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요 ㅇ 일본의 국제사회경제연구소에서는 BRT (Bus Rapid Transit) 분야의 성장성에 주목해, 지금까지 선진시장인 중남미의 브라질, 칠레, 멕시코에서 BRT의 현황과 향후 동향에 대해 조사를 실시해 왔는데, 본 보고서에서는 콜롬비아와 페루에서의 현지조사 결과를 보고함. □ 시장의 확대 ㅇ 2000년 이후 중남미 각국에서 BRT의 본격적인 도입이 시작되었음. 브라질에서는 금년 리우올림픽에서의 주요 이동수단으로 급속도로 건설이 진행되고 있음. ㅇ BRT는 원래 브라질의 쿠리치바시에서 시작되어 2000년 이후는 중남미의 타 지역으로 확대되었음. 현재는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등 아시아 지역에서도 도입되고 있고, 아프리카 지역에서도 교통정체에 대응한 유효한 수단으로 남아공을 시작으로 타국에서도 도입을 향한 검토가 개시되고 있음. ㅇ 세계자원연구소에 따르면, 2015년 8월 현재 세계 195도시에서 400개가 넘는 BRT노선이 운행되고 있음. BRT는 ICT 무장화되고 있으며 그 세계적인 보급에 따라 BRT의 ICT 관련 시장도 확대되고 있음. ㅇ BRT를 포함한 도시교통의 ICT 관련 시장규모는 130억 US달러로 추정되고 있음. ㅇ 타국보다 한 걸음 앞서 대규모 전개에 성공한 콜롬비아의 BRT 운영회사인 트렌스밀레니오(Transmilenio)는, 그 성공을 토대로 아시아, 인도, 아프리카 등의 신흥국·도상국과 컨설팅 계약을 체결하며 BRT 도입 지원을 실시하고 있음. 향후 BRT의 도입은 세계 각국으로 확대되어 갈 것으로 보임. □ TOD(Transit Oriented Development)의 개념과 BRT ㅇ UN에 의하면 세계 인구는 현재 73억 명에서 2100년에는 112억 명으로 대폭 확대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음. 아프리카·아시아를 중심으로 신흥국·도상국에서의 인구 증가가 뚜렷함. 또, 인구 증가 국가뿐 아니라 감소국에서도 인구의 도시 집중화 경향이 강해질 것으로 예측됨. ㅇ 급속한 도시화에 따라 여러 문제들이 발생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교통은 사람들의 일상생황에 빠트릴 수 없는 가장 우선 고려해야 할 중요한 사회 인프라임. 특히 최근, 신흥국에서 급격한 인구 증가에 따른 만성적인 정체와 환경 악화에 대처하기 위해 자동차에 의존하지 않는 공공교통기관 이용을 전제로 한 TOD(Transit Oriented Development)라는 도시개발기법이 주목되고 있음. ㅇ TOD 컨셉은, 도상국에서의 도시의 급속한 성장과 증가하는 도시교통시스템에 대한 투자를 배경으로 세계은행이 지원하는 공공교통지향형 개발의 개념임. ㅇ TOD의 개념에 기초하면, 지하철, LRT(Light Rail Transit), BRT, 자전거 등의 이동수단이 종합적으로 고려되는데, 특히 BRT가 앞으로의 과제해결을 위해 유효한 핵심적인 수단으로 주목되고 있음. 세계은행은 이 컨셉을 토대로 환경지향과 투자효과가 높은 BRT 도입을 자금면에서 지원하고 있음. □ 맺음말 ㅇ BRT분야는 자동화기술이나 연료전지의 실현 등을 통해 더욱 성장과 발전이 기대되며 이에 따라 ICT 관련영역의 수요 확대가 기대됨. ㅇ BRT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전용도로와 역사(驛舍)의 정비, 대형연결버스차량, 요금수수/운행관리의 ICT설비 등 막대한 자금 투입이 필요함.
자료 출처 : http://www.i-ise.com/jp/information/report/monthlyupdate/201512_yamada.htm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