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계율교실] ③ 수계식 의미-계체의 획득 악행 짓지 않겠다는 계체를 얻는 것 며칠 전에 반가운 메일 한통을 받았다. 2년 전 쯤, 필자의 강의를 들었던 학생이 보내 온 새해인사 메일이었다. 속 썩이는 자식이 효도한다 했던가, 그 당시는 통제가 안 될 만큼 산만한 청강 태도로 필자의 마음을 그리도 상하게 하더니, 언제부터인가 가끔 소식을 전하며 안부를 묻곤 한다. 이번에는 얼마 전에 받은 수계식에 관한 이야기였다. 그 동안 사이비 불교신자로 살다가, 최근 어머니가 다니시는 절 주지스님의 권유로 계를 받게 되었다는 내용이었다.
그런데 괜히 계를 받은 것은 아닐까 요즘 들어 후회막급이라고 했다. 이유인즉, 계를 받고 나니 그 전에는 아무렇지 않게 하던 행동 하나하나가 모두 신경 쓰이고 자유롭지 못하다는 것이었다. 친구들과 술 한잔 할 때도 왠지 찜찜하고, 친구에게 장난삼아 하던 거짓말도 마음에 걸리고, 방에 들어온 바퀴벌레 한 마리 때려잡으면서도 마음이 불편하다고 했다. 게다가, 계를 받은 이상 흉내라도 내고 싶은데, 마음만 거북할 뿐 하는 행동은 이전과 크게 다르지 않은 의지박약한 자신의 모습이 더욱 더 마음을 무겁게 한다고 했다. 그는 수계식의 효과를 제대로 경험하고 있는 것이다.
수계희망자는 수계식을 통해 불교도로서의 이름, 즉 법명(法名)을 얻게 된다. 그리고 불교도가 실천해야 할 행동 윤리를 내용으로 하는 계라는 것을 받게 되는데, 바로 계를 받는 이 행위가 말 그대로 수계식의 핵심 부분이다. 그렇다면 수계식을 통해 계를 받는다는 것에는 어떤 의미가 있는 것일까?
위에서 소개한 필자의 제자가 계를 받은 후 느꼈던 ‘악행에 대한 거리낌’이 바로 그 좋은 예이다. 수계식에서 수계희망자는 ‘∼하는 행동으로부터 떠나겠습니다’라고 맹세하며, 이후 불교도로서 부끄럽지 않은 올바른 심신을 유지해 나갈 것을 자발적으로 약속하게 되는데, 이 약속은 수계식이 끝난 후에도 ‘보이지 않는 힘’이 되어 수계자에게 남게 된다.
그리고 이후 그가 더 이상 악행을 일삼지 못하도록 방해하는 근본적인 힘이 되어 준다. 수계식이라는 공식적인 의식을 통해 불법승 삼보를 마주하고 한 자신과의 약속이라는 점이 아마도 수계 후까지 그 사람의 마음에 남아 영향을 주게 되는, 일종의 심리적 현상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만약 수계식을 받았는데도 악행에 대한 꺼림을 전혀 느끼지 못한다면, 그는 자신의 수계가 그 순간만이라도 진지한 결의에 근거하여 이루어졌는지 다시 한 번 되돌아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불자로서의 올바른 행동을 통해 불교의 궁극적인 목표에 한발 한발 다가가고자 하는 절실한 의지에 근거한 수계식이 아니라면, 진정한 계체의 획득은 기대하기 힘들다.
日 도쿄대 연구원 [출처 : 법보신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