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항현령(猫項懸鈴) 묘항현령(猫項懸鈴)- 고양이 목에 방울 달기, 실행하지 못할 공론 [고양이 묘(犭/9) 항목 항(頁/3) 달 현(心/16) 방울 령(金/5)] 고양이는 귀엽고 영리하게 생겼다. 伴侶(반려)동물 중에서도 개 다음으로 인기가 높아 전 세계에서 2억 마리가 사육된다고 한다. 고양이를 죽이거나 소중히 다루지 않으면 불행이 찾아온다는 민화는 각국에서 전해온다. 고양이가 사람에게 가장 도움을 주는 것은 주변에 쥐를 얼씬하지 못하게 하는 점이다. 다 함께 사람 주변에 살지만 음식을 훔치고 병균을 옮기는 쥐를 쥐죽은 듯 고요하게 하는 능력을 지녔다. 그래도 사람들은 그 덕을 잊고 살아 ‘고양이 덕과 며느리 덕은 알지 못한다’는 말이 남았다. 무서운 사람 앞에서 설설 기면서 꼼짝 못한다는 비유로 ‘쥐가 고양이를 만난 격’이란 속담을 쓴다. 쥐들은 사람들은 문제없이 눈을 피하며 먹을 것을 조달할 수 있는데 고양이는 발걸음 소리만 들어도 오그라든다. 쥐들은 어느 날 모두 모여 대책 회의를 했다. ‘곳집을 뚫고 쌀광 속에 들어가 살면 기름지게 살 수 있을 텐데 단지 고양이 때문에 두렵다 (穿庾捿廩 生活可潤 但所怕 獨猫而已/ 천유서름 생활가윤 단소파 독묘이이)’ 며 이래서야 되겠는가 하고 울분을 토했다. 捿는 棲(서)와 같이 깃들일 서, 庾(유)와 廩(름)은 모두 곳집, 물건을 보관하던 창고다. 怕는 두려워할 파. 한 마리 쥐가 나서 고양이 목에 방울을 달면 소리를 들을 수 있다고 말하자 모두 좋은 의견이라며 박수를 쳤다. 어른 쥐가 점잖게 말했다. ‘ 옳은 이야기이나 누가 우리를 위해 고양이 목에 방울을 달겠느냐 (是則是矣 然猫項 誰能爲我懸鈴耶/ 시즉시의 연묘항 수능위아현령야)?’ 모든 쥐들이 입을 다물고 말았다. 조선 중기 宋世琳(송세림)이 편찬한 한문 소화집 ‘禦眠楯(어면순)’에 실린 이야기다. ‘ 잠을 쫓는 방패’라는 뜻으로 육담도 많이 있어 古今笑叢(고금소총)을 이루는 책이기도 하다. ‘ 고양이 목에 방울 달기’란 속담을 번역하여 旬五志(순오지)와 松南雜識(송남잡지) 등에도 나온다. 猫頭懸鈴(묘두현령)이라고도 한다. 단체원들이 모여 어떤 현안에 대해 의견을 말하라 할 때 갑론을박 묘안을 펼친다. 그러나 막상 책임을 맡아 실행방안을 말해 보라 하면 대부분 꿀 먹은 벙어리가 된다. 이론적으로는 훤히 알아도 실천은 어렵다. 卓上空論(탁상공론)이 된다. 한 조직의 비리 사실을 밝히면 바르게 고쳐질 수 있는데도 따돌림과 돌아올 보복이 두려워 총대를 멜 사람이 좀처럼 나서지 않는다. 미투(MeToo) 운동이 불붙다 확산이 주춤 거리는 것도 방울을 달기가 어려울뿐더러 불이익을 감당키 어렵기 때문이다. 제공 : 안병화 (前언론인, 한국어문한자회) - 오늘의 고사성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