 있는 무속인들이 많이간다.
※소재지 : 충남 부여군 내산면 저동리 산21-5
구두레나루터 용궁기도터 : ( 충남 부여군)이곳에서 무속인들이 용궁기도를 많이 한다. 조사자가 갔을 때 대전에서 왔다는 보살님들이 공터에 텐트를 쳐놓고 장기기도를 드리고 있었다. 한편, 구두레나루터에서 200여 미터 가면 장원막국수집이 있다. 막국수집 좌측 옆에 농가가 한채 있는데 그 집 뒤뜰에 '우물'이 있다. 이곳은 근래에 알려진 곳인데 인근에 거주하는 무속인들은 이곳에서도 용궁기도를 한다.
※소재지 : 충남 부여군 부여읍
낙화암과 고란사 : ( 충남 부여군 )낙화암은 백제여인의 굳은 절개와 고귀한 충절의 표상이다. 낙화암 꼭대기에 세워진 육각형의 백화정은 궁녀의 원혼을 추모하기 위해 1929년에 세운 것이라 한다. 낙화암 부근 강변에 있는 고란사는 고란초와 약수로 유명하다. 이곳 약수는 백제의 의자왕이 즐겨마셨으므로 '어용수'라고도 불린다. 낙화암과 고란사 약수터와 나루터(유람선 선착장)에서도 무속인들이 기도를 한다.
※소재지 : 충남 부여군 부여읍 부소산성
부소산 태자천 기도터 : ( 충남 부여군 )태자천은 '솟을용궁'으로 물이 밑에서 솟아나온다. 태자천 위 바로 밑에도 제단과 돌탑이 있다. 부소산은 낮은 야산이지만 부여에서 본산으로 여겨지는 산으로 산 주위는 산성(부소산성)으로 둘러싸여 있다. 태자천은 부소산의 대표적인 기도터로 각지에서 무속인들이 오는 곳이다.
죽도 용궁기도터 : ( 충남 보령시 )이곳은 해변가 허공에서 기도를 하지만 충청도 서해안에서는 무속인들이 많이 가는 곳이다. 한편, 무창포해수욕장에서 배를 타고 다부도로 건너가서 그곳 해안가에서 용궁기도를 하는 사람들도 있다.
※소재지 : 충남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죽도
성주산 성원사 뒤 기도터 : ( 충남 보령시 ) 산기슭에 약수터(용궁)와 허공제단이 있다. 과거 동대동에 사는 심씨 할머니(현재 작고)가 이곳 약수터에서 기도를 하여 아들을 보았는데 그 후 이곳이 용하다 하여 사람들이 기도를 하기 시작했다 한다. 8년 전에는 이화순 보살(성원사 주인)이 이곳에서 5년 간 기도를 했다 한다.
※소재지 : 충남 보령시 동대동
굴바위 기도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