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테비훈 (Stabyhoun)
► 이 명 : 베이크(Beike), 스테비(Stabij), 프리제 스테비(Friese Stabij), 프리지안 포인터(Frisian Pointer), 프리지안 포인팅 도그(Frisian Pointing Dog), 스테비 (Staby)
► 외 관 : 스테비훈의 크기는 체고가 수컷 50~55㎝, 암컷 47~53㎝이고, 체중은 수컷이 23~25kg, 암컷 19~21kg의 스포팅(Sporting,Gundog) 그룹으로 분류되는 중형의 조렵견이다. 수컷이 암컷보다 조금 크다. 이 개는 두개부(머리)와 주둥이의 길이가 같다. 주둥이는 끝이 뾰족하지 않으며, 코부분에서 좁아진다. 귀는 타월 모양으로 비교적 낮은 위치에 있고, 꼬리는 장모로 잘 덮여 무릎 관절까지 내려온다. 길고 부드러운 겉털 속에는 겨울철을 위한 빽빽한 속털이 있으며, 모색으로는 오렌지(Orange), 브라운(Brown), 블랙(Black) 등이 있다.
► 설 명 : 스테비훈은 주인에게 충실하고 순종적이며, 가족에게 매우 상냥하고 특히 아이들과 놀기를 좋아해서 항상 호감을 갖게 한다. 아이들의 짓궂은 장난에도 너그럽고, 침착하면서 참을성 있으며 믿을만한 이 품종은 네덜란드에서는 새 사냥개보다는 반려견으로 많이 키운다. 또한 스포츠 도그로도 유명해서 공놀이나 프리스비를 할 때, 주인이 던진 놀이도구를 잘 잡아올 뿐만 아니라 어질리티도 기꺼이 하면서 즐거워한다. 학습능력이 뛰어나 훈련을 잘 익히고, 운동량이 매우 많아서 도시에서 키우기에는 어려운 견종이다. 평균 수명은 12~14년 정도이다. 한배에 낳는 새끼 수는 4~8마리 정도이다
스테비훈 크고 작은 쥐들을 잡아 정원을 보호하던 견종으로, 초기에 널리 사육되던 비교적 큰 스테비훈은 우유 수레를 끌기도 했고, 반면 그보다 작은 스테비훈은 전문적인 두더지 사냥꾼으로 이름을 날렸다. 이러한 능력 덕분에 스테비훈은 가난한 농부들과 농가를 돕는 견종으로 매우 인기가 있었다. 사람들은 장거리 여행을 할 때 스테비훈을 자전거 바구니에 싣고 다니기도 했다. 스테비훈은 원래 오리나 비둘기를 사냥했지만, 쥐나 족제비를 사냥하는 실력도 뛰어나서 사냥꾼에게 인정을 받았다. 또한 뛰어난 두더지 사냥꾼으로, 그리고 집 지키는 개로도 능력을 발휘하여 농가에서 귀중한 존재였을 것으로 여겨진다.
► 주 의 : 특별히 알려진 유전적 질환은 없으며, 질병에 대한 내성도 비교적 강한 편이다. 다만, 피부병에 유의하여야 한다. 특히 외부 기생충 관리를 철저하게 해 주어야 하며, 아토피성 피부질환에도 노출이 잘 되는 편이다. 척추 디스크나 다리 골절 등에도 주의할 필요가 있다.
매우 독립적이고 단독으로 행동하는 것을 좋아하며, 정이 많지만 고집이 센 성격 때문에 인내를 가지고 지속적으로 훈련시키는 것이 꼭 필요하다. 가능하면 어릴 때부터 체계적인 프로그램 속에서 차근차근 기본적인 훈련부터 시켜야 한다. 익숙하지 않는 상황 속에서는 서먹한 모습을 보이기는 하지만 금방 익숙해지며, 또 불안해하지도 않을 만큼 담이 큰 견종이다. 영리해서 훈련을 아주 잘 습득한다.
식탐이 비교적 많은 편이어서 적절한 식사량을 설정하여 급여를 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비만견으로 나아가는 사례가 빈번하다. 운동량이 많아서 매일 충분한 운동과 산책을 시켜 주어야 한다. 운동량이 부족하면 심한 스트레스를 받아서 난폭 해 질 수도 있다. 특히 공놀이와 달리는 것을 아주 좋아한다.
털 빠짐은 보통 정도여서 털갈이 시기를 제외하고는 수시로 빗질만 해 주어도 털은 충분히 관리할 수 있다. 잦은 목욕은 오히려 해로우므로 피모가 아주 더러워 졌을 경우에만 목욕을 시키는 것이 좋다.
물놀이를 하는 것도 아주 좋아해서 물에서 하루 종일 놀 수가 있다. 환경적 적응력이 뛰어나서 악조건의 기후에서도 잘 견딘다. 그러나 추위에는 강하지만 더위에는 비교적 약한 편이다.
► 기 원 : 스테비훈(Stabyhoun)의 원산국은 네덜란드이다. 1800년대에 남겨진 기록에 의하면, 1500년대에 스페인이 네덜란드를 점령하는 동안 유입된 스패니얼로부터 비롯된다. 네덜란드 북부의 에이설호(湖)에 면한 프리슬란트(Friesland) 주에서 수 세기 동안 사육된 스테비훈은 더치 파트리지 도그(Dutch Partridge Dog)와 스몰 문스터랜더(Small Munsterlander)의 선조 모두와 가까운 혈통이다. 그러나 1800년대에 포인터와 세터가 이 지역에 들어오면서 이 스테비훈의 인기가 시들해졌다.
오늘날에는 그들의 출생지인 네덜란드 외에서는 보기 드문 견종으로 네덜란드에서 조차도 매년 200마리 가량의 새끼들만이 태어나 매우 희귀한 종으로 분류되어 있다. 이것은 이들이 다방면에서 이상적인 가정 애완견이라는 점을 볼 때 매우 유감스러운 일이다. 훌륭한 사냥견이자 포인터이며, 사냥감을 잘 물어오는 리트리버이지만, 도시의 생활에도 잘 적응해 공원이나 정원에서 테니스공을 잘 물어오기도 한다.
► 비 고 : 스테비훈은 FCI(세계 애견연맹) 분류 그룹 7 포인팅 독 그리고 섹션 1.2 콘티넨털 포인팅 독, 스패니얼 타입 스탠다드 No. 222로 등록이 되었다. 이 외에도 AKC를 비롯하여 세계 유수의 켄넬 클럽 및 각종 애견 단체에 대부분 등록이 되어 있다.
스테비훈은 현재 네덜란드 국내에서도 그 수가 별로 많지 않을 정도로 전 세계적으로도 희귀 견종이다. 최근 자료에는 전 세계적으로 2013년도 기준 총 개체 수는 6000마리 이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참 고 : 스테비훈의 원산지는 네덜란드이다. 스테비훈이라는 견종명의 유래는 다양한 용도 때문에 붙여진 이름으로 추측된다. 즉 스타베이는 스타 미 비(sta mij bij) 혹은 나의 곁에 서라(Stand by me)라는 단어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한편 영어 이름인 스테비훈(Stabijhoun)에서 훈(Houn)은 프리지아어 가운데 개를 뜻하는 단어가 훈이라고 발음되는 것에서 차음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한국 애견연맹의 견종 등록 편에서의 유래는 다음과 같다. 스타베이는 원래 프리지아의 산림지대에서 유래된 개로 20세기 초 베테르하운과 자주 서로 짝짓기를 했다. 이렇게 되면서 이 개들은 독특한 각 견종들의 특질을 잃어버리고 모두 멸종의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 그러다가 1938년 프리슬란트 주의 열정적인 애견 클럽 동호인들이 두 견종의 순수 혈통을 다시금 살리기 위해 노력했고, 1942년 두 견종은 각각 공식적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사람은 보스(J. Bos), 판 데이크(T. van Dijk), 더흐라프(B. de Graaf), 혹세마(W. Hoeksema) 등이다. 첫 번째 표준은 1944년 2월 10일에 작성되었고, 1947년 스타베이 및 베테르하운 네덜란드 협회(NVSW)가 창설되었다. 스타베이 및 베테르하운 네덜란드 협회는 1947년 이래로 프리지아 견종에 대한 권익을 대변하고 있다.
□ 공식 견종 표준
► 외형 : 스테비훈의 크기는 체고 47~55㎝, 체중 19~25kg 정도되는 중형견으로 수컷이 암컷보다는 조금 더 큰 편이다. 체고는 이상적인 크기로부터 2㎝ 전후의 편차는 허용된다. 일반적인 조렵견을 의미하는 스포팅 그룹에 속하며, 포인팅과 리트리버가 동시에 가능한 견종이다. 외모는 기능에 충실하며, 힘이 넘치는 체구의 포인팅 도그 견종으로 몸통은 체고보다 약간 긴 편이다. 전체적인 외형은 육중하지도 가벼워 보이지도 않으며, 피부는 몸통에 팽팽하게 붙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가슴, 목 부위, 앞다리, 하체, 꼬리 등에는 피더링(feathering, 깃털처럼 긴 장식 털)이 되어 있다. 이러한 풍성한 장식 털 때문에 털이 매우 길어 보이는 인상을 주지만 실제로는 털이 그렇게 지나치게 길지는 않다. 암수의 차이가 명확한 견종이다.
신체 비율은 체장이 체고보다 약간 긴 편이고, 기능적으로 우수한 체구의 조화와 균형은 견종의 크기와 관계가 있다는 점이 중요하다. 앞다리 무릎은 대략 지면과 기갑 사이 중간 높이 정도에 있다.
► 머리 : 머리의 크기는 몸과 조화를 이루며 암수의 성별 차이가 분명히 드러난다. 그리고 넓지 않고 긴 편으로, 주둥이의 길이는 코에서 스톱까지 측정했을 때 대략 스톱에서 후두부까지의 길이와 동일하며, 머리가 주는 인상은 부드럽고 친근하며 조심스럽게 느껴진다. 입술(머즐)이 늘어져 있지 않으며, 목 밑에 처진 피부도 없다. 두개골은 가볍게 둥그스름하며, 옆에서 보아도 폭이 좁아 보이지 않고 살짝 동그스름하게 보인다. 스톱은 이마를 향해서 서서히 비스듬해져 있으며, 옆에서 보았을 때 스톱은 두드러진 이마 때문에 보다 더 분명히 드러나 있다.
• 코 : 코는 흰색과 검은색 털이 있는 개체는 검은색 코이고, 갈색과 흰색 털이 있는 개체는 갈색 코를가지고 있고, 잘 발달되어 있으며 콧구멍은 큼지막하게 벌어져 있다.
• 입 : 주둥이는 강해 보이며, 코 끝으로 갈수록 점차 가늘어지지만 뾰족하지는 않다. 즉, 옆이나 위에서 보았을 때 쐐기 모양을 하고 있으며, 콧마루가 곧고 넓으며, 옆에서 보았을 때 오목하거나 볼록하지 않다. 입술(머즐)은 주둥이에 착 달라붙어 있기 때문에 늘어져 있지도 않고 주름도 없다. 턱은 힘이 넘치고 완전하며, 이빨의 교합상태는 협상교합(Scissors bite)으로 위턱의 앞니가 아래턱의 앞니보다 조금 앞에서 맞물리는 상태이다. 제 1전 구치와 제 3후구치가 없거나 이중의 제 1전구치가 없는 것 또한 허용된다. 볼은 별로 두드러지지 않았다.
• 눈 : 양 눈은 수평으로 위치해 있으며, 중간 정도의 크기이고 가볍게 둥근 모양을 하고 있으면서 결막 없이 잘 어울리는 눈썹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검은색과 흰색의 개체는 홍채의 색깔이 어두운 갈색이며, 갈색과 흰색의 개체는 밝은 갈색을 띠고 있다.
• 귀 : 귀는 코끝에서 눈의 안쪽 측면을 통해 그어진 가상의 선 위에 있고, 귓바퀴는 잘 발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귀는 매끈하게 머리와 마주하고 있다. 무엇인가에 주의를 기울일 때에는 귀가 서는데 두개골의 바깥 선을 넘지는 않는다. 귀는 적당히 길고 입가까지 닿으며, 동그란 모양이라기보다는 끝이 둥근 모종삽 모양이다. 귀에 난 털은 전형적인 장식 털이다. 귀의 시작부위의 털은 매우 길며, 이 길이가 점차 줄어들다가 귀의 1/3정도 아래 지점부터는 짧은 털이 나 있다. 털은 곧아야 하지만 약간 물결 모양으로 구불구불한 것도 허용이 된다. 귀에 있는 털은 귀의 길이를 넘어설 정도로 길어서는 안 된다. 이는 지나치게 긴 털이 나 있으면 단정치 못한 인상을 주기 때문이다.
► 목 : 목은 강하고 둥글며, 중간 정도의 길이로 지나치게 길지는 않다. 목은 등의 상부선과 둔각을 이루며, 매끈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머리를 낮게 들고 다니게 된다. 목 줄기는 늘어지지 않았으며, 목 밑에 처진 피부(dewlap)도 없다.
► 몸통 : 몸통의 전체적인 모습은 힘이 넘치면서 매끈하고, 근육이 잘 발달되어 있다. 등선은 매끈하면서 힘이 있어 보인다. 기갑은 등과 충분한 정도로 멀리 있고, 힘이 세지만 두드러져 있지 않으며, 등은 강하면서도 곧은 편이다. 허리는 강하고 근육질이며, 엉덩이는 약간 비스듬하게 보인다. 가슴은 깊고, 앞다리 무릎까지 다다르며, 앞에서 보면 넓은 편이라서 두 앞다리의 간격이 넓다. 갈비뼈는 알맞게 휘어져 있지만 종형흉곽은 아니며, 갈비뼈는 깊고 길어서 흉곽이 상당히 넓게 뒤로 퍼져 있다. 앞다리 무릎은 가슴까지 바짝 닿아 있어야 한다. 몸통하부윤곽과 복부는 매끈하고, 충분히 넓게 뒷부분으로 이어지며, 복부는 아주 살짝 턱 업(tuck up, 몸통의 높이가 허리에서 매우 낮고 복부가 감싸 올라간 상태)되어 있다.
► 꼬리 : 꼬리는 비절까지 닿으며, 높게 달려 있지는 않다. 움직이지 않을 때나 서 있을 때 꼬리 아래의 1/3정도는 약간 위로 들고 있다. 반면에 움직일 때는 꼬리를 보다 높게 유지하지만 결코 등 위로 넘어가거나 혹은 말려 있지는 않다. 꼬리는 둥글고 꼬리 끝까지 긴 털이 빽빽하게 덮여 있으며, 털은 곱슬곱슬한 컬이 있거나 물결 모양으로 구불구불하지 않으며 피더링(Feathering, 깃털 모양의 장식 털)도 없다. 대신 꼬리에는 길고 두꺼운 털이 무성하게 있어서 꼬리가 매우 살찌게 보이며, 풍성하다는 인상을 준다.
► 사지 : 앞다리의 전체적인 모습은 힘이 넘치고 근육질이며, 기능적으로 알맞은 각을 형성하고 있다. 두 앞다리는 정확히 몸통 아래에 있어서 앞에서 보면 두 앞다리 사이는 아주 약간 벌어져 보이기도 한다. 어깨뼈는 가슴과 몸에 밀착되어 있으며, 뒤쪽으로 잘 기울어져 있다. 상완은 기능적으로 각이 알맞은 편이다. 상완의 길이는 어깨뼈의 길이와 같거나 혹은 약간 짧은 편이다. 앞다리 무릎은 힘이 있고 곧으며, 두 앞다리의 무릎은 평행하다. 전완은 힘이 넘치고 곧으며, 평행하게 보인다. 발목은 약간 비스듬하고, 앞발의 발은 약간 타원형 모양으로 강하면서 다부지게 보인다. 발가락은 알맞게 아치형으로 굽어 있고, 서로 밀착되어 있으며, 앞을 향하고 있다.
뒷다리의 전체적인 모습은 강하고, 기능적으로 과하지 않을 정도의 알맞은 각을 형성하고 있다. 뒤에서 보았을 때 두 뒷다리는 넓으며, 비절은 평행한 편이다. 허벅지는 너비도 길이도 알맞고, 근육이 잘 발달되어 있다. 엉덩이와 무릎 사이에는 기능적으로 알맞은 각이 형성되어 있다. 무릎은 기능적으로 알맞은 각을 형성하고 있고, 허벅지 하부는 알맞은 길이이다. 뒷무릎 관절은 곧고 평행하며, 두 뒷무릎 관절의 간격은 알맞은 편이며, 관절이 안쪽으로나 바깥쪽으로 치우치지 않았다. 뒷발목은 일반적인 길이이고, 뒷발은 약간 타원형 모양으로 강하게 보이고 다부진 편이다. 발가락은 알맞게 아치형으로 굽어 있고, 서로 밀착되어 있으며, 앞을 향하고 있다.
► 털과 색 : 피부는 단단하고 알맞게 밀착되어 있으며, 주름이나 접힌 피부는 없다.
털은 중간 정도의 길이이고, 온 몸에는 방수용 하모가 있다. 물결처럼 가볍게 구불거리는 털은 엉덩이 부위에서만 허용된다. 가슴, 엉덩이, 하체, 꼬리 등에는 무성한 털이 나 있어서 털이 매우 긴 인상을 준다. 머리와 앞다리의 앞면 그리고 비절의 앞부분에 난 털은 짧은 편이다. 앞다리 뒷면의 털은 길면서 잘 발달되어 있고, 하체와 꼬리에는 장식 털이 없으며 무성한 털로 덮여 있어서 털이 풍성하게 보인다. 곱슬곱슬한 털은 허용되지 않으며, 곧게 뻗은 직모만 허용이 된다.
모색은 검은색 혹은 갈색 바탕에 흰색 마킹이 있는 얼룩무늬이지만 검은색 혹은 갈색 혼색도 허용된다. 흰색은 틱킹(ticking, 털 끝 부분에 다른 색이 나타나는 경우)이거나 혼색(roans)이어도 되며, 머리는 검은색 혹은 갈색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블래이즈(blaze, 양 눈 사이에서 콧마루까지 중앙을 가르는 흰색 줄무늬 얼룩)는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 새들(Saddle, 등에 있는 넓은 안장 같은 반점)은 허용되며, 탄(tan) 마킹이나 트라이 컬러 (tricolor)는 실격이 된다.
► 걸음걸이 : 걸음걸이는 힘찬 추진력으로 지면을 상당히 많이 커버 하면서 내딛고, 이러한 모습이 힘이 넘치며 조화롭게 보인다. 앞에서 보았을 때 약간 넓게 움직이며, 움직이는 동안 머리는 낮게 두고 살짝 곡선으로 구부린 꼬리는 등선 위에 올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