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目次)
ㅇ 「금서축(錦西𨋀)」을 번역 발간하며 – 시주와 일생을 벗하다. 여천 정철중
ㅇ 발간사
ㅇ 「금서축(錦西𨋀)」과 금서 신응모(申應模)
Ⅰ. 「금서축(錦西𨋀)」 시문(詩文)
제1장. 춘유일기(春遊日記) - 경산 유산기(遊京山)
□ 도봉산(道峯山)
1. 상계사(常溪寺)
2. 상계사(常溪寺) 병서(屛西) 신면구(申冕求)
3. 만장봉(萬丈峯)
4. 망월사(望月寺)
5. 망월사(望月寺) 이랑(吏郎) 신직모(申直模)
6. 만장봉(萬丈峰) 이랑(吏郎)
7. 만장봉(萬丈峰) 학산(鶴山) 남종문
8. 천축사(天竺寺)
9. 천축사(天竺寺) 이랑(吏郎)
10. 원통암(圓通菴)
11. 원통암(圓通菴) 학산(鶴山)
□ 삼각산(三角山:北漢山)
12. 도선암(道詵庵)
13. 백운대(白雲臺)
14. 백운대(白雲臺) 병서(屛西)
15. 진관(津寬)
16. 김판서로정자(金判書鏴亭子)
17. 김판서로정자(金判書鏴亭子) 백파(白坡) 신헌구(申獻求)
18. 해수관음(海水觀音)
19. 매혜정(邁惠亭) 2수
□ 홍제로·마포·용산
20. 모악치(慕嶽峙)
21. 모화관(慕華館)
22. 각정원현(閣亭圓峴)
23. 한식(寒食)
24. 화성관(華城舘)
25. 마포(麻浦)
26. 용산(龍山)
□ 춘유일기(春遊日記)
◾ 일정 추정
◾ 도봉산·북한산 산행도 추정
제2장. 보은 삼산관에 머물다(留懷報恩三山舘)
27. 무금헌(撫琴軒)
28. 삼년산성(三年山城)
29. 속리산(俗離山)
30. 아전노괴(衙前老槐) 관아 앞뜰의 늙은 회화나무
31. 사친(思親) 부모님 생각
32. 우야구염(雨夜口拈) 비오는 밤에 읊다
33. 득훤자(得喧字) 왁자지껄한 봄
34. 한거(閑居)
35. 청춘향곡(聽春香曲) 춘향곡을 듣고
36. 회추(懷秋) 가을의 회포
37. 신청(新晴) 맑게 갠 날
38. 우야경(雨夜景) 비 내리는 밤
39. 영문(詠蚊) 모기 소리
40. 자조이조인(自嘲而嘲人) 스스로 자조하니 서글퍼지네
41. 증우연소(蒸雨連宵) 무더운 날 비 내리는 밤. 백파(白坡)
42. 암격(暗激) 어둠속의 격랑
43. 자탄(自歎) 늙음을 한탄하다
44. 편령노대(偏怜老大) 늙어갈수록 지혜롭다. 백파(白坡)
45. 자견(自遣) 스스로를 위로함
46. 시주탁방음(詩酒托芳吟) 시주가 또 다른 시를 읊게 하네. 백파(白坡)
47. 해조(觧嘲) 비웃음을 벗어나는 길
48. 무시자족(無時自足) 스스로 만족할 때는 없네. 백파(白坡)
49. 수계(垂戒) 삶의 깨우침. 백파(白坡)
50. 자소(自笑) 쓴웃음. 운시(韻詩 : 夢中空)
51. 수언방사(誰言方士) 누가 신선이라 말하나. 운시(韻詩 : 夢中空). 백파(白坡)
52. 감야몽(感夜夢) 밤에 꾼 꿈에 감사하다
53. 침상구념(枕上口拈) 베개 맡 생각
54. 삼산관(三山舘)
55. 송백파부경제(送白坡赴京第) 경성으로 떠나는 백파를 송별하며
56. 각화삼산(却話三山) 삼산관을 떠나며. 백파(白坡)
57. 송백파유감(送白坡有感)
□ 8월 파주농장에 다녀오다(徃坡州農庄)
58. 증백파(贈白坡)
제3장. 함경도 경성판관(鏡城判官) 부임기(赴任記)
□ 부임여정(赴任旅程)
◾ 함경도 경성(鏡城) 부임여정(표)
59. 진관(津寬)
60. 녹양역(綠楊驛)
61. 증별(贈別)
62. 가도야노(街道野老) 길가의 촌노
63. 포천도중(抱川道中) 포천 가는 길
64. 숙양문역(宿梁文驛)
65. 풍전역(豐田驛)
66. 야과 김화역 전계(夜過金化驛前溪) 2수 밤에 김화역 앞개울을 건너다
67. 금성 피금정(金城披衿亭)
68. 과금강산(過金剛山) 2수 금강산을 지나며
69. 증 병인 김명철(贈倂人金明哲) 동행(同行) 김명철에게 보냄
70. 견판(見坂) 비탈길을 만나다
71. 견판구마졸(見坂驅馬卒) 급경사 길에 몰던 말이 죽다
72. 김화역(金化驛)
73. 구일철령(九日鉄嶺) 구월 구일 철령에서
74. 덕원 원산(德原元山)
75. 삼성비 서후(三聖碑序後)
76. 춘성관 전로(春城舘前路) 춘성관 앞길
77. 석미옥(石尾屋) 돌로 지은 집
78. 문천관렵연어(文川觀獵鰱魚) 문천에서 연어잡이를 구경하다
79. 숙영흥부(宿永興府) 영흥부 숙박
80. 우야숙정평부(雨夜宿定平府) 비오는 밤 정평부에서 숙박
81. 함흥 풍패관(咸興豊沛舘)
82. 낙민루(樂民樓)
83. 만세교(萬歲橋)
84. 함관령(咸關嶺) 3수
85. 발홍원(發洪原) 2수 홍원을 출발하며
86. 절고암(節古岩)
87. 북청 남병영(北靑南兵營)
88. 개쇄로(介碎路) 2수
89. 시중대(侍中臺) 2수
90. 이원 남송정(利原南松亭)
91. 마운령(摩雲嶺) 2수
92. 단천도중(端川道中) 단천 가는 길
93. 마곡역경판우생조자념일절(麻谷驛鏡判遇生朝自拈一絶)
마곡역에서 경판이 아침에 우연히 생일을 맞아 한 귀절 읊다
94. 차경판인(次鏡判人) 차기 경성판관
95. 마천령(摩天嶺) 2수
96. 성진(城津)
97. 야숙길주증계성월(夜宿吉州贈桂城月) 길주 관아 ‘계성월’에 보냄
98. 명천제 증초대선엄암화춘군산옥(明川題 贈楚坮仙掩花春君山玉)
명천 초대에 숨겨진 선녀, 봄 꽃 같은 ‘군산옥’에 보냄
99. 귀문관(鬼門關)
100. 도경성(到鏡城) 경성에 도착하다
101. 경판운(鏡判韻) 경성판관의 시운
제4장. 경성(鏡城)에서 시주(詩酒)를 벗 삼아
□ 백산(白山)의 경성판관
◾ 금서공의 경성판관 재임기간(표)
102. 치성관원운(雉城舘原韻) 경성 치성관
103. 취(醉) 술 취하다
104. 야(夜) 2수
105. 등루창음(登樓倡吟) 누대에 올라 시를 읊다
106. 출렵(出獵) 사냥에 나가다
107. 과안과석왕사(過安过釋王寺) 편안하게 석왕사를 지나며
108. 경성남두유오심암(鏡城南杜) 경성 남쪽 두문동의 바윗돌
109. 용담폭(龍潭暴)
110. 구일성남병우(九日城南病㝢) 성 남쪽에서 병을 다스리다
111. 추회감음(追懷感吟) 2수 회포를 읊다
112. 설도헌낙성운(雪濤軒落成韻) 2수 설도헌 낙성
113. 화증 종성 신방진사 한민조(和贈鐘城新榜進士韓敏祖) 새로이 진사에 입격한 종성(鐘城)사는 한민조에게 화답
114. 백일루관기창(百一樓觀騎鎗) 백일루에서 기마창술을 관람하다. 병사(兵使) 이민덕(李敏德)
◾ 북병영(北兵營)과 육진(六鎭)
115. 월야감(月夜感) 달빛을 바라보며
116. 귀로과귀문관(歸路過鬼門關) 돌아오는 길에 귀문관을 지나다
117. 자서(自敍) 독백
118. 송 포천 이우용화 자백춘(送抱川李友容和字伯春) 포천 친구 자 백춘 이용화의 송별에 화답하며
119. 한식(寒食)
120. 자화(煑花) 기녀를 불러 놀다
121. 난일방영객(暖日方迎客) 따뜻한 날 손님을 맞이하고. 강정호(姜正鎬)
122. 홍석조·강정호·박기수와 밤 이야기(與洪雅錫祖姜雅正鎬朴雅虁瑞夜話)
123. 방명천상우김아기락(訪明川上雩金雅基洛) 명천 상우에 사는 김기락을 방문하다
124. 인시태유의자념(因時態有意自拈) 세태에는 매양 그 뜻이 있네
125. 증산인서회(贈山人徐懷) 산 사람 서회에게 보냄
126. 탄세(歎世) 세상을 탄식하다
127. 지일야감제(至日夜感題) 동짓날 밤
128. 증채곡김아이호(贈蔡谷金雅履浩) 채곡 김이호에 보냄
129. 궁녀시(宮女詩)
130. 고황시(顧况詩)
131. 궁녀시 2(宮女詩 二)
□ 풍물용품시(風物用品詩)
132. 등화(燈火) 등잔불
133. 대로(大爐) 큰 화로
134. 요강(溺江)
135. 연죽(烟竹) 담배 대
136. 연석(硯石) 벼루
137. 진묵(眞墨) 참먹
138. 필(筆) 붓
139. 지(紙) 종이
□ 고향 족인(族人)·사우(士友)의 방문
140. 대춘(待春) 봄을 기다림
141. 숙도(宿島)
ㅇ 동호인(同好人) : 사우(士友) 이완영(李完英), 최석규(崔昔圭)
족하(族下) 신경휴(申景休), 족손(族孫) 신약우(申若雨)
ㅇ 경성(鏡城) 사우 : 남호 홍석조(南湖洪錫祖), 행설(杏雪) 강정호(姜正鎬)
142. 송우인왕성진(送友人徃城津) 벗을 배웅하러 성진에 가다
143. 참(雨상+韱하) 감사의 눈물
144. 증별 감호사우지부제구 이시불망(贈別鑑湖士友之附諸訽以示不忘)
이별에 부치는 고향 사우들의 모든 시를 잊지 않도록 첨부하여 거울로 삼도록 하다 : 추유구류주(秋悠鷗留周) 운시(韻詩)
145. 운시(韻詩) 남호 홍석조(南湖洪錫祖)
146. 운시(韻詩) 족하 경휴(族下景休)
147. 운시(韻詩) 이완영(李完英)
148. 운시(韻詩) 족손 약우(族孫 申若雨)
149. 운시(韻詩) 최석규(崔昔圭)
150. 운시(韻詩) 행설 강정호(杏雪 姜正鎬)
□ 북관교유(北關交遊)
151. 영강원증별취련(永康院贈別翠蓮) 영강원의 취련에게 보냄
152. 함산귀로기연아(咸山歸路寄蓮娥) 함산(함흥)귀로에서 ‘연아’에게 보냄
153. 과객안(過客顔) 지나는 나그네 얼굴
154. 함전유(咸前遊) 전에 놀던 생각
155. 발회령행(發會寧行) 회령 가는 길을 나서다
156. 설중(雪中) 눈이 내리네
157. 부령노중(富寧路中) 부령가는 길
158. 노차증김아기락(路次贈金雅基洛) 길 가던 중 김기락에게 보냄
159. 관발해(觀渤海) 푸른 동해를 바라보며
160. 행영성남(行營城南) 병영의 성 남쪽을 가다
161. 효정종맥일읍고(孝㝎終麥日泣稿) 헌종장례 3년차 제삿날에 눈물짓다
162. 회친(懷親) 부모님을 회상하다
163. 피상영교(柀上咏蟜) 비자나무 위 모기소리
164. 우음(偶吟) 갑자기 한 수 읊다
165. 화정아사일선운(和鄭雅士一善韻) 선비 정일선의 화답
◾ 북관개시(北關開市)
166. 증일선(贈一善) 정일선에 보냄
167. 시경(時景) 계절 풍경
168. 남참판운(南參判韻)
169. 만음(漫唫) 세모의 시객(詩客)
170. 득연자(得年字) 나이만 늘어가네
□ 난석 정수현 인차외만호(仁遮外萬戶) 송별
◾ 금서공과 난석공 교유(표)
171. 강위(康緯) 건강하게나! 난석(蘭石)에게 보내는 시
172. 송정난석부경(送鄭蘭石赴京) 난석을 송별하고 한양에 돌아와
173. 야회난석(夜懷蘭石) 밤에 난석을 생각하며
□ 북관별곡(北關別曲)
174. 기야구념(起夜口拈) 밤에 일어나 한 수
175. 우념득산자(偶拈得山字) 산에서 얻는 것
176. 소(笑) 웃음
177. 세막(歲莫) 해가 저물다
178. 화인추사운(和人秋思韻) 사람들에 가을 생각을 보내다
179. 유거차운(幽居次韻) 시골생활
180. 향사(鄕思) 고향생각
181. 문경신(聞京信) 한성 소식을 묻다
182. 설월(雪月)
183. 매화(梅花)
184. 적설(積雪) 눈이 쌓이다
185. 흥경지응제(興慶池應制) 흥경지에서 천자께 화답하다
186. 즉사(卽事) 현장에서 겪는 일
187. 노송(老松)
188. 문명각폐성(聞鳴角閉城) 성 닫는 고각 소리를 듣고
189. 증이아광호(贈李雅狂湖) 이 아사 광호에 보냄
190. 봉정송우초은(奉呈宋友樵隱) 벗 송 초은에게 봉정함
191. 방이우연당(訪李友蓮塘) 벗 이 연당을 방문함
제5장. 귀경별곡(歸京別曲)
192. 용간지체 제입춘시즉(用干支軆 題立春時則) 입춘의 이치
□ 임성연당이아자호운(任城蓮塘李雅自號云) : 죽호기(竹湖記)
193. 자탄사(自歎詞)
194. 관삼국지유감(自歎詞) 삼국지을 읽은 소회
195. 귀서전(歸栖前) 집에 돌아오기 전
196. 제석(除夕) 섣달그믐 밤
197. 수선화(水仙花)
198. 양용부족비(襄慵不足悲) 등용이 늦으니 슬픔으로도 부족하네. 반호(磻湖)
199. 번화우일시(繁華又一時) 번화함도 한때인가. 이엄(李嚴)
200. 원야억전유(元夜憶前遊) 전에 놀던 밤을 회상하며
201. 기망(旣望) 음력 열엿새 날
202. 화로(火爐)
203. 화증반조(和贈返照) 석양에 화답하다
204. 춘효문세우(春曉聞細雨) 새벽 봄 가랑비 소리 들으며
205. 화별장운(和別章韻) 난석 이별에 부쳐
206. 효열운(孝烈韻)
207. 계행(溪行) 시내에 가다
208. 반개화(半開花)
209. 자탄(自歎)
□ 인오상지론(人吾相知論)
Ⅱ. 「금서축(錦西𨋀)」 원본사진
Ⅲ. 부록
1. 금서 신응모공 가계도(家系圖)
2. 주요인물 이력
ㅇ 신혜모(申惠模), 신응모(申應模), 신직모(申直模), 신만구(申萬求)
신면구(申冕求), 신헌구(申獻求), 이민덕(李敏德), 정수현(鄭秀鉉)
3. 경성 북병영(鏡城 北兵營)과 도호부(都護府) 현황
4. 금서(錦西) 공과 난석(蘭石)의 교유
5. 조선의 선비를 사로잡은 명천(明川)의 명기(名妓) ‘군산옥(君山玉)’
--------------------------------------------------------------------------
1. 금서 신응모공 가계도(家系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