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장 ‘내달 착공’
분화구정원 등 거점정원 조성·편의시설 확충
202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행사장 실시계획 수립이 마무리됨에 따라 다음달 첫 삽을 뜰 전망이다.
(재)202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조직위는 2023정원박람회 핵심 권역에 대한 설계용역을 마무리하고, 오는 10월부터 구간별로 착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원박람회장은 도시 녹색생활 공간으로 조성해 박람회 이후 녹색인프라로 활용할 계획이며, 시민의 삶에 도움을 주는 지속가능한 박람회장으로 조성한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죽도봉과 장대공원, 동천, 국가정원·저류지, 문학관을 주 행사장으로 조성하고, 시민과 함께 도시 전체를 정원으로 만든다는 전략이다.
박람회장과 주변을 연결하는 정원축인 동천은 꿈의 다리에서 용당교 간 9km에 대해 자전거 길과 사람이 다니는 길을 분리하고 남는 공간에는 녹지를 조성한다.
동천과 옥천이 만나는 합류부를 정비하고 깨끗한 동천 물을 활용한 친수공간도 만들 예정이다.
또 어린이·청소년 놀이시설과 전국 최초로 시니어 건강정원을 설치해 전문강사와 연계한 각종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전 연령대를 아우르는 정원으로 연출한다.
동천은 박람회장 뿐 아니라 주변의 정원, 문화자원, 도심권과 연결한다는 구상으로 동천정원길로 명칭을 정했다. 동천정원길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E모빌리티 도입 등 친환경 교통체계도 도입한다는 계획이다.
거점정원으로 장대공원을 정원으로 연출하고 분화구정원 조성도 추진한다.
장대공원은 죽도봉 활성화계획과 유네스코생물권보전센터 등 주변 도시재생과 연계해 부분 정비한다. 분산된 수경시설과 놀이시설을 통폐합하고 안내와 판매시설을 갖춘 컨테이너 가든을 조성해 정원문화 확산 거점 공간으로 만들 계획이다.
분화구정원에는 남북의 대표적인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인 백두산과 한라산을 축소해 남북평화와 통일을 상징하는 의미를 담을 예정이다. 한반도의 양 끝에 자리한 백두산과 한라산의 상징적인 분화구를 정원의 형태로 조성할 방침이다.
마지막 거점정원은 순천만습지와 연계한 문학관정원이다. 문학관정원은 낭트정원과 빨랫배, 문학관 등 자원과 연계할 계획이다. 기존 습지와 갈대를 활용한 갈대테마정원과 순천만습지 연계를 위한 데크 보행로와 쉼터 등을 설치하며, 낭트정원과 연계한 낭트출신 쥘베른 문학전시 등도 구상하고 있다.
2023정원박람회 핵심 구간인 국가정원은 10년간 울창하게 자란 식물자원을 활용, 최소한의 리뉴얼을 실시하고 불편사항 개선과 핵심 콘텐츠를 보강한다. 핵심 콘텐츠로는 식물원(온실)과 미래정원, 상시야간경관을 선보일 예정이다.
아울러, 관람객 불편 해소를 위해 그늘막 보강과 주차장, 게이트 등 편의시설은 대폭 확충할 계획이다.
한편, 2023정원박람회는 도시 전체가 정원이 되고, 시민이 함께 만드는 박람회로 2023년 4월 22일부터 10월 22일까지 6개월간 순천만국가정원을 비롯한 도심 일원에서 열린다.
♨ 출처/순광 교차로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