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반1) 기본명반

예1)의 명반

먼저, 자미두수와 친숙해 질려면 위의 그림(이것을 “명반(命盤)” 또는 “명판(命板)”이라고 함)을 항상 머리속에 그리고 있어야 한다. 명반1)은 기본 명반이며, 12支의 순서 子, 丑, 寅.·······,으로 진행하는 방향은 정방향(시계방향)이고 지지의 배열순서와 宮은 어느 명이나 고정이다. 여기서 子가 위치한궁을 子궁, 丑이 위치한궁을 丑궁,······,이런 식으로 부르게 된다.
예1)의 명반은 완성된 명반이며, 앞으로 명반 작성에서 예를 들어 설명하게될 명인데 14 정성과 보좌살성 및 기타 잡성을 모두 배치한 선천의 명반이다.
기본명반 위의 각고유의 지지위에 천간을 올려야 되는데 천간의 시작궁은 인궁에서 시작하여 정방향으로 진행하며 월두법에 의해 올려진다.
甲 - 己 년생ㅡ 丙寅頭 乙 - 庚 년생ㅡ 戊寅頭 丙 - 辛 년생ㅡ 庚寅頭 丁 - 壬 년생ㅡ 壬寅頭 戊 - 癸 년생ㅡ 甲寅頭
예1)의 辛亥년 7월 1일 巳시생을 예로들면, 천간 丙과 辛년에 출생한 명은 인궁에 庚干이 붙게되므로 庚寅, 辛卯, 壬辰,·····,의 순으로 진행된다.
 명궁과 신궁은 자미두수에서 가장 중요한 기준점으로 그사람의 명격을 추단하고 전반적인 총운의 길흉을 살피는 곳이다. 세밀한 설명은 12궁해설 방에서 설명하겠다.
 가령, 태어난 시간이 卯시 이고 음력10월 생이면 命宮은 申궁이고, 身宮은 寅궁이다. 예1)의 예로든 명을 보면, 巳시에 생하고 7월이므로 命궁은 卯궁이고, 身궁은 丑궁이된다. 子시와 午시생은 命身궁이 같은 궁에 배치된다는 걸 알아두자.
 12궁은 자미두수에서 각 성계와 표리관계에 있는 중요한 부분이며, 추론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자미두수만의 특이한 부분중의 하나이다. 먼저, 명궁이 정해졌으면 그 다음 궁부터 시계반대방향으로 형제궁(兄弟宮), 부처궁(夫妻宮), 자녀궁(子女宮), 재백궁(財帛宮), 질액궁(疾厄宮), 천이궁(遷移宮), 노복궁(奴僕宮), 관록궁(官綠宮), 전택궁(田宅宮), 복덕궁(福德宮), 부모궁(父母宮)의 순서로 배치한다. 이 순서와 방향은 누구나 고정이므로 항상 암기해둘 필요가 있다. 오행국은 대운수의 기준이 되고 또한 나중에 14정성을 배치하는데 쓰이는 것이므로 자신의 납음수는 꼭 기억해야 한다.
|
 |
子 • 丑 |
寅 • 卯 |
辰 • 巳 |
午 • 未 |
申 • 酉 |
戌 • 亥 |
甲 • 己 |
水 2국 |
火 6국 |
木 3국 |
土 5국 |
金 4국 |
火 6국 |
乙 • 庚 |
火 6국 |
土 5국 |
金 4국 |
木 3국 |
水 2국 |
土 5국 |
丙 • 辛 |
土 5국 |
木 3국 |
水 2국 |
金 4국 |
火 6국 |
木 3국 |
丁 • 壬 |
木 3국 |
金 4국 |
火 6국 |
水 2국 |
土 5국 |
金 4국 |
戊 • 癸 |
金 4국 |
水 2국 |
土 5국 |
火 6국 |
木 3국 |
水 2국 |
| 예1)의 명을 기준으로 보면 명궁이 卯궁이고 辛亥생 이므로 오행국은 木3국이 된다.
 14정성을 차례대로 배치 할려면 먼저, 14정성의 우두머리 격인 자미성을 찾아야 된다. 그전에 14정성이 무엇인지를 살펴보면, 자미를 기준으로 하는 자미성계열(6개의 정성)과 천부를 기준으로 하는 천부성계열(8개의 정성)로 나눌 수 있다.
* 자미성계열 : 자미성(紫微星), 천기성(天機星), 태양성(太陽星), 무곡성(武曲星), 천동성 (天同星), 염정성(廉貞星) * 천부성계열 : 천부성(天府星), 태음성(太陰星), 탐랑성(貪狼星), 거문성(巨門星), 천상성(天相星), 천량성(天梁星), 칠살성(七殺星), 파군성(破軍星)
(자미찾는표)
|
 |
水2국 |
木3국 |
金4국 |
土2국 |
火6국 |
1 |
丑 |
辰 |
亥 |
午 |
酉 |
2 |
寅 |
丑 |
辰 |
亥 |
午 |
3 |
寅 |
寅 |
丑 |
辰 |
亥 |
4 |
卯 |
巳 |
寅 |
丑 |
辰 |
5 |
卯 |
寅 |
子 |
寅 |
丑 |
6 |
辰 |
卯 |
巳 |
未 |
寅 |
7 |
辰 |
午 |
寅 |
子 |
戌 |
8 |
巳 |
卯 |
卯 |
巳 |
未 |
9 |
巳 |
辰 |
丑 |
寅 |
子 |
10 |
午 |
未 |
午 |
卯 |
巳 |
11 |
午 |
辰 |
卯 |
申 |
寅 |
12 |
未 |
巳 |
辰 |
丑 |
卯 |
13 |
未 |
申 |
寅 |
午 |
亥 |
14 |
申 |
巳 |
未 |
卯 |
申 |
15 |
申 |
午 |
辰 |
辰 |
丑 |
16 |
酉 |
酉 |
巳 |
酉 |
午 |
17 |
酉 |
午 |
卯 |
寅 |
卯 |
18 |
戌 |
未 |
申 |
未 |
辰 |
19 |
戌 |
戌 |
巳 |
辰 |
子 |
20 |
亥 |
未 |
午 |
巳 |
酉 |
21 |
亥 |
申 |
辰 |
戌 |
寅 |
22 |
子 |
亥 |
酉 |
卯 |
未 |
23 |
子 |
申 |
午 |
申 |
辰 |
24 |
丑 |
酉 |
未 |
巳 |
巳 |
25 |
丑 |
子 |
巳 |
午 |
丑 |
26 |
寅 |
酉 |
戌 |
戌 |
戌 |
27 |
寅 |
戌 |
未 |
辰 |
卯 |
28 |
卯 |
丑 |
申 |
酉 |
申 |
29 |
卯 |
戌 |
午 |
午 |
巳 |
30 |
辰 |
亥 |
亥 |
未 |
午 |
| 예1)의 명례를 가지고 자미를 찾아보면, 생일은 1일이고 오행국은 木3국 이므로 자미성이 배치될 궁은 辰궁이다. 진궁에 먼저 자미를 배치하고, 앞서 말한 자미성 계열의 6개의 정성을 자미성을 기준으로 아래의 순서대로 역행(시계반대방향)으로 배치한다. (순서는 항상 고정이다.) (○표는 한궁을 건너뛴다.) 자미 천기 ○ 태양 무곡 천동 ○ ○ 염정
그런 다음, 천부성 계열의 별을 배치해야 하는데, 먼저, 다음의 표를 참고하기 바란다.

천부성 계열의 정성은 먼저 배치된 자미성을 기준으로 찾는데 자미가 子궁에 있으면 천부는 辰궁에서 시작하여 항상 정방향(시계방향)으로 순행한다. 천부성계열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순서는 항상 고정이다.)
천부 태음 탐랑 거문 천상 천량 칠살 ○ ○ ○ 파군 (여기서, 특이한점은 칠살다음에 세칸을 건너 뛰는데, 이점 유의해야 한다.)
현재까지 자미두수에서 기본 골격이 되는 14정성의 배치법을 알아 보았다.


|
 |
左輔 |
右弼 |
天刑 |
天姚 |
天馬 |
天巫 |
解神 |
天月 |
陰煞 |
1 |
辰 |
戌 |
酉 |
丑 |
申 |
申 |
巳 |
戌 |
寅 |
2 |
巳 |
酉 |
戌 |
寅 |
巳 |
申 |
申 |
巳 |
子 |
3 |
午 |
申 |
亥 |
卯 |
寅 |
戌 |
寅 |
辰 |
戌 |
4 |
未 |
未 |
子 |
申 |
亥 |
戌 |
亥 |
寅 |
申 |
5 |
申 |
午 |
丑 |
巳 |
申 |
子 |
巳 |
未 |
午 |
6 |
酉 |
巳 |
寅 |
午 |
巳 |
子 |
申 |
卯 |
辰 |
7 |
戌 |
辰 |
卯 |
未 |
寅 |
寅 |
寅 |
亥 |
寅 |
8 |
亥 |
卯 |
辰 |
申 |
亥 |
寅 |
亥 |
未 |
子 |
9 |
子 |
寅 |
巳 |
酉 |
申 |
辰 |
巳 |
寅 |
戌 |
10 |
丑 |
丑 |
午 |
戌 |
巳 |
辰 |
辰 |
午 |
申 |
11 |
寅 |
子 |
未 |
亥 |
寅 |
午 |
寅 |
戌 |
午 |
12 |
卯 |
亥 |
申 |
子 |
亥 |
午 |
亥 |
寅 |
辰 |
|
알다시피, 자미두수는 음력을 월단위로 하기 때문에 혹, 절기의 월과 혼돈하지 않기를 바란다. 예1)의 명을 기준으로 보면 7월생 이므로 좌보(左輔)는 戌궁에, 우필(右弼)은 辰궁에 배치되며 나머지 성계들도 마찬가지 방법으로 배치한다.

|
三 台 |
左輔에서 1일 시작하여 생일까지 순행 |
八 座 |
右弼에서 1일 시작하여 생일까지 역행 |
恩 光 |
文昌에서 1일 시작하여 생일까지 순행후 1궁 후퇴 |
天 貴 |
文曲에서 1일 시작하여 생일까지 순행후 1궁 후퇴 |
| 예1)의 명을 기준으로 하면, 생일이 1일 이므로 三台는 戌궁, 八座는 그대로 辰궁이 된다. 恩光은 辰궁, 天貴는 申궁이다.
局이 정해지고 14정성의 기본배치가 끝나면 보좌살화성(輔佐煞化星) 및 기타 잡성을 배치해야 하는데 도표를 그려서 설명하는 것이 가장 쉬울 것 같아서 주로 표를 이용하겠다. 상당히 많은 별이 있으므로 주의해서 배치를 해야 한다.

|
生年支 |
寅午戌 |
申子辰 |
巳酉丑 |
亥卯未 |
|
 |
文
昌 |
文
曲 |
火
星 |
鈴
星 |
火
星 |
鈴
星 |
火
星 |
鈴
星 |
火
星 |
鈴
星 |
地
劫 |
天
空 |
台
輔 |
封
誥 |
子 |
戌 |
辰 |
丑 |
卯 |
寅 |
戌 |
卯 |
戌 |
酉 |
戌 |
亥 |
亥 |
午 |
寅 |
丑 |
酉 |
巳 |
寅 |
辰 |
卯 |
亥 |
辰 |
亥 |
戌 |
亥 |
子 |
戌 |
未 |
卯 |
寅 |
申 |
午 |
卯 |
巳 |
辰 |
子 |
巳 |
子 |
亥 |
子 |
丑 |
酉 |
申 |
辰 |
卯 |
未 |
未 |
辰 |
午 |
巳 |
丑 |
午 |
丑 |
子 |
丑 |
寅 |
申 |
酉 |
巳 |
辰 |
午 |
申 |
巳 |
未 |
午 |
寅 |
未 |
寅 |
丑 |
寅 |
卯 |
未 |
戌 |
午 |
巳 |
巳 |
酉 |
午 |
申 |
未 |
卯 |
申 |
卯 |
寅 |
卯 |
辰 |
午 |
亥 |
未 |
午 |
辰 |
戌 |
未 |
酉 |
申 |
辰 |
酉 |
辰 |
卯 |
辰 |
巳 |
巳 |
子 |
申 |
未 |
卯 |
亥 |
申 |
戌 |
酉 |
巳 |
戌 |
巳 |
辰 |
巳 |
午 |
辰 |
丑 |
酉 |
申 |
寅 |
子 |
酉 |
亥 |
戌 |
午 |
亥 |
午 |
巳 |
午 |
未 |
卯 |
寅 |
戌 |
酉 |
丑 |
丑 |
戌 |
子 |
亥 |
未 |
子 |
未 |
午 |
未 |
申 |
寅 |
卯 |
亥 |
戌 |
子 |
寅 |
亥 |
丑 |
子 |
申 |
丑 |
申 |
未 |
申 |
酉 |
丑 |
辰 |
子 |
亥 |
亥 |
卯 |
子 |
寅 |
丑 |
酉 |
寅 |
酉 |
申 |
酉 |
戌 |
子 |
巳 |
丑 |
|
예1)의 명을 기준으로 보면, 生年支가 亥년이고, 生時는 巳시 이므로 寅궁에 화성(火星) 卯궁에 영성(鈴星)이 배치된다.(화성,영성은 三合支에 따라서 배치궁이 다르므로 주의) 문창(文昌) 문곡(文曲) • 지겁(地劫) 지공(地空) • 태보(台輔) 봉고(封誥)등은 生時만을 기준으로 찾는다.
 연간 기준으로 배치하는 성계는 천괴(天魁) 천월(天鉞) 록존(綠存) 경양(擎羊) 타라(陀羅) 천관(天官) 천복(天福) 천주(天廚) 화록(化綠) 화권(化權) 화과(化科) 화기(化忌) 절로공망(截路空亡: 줄여서 절공이라고 함) 순중공망(旬中空亡: 줄여서 순공이라고 함)등이 있는데, 천주와 절공, 순공, 사화(化綠,化權,化科,化忌)는 부연설명 하겠다.
|
 |
甲年 |
乙年 |
丙年 |
丁年 |
戊年 |
己年 |
庚年 |
辛年 |
壬年 |
癸年 |
陀羅 |
丑 |
寅 |
辰 |
巳 |
辰 |
巳 |
未 |
申 |
戌 |
亥 |
綠存 |
寅 |
卯 |
巳 |
午 |
巳 |
申 |
午 |
酉 |
亥 |
子 |
擎羊 |
卯 |
辰 |
午 |
未 |
午 |
未 |
酉 |
戌 |
子 |
丑 |
天魁 |
丑 |
子 |
亥 |
亥 |
丑 |
子 |
丑 |
午 |
卯 |
卯 |
天鉞 |
未 |
申 |
酉 |
酉 |
未 |
申 |
未 |
寅 |
巳 |
巳 |
化綠 |
廉貞
|
天機 |
天同 |
太陰 |
貪狼 |
武曲 |
太陽 |
巨門 |
天梁 |
破軍 |
化權 |
破軍 |
天梁 |
天機 |
天同 |
太陰 |
貪狼 |
武曲 |
太陽 |
紫微 |
巨門 |
化科 |
武曲 |
紫微 |
文昌 |
天機 |
右弼 |
天梁 |
太陰 |
文曲 |
座輔 |
太陰 |
化忌 |
太羊 |
太陰 |
廉貞 |
巨門 |
天機 |
文曲 |
天同 |
文昌 |
武曲 |
貪狼 |
天官 |
未 |
辰 |
巳 |
寅 |
卯 |
酉 |
亥 |
酉 |
戌 |
午 |
天福 |
酉 |
申 |
子 |
亥 |
卯 |
寅 |
午 |
巳 |
午 |
巳 |
|
* 천주 찾는법
|
生年干 |
甲 |
乙 |
丙 |
丁 |
戊 |
己 |
庚 |
辛 |
壬 |
癸 |
宮 |
巳 |
午 |
子 |
巳 |
午 |
申 |
寅 |
午 |
酉 |
亥 |
| * 절로공망(截路空亡) 찾는 법
|
生年干 |
甲 |
乙 |
丙 |
丁 |
戊 |
己 |
庚 |
辛 |
壬 |
癸 |
宮 |
申酉 |
午未 |
辰巳 |
寅卯 |
子丑 |
申酉
|
午未 |
辰巳 |
寅卯 |
子丑 |
|
절로공망은 정공(正空)과 방공(傍空)이 있다. 위 표에서 보면 甲年과 己年은 모두 申酉궁으로 되어있지만 양간(陽干)에 출생하면 양의 지지궁에, 음간(陰干) 출생이면 음의 지지궁에만 배치하는 것이 원칙이다. 양간일 경우 양의 지지에 해당하는 것을 정공 이라고 하며, 양간 출생에 음의 지지는 방공이라고 하는데 실제적으로 정공만 취한다. 음간의 출생자는 이와 반대로 이해하면 되겠다. 예1)의 명반을 예로들면, 辛亥생 이므로 巳궁에 절로공망이 배치된다. * 순중공망(旬中空亡) 찾는 법
|
生 年 |
旬中空亡宮 |
甲子 乙丑 丙寅 丁卯 戊辰 己巳 庚午 辛未 壬申 癸酉 |
戌 亥 |
甲戌 乙亥 丙子 丁丑 戊寅 己卯 庚辰 辛巳 壬午 癸未 |
申 酉 |
甲申 乙酉 丙戌 丁亥 戊子 己丑 庚寅 辛卯 壬辰 癸巳 |
午 未 |
甲午 乙未 丙申 丁酉 戊戌 己亥 庚子 辛丑 壬寅 癸卯 |
辰 巳 |
甲辰 乙巳 丙午 丁未 戊申 己酉 庚戌 辛亥 壬子 癸丑 |
寅 卯 |
甲寅 乙卯 丙辰 丁巳 戊午 己未 庚申 辛酉 壬戌 癸亥 |
子 丑 |
| 순중공망은 명리나 육임에서 흔히 말하는 空亡殺을 의미한다. 순중공망도 정공과 방공이 있는데 이 역시 정공만 취한다. 예1)의 명은 辛巳生 이므로 陰干에 해당되어 寅卯중에서 卯宮에 순공이 배치된다. * 사화(四化) 찾는 법 사화는 위 표에서처럼 년간을 기준으로 배치하는데, 사화는 선천과 대운, 유년, 유월, 유일, 유시까지 따라 다니는데 일반적으로 추론을 위해서 유월까지 취하는 경우가 많다. 이 사화는 14정성이나 창곡, 보필등에 붙어서 격국의 고저를 살피기도 하고 운세의 흐름을 세밀하게 추론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하므로 주의깊게 관찰 해야한다. 자미두수의 추론의 묘미를 제대로 알기 위해서는 한마디로 사화의 응용을 자유자재로 해야한다. 따로 적어보면 다음과 같은데 사화는 필히 암기하는 것이 좋다. (月=太陰 / 日=太陽) 甲 : 廉 破 戊 羊 (갑 염파무양) 乙 : 機 梁 紫 月 (을 기량자월) 丙 : 同 機 昌 廉 (병 동기창염) 丁 : 月 同 機 巨 (정 월동기거) 戊 : 貪 月 弼 機 (무 탐월필기) 己 : 武 貪 梁 曲 (기 무탐량곡) 庚 : 日 武 陰 同 (경 일무음동) 辛 : 巨 日 曲 昌 (신 거일곡창) 壬 : 梁 紫 輔 武 (임 양자보무) 癸 : 破 巨 陰 貪 (계 파거음탐)
여기서 하나 참고 해야할 점은 戊干의 우필化科를 태양화과로 대신하는 두수가가 있고, 庚干의 태음화과도 천부화과로, 庚干의 천동화기는 태음화기나 천상화기로, 그리고 임간의 좌보화과는 천부화과로 사용하는 학파도 있으므로 참고하기 바란다. 앞으로 많은 임상을 하여 구체적인 정론을 세워야 될 부분이다.

|
 |
子 |
丑 |
寅 |
卯 |
辰 |
巳 |
午 |
未 |
申 |
酉 |
戌 |
亥 |
天 哭 |
午 |
巳 |
辰 |
卯 |
寅 |
丑 |
子 |
亥 |
戌 |
酉 |
申 |
未 |
天 虛 |
午 |
未 |
申 |
酉 |
戌 |
亥 |
子 |
丑 |
寅 |
卯 |
辰 |
巳 |
龍 池 |
辰 |
巳 |
午 |
未 |
申 |
酉 |
戌 |
亥 |
子 |
丑 |
寅 |
卯 |
鳳 閣 |
戌 |
酉 |
申 |
未 |
午 |
巳 |
辰 |
卯 |
寅 |
丑 |
子 |
亥 |
紅 鸞 |
卯 |
寅 |
丑 |
子 |
亥 |
戌 |
酉 |
申 |
未 |
午 |
巳 |
辰 |
天 喜 |
酉 |
申 |
未 |
午 |
巳 |
辰 |
卯 |
寅 |
丑 |
子 |
亥 |
戌 |
孤 辰 |
寅 |
寅 |
巳 |
巳 |
巳 |
申 |
申 |
申 |
亥 |
亥 |
亥 |
寅 |
寡 宿 |
戌 |
戌 |
丑 |
丑 |
丑 |
辰 |
辰 |
辰 |
未 |
未 |
未 |
戌 |
蜚 廉 |
申 |
酉 |
戌 |
巳 |
午 |
未 |
寅 |
卯 |
辰 |
亥 |
子 |
丑 |
破 碎 |
巳 |
丑 |
酉 |
巳 |
丑 |
酉 |
巳 |
丑 |
酉 |
巳 |
丑 |
酉 |
大 耗 |
丑 |
午 |
酉 |
申 |
亥 |
戌 |
丑 |
子 |
卯 |
寅 |
巳 |
辰 |
解 神 |
戌 |
酉 |
申 |
未 |
午 |
巳 |
辰 |
卯 |
寅 |
丑 |
子 |
亥 |
咸 池 |
酉 |
午 |
卯 |
子 |
酉 |
午 |
卯 |
子 |
酉 |
午 |
卯 |
子 |
華 蓋 |
辰 |
丑 |
戌 |
未 |
辰 |
丑 |
戌 |
未 |
辰 |
丑 |
戌 |
未 |
劫 煞 |
巳 |
寅 |
亥 |
申 |
巳 |
寅 |
亥 |
申 |
巳 |
寅 |
亥 |
申 |
災 煞 |
午 |
卯 |
子 |
酉 |
午 |
卯 |
子 |
酉 |
午 |
卯 |
子 |
酉 |
天 煞 |
未 |
辰 |
丑 |
戌 |
未 |
辰 |
丑 |
戌 |
未 |
辰 |
丑 |
戌 |
月 煞 |
戌 |
未 |
辰 |
丑 |
戌 |
未 |
辰 |
丑 |
戌 |
未 |
辰 |
丑 |
天 馬 |
寅 |
亥 |
申 |
巳 |
寅 |
亥 |
申 |
巳 |
寅 |
亥 |
申 |
巳 |
|

|
天 傷 |
복궁 고정(중주파:양남음녀 천상 노복궁/천사 질액궁 배치) |
天 使 |
질액궁 고정(중주파:음남양녀 천사 노복궁/천상 질액궁 배치) |
|

|
天 德 |
酉궁에서 子로 시작하여 생년지 까지 순행 |
月 德 |
巳궁에서 子로 시작하여 생년지 까지 순행 |
|
 천공은 생년지의 後 1 位支(예; 오년생이면 미궁)
 천수는 선천의 身궁에서 子로 시작하여 생년지까지 순행
 박사십이신은 선천의 록존(綠存)이 있는 궁에서 시작하여 양남음녀(陽男陰女)는 순행하고, 음남양녀(陰男陽女)는 역행한다. (그러나 유년에서 배치할 때는 양남음녀, 음남양녀의 구별없이 양년은 순행, 음년은 영행으로 배치함)
陽男 : 甲 丙 戊 庚 壬 년간에 출생한 남자 陰男 : 乙 丁 己 辛 癸 년간에 출생한 남자 陽女 : 甲 丙 戊 庚 壬 년간에 출생한 여자 陰女 : 乙 丁 己 辛 癸 년간에 출생한 여자
배치 순서는 다음과 같다. 박사(博士) 역사(力士) 청룡(靑龍) 소모(小耗) 장군(將軍) 주서(奏書) 비렴(飛廉) 희신(喜神) 병부(病符) 대모(大耗) 복병(伏兵) 관부(官府
 남녀 구분 없이 생년지를 기준하여 순행으로, 태세(太歲, 또는 歲建) 회기(晦氣, 또는 太陽) 상문(喪門) 관색(貫索, 또는 太陰) 관부(官符) 소모(小耗, 또는 死符) 세파(歲破, 또는 大耗) 용덕(龍德) 백호(白虎) 천덕(天德, 또는 福德) 조객(弔客) 병부(病符)의 순서로 배치한다. 예1)의 명을 기준으로 보면, 亥年生 이므로 亥궁이 태세, 子궁이 회기, 戌궁이 병부가 된다.
 생년지의 삼합(三合)의 왕지(旺支)의 궁에서 시작하는데, 표를 참고하길 바란다.(유년에도 같은 원리로 배치된다.)
|
 |
寅 午 戌 |
申 子 辰 |
巳 酉 丑 |
亥 卯 未 |
將 星 |
午 |
子 |
酉 |
卯 |
攀 鞍 |
未 |
丑 |
戌 |
辰 |
歲 驛 |
申 |
寅 |
亥 |
巳 |
息 神 |
酉 |
卯 |
子 |
午 |
華 蓋 |
戌 |
辰 |
丑 |
未 |
劫 煞 |
亥 |
巳 |
寅 |
申 |
災 煞 |
子 |
午 |
卯 |
酉 |
天 煞 |
丑 |
未 |
辰 |
戌 |
指 背 |
寅 |
申 |
巳 |
亥 |
咸 池 |
卯 |
酉 |
午 |
子 |
月 煞 |
辰 |
戌 |
未 |
丑 |
亡 神 |
巳 |
亥 |
申 |
寅 |
|
 십이운성은 오행국을 기준으로 양남음녀. 음남양녀에 따라서 순역이 정해진다.
|
 |
水 2 局 |
木 3 局 |
金 4 局 |
土 5 局 |
火 6 局 |
陽男 陰男 陰女 陽女 |
陽男 陰男 陰女 陽女 |
陽男 陰男 陰女 陽女 |
陽男 陰男 陰女 陽女 |
陽男 陰男 陰女 陽女 |
長 生 |
申 |
亥 |
巳 |
申 |
寅 |
木 浴 |
酉 未 |
子 戌 |
午 辰 |
酉 未 |
卯 丑 |
冠 帶 |
戌 午 |
丑 酉 |
未 卯 |
戌 午 |
辰 子 |
臨 官 |
亥 巳 |
寅 申 |
申 寅 |
亥 巳 |
巳 亥 |
帝 旺 |
子 辰 |
卯 未 |
酉 丑 |
子 辰 |
午 戌 |
衰 |
丑 卯 |
辰 午 |
戌 子 |
丑 卯 |
未 酉 |
病 |
寅 寅 |
巳 巳 |
亥 丑 |
寅 寅 |
申 申 |
死 |
丑 丑 |
午 辰 |
子 戌 |
卯 丑 |
酉 未 |
墓 |
辰 子 |
未 卯 |
丑 酉 |
辰 子 |
戌 午 |
絶 |
巳 亥 |
申 寅 |
寅 申 |
巳 亥 |
亥 巳 |
胎 |
午 戌 |
酉 丑 |
卯 未 |
午 戌 |
子 辰 |
養 |
未 酉 |
戌 子 |
辰 午 |
未 酉 |
丑 卯 |
|
 명주와 신주는 자미두수 추론시 어떻게 응용을 할지 아직까지 완전하게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다. 하지만『자미두수전서』에는 그 배치법이 정확하게 밝혀져있고, 또한 학자에 따라서는 상당히 비중 있게 다루고 있기도 하다. 개인적으로는 명주는 漢字 그대로 또 다른 형태로 命의 주인역할을 하지 않나 생각된다. 실제상담을 할 때 선천 명신궁의 성계외에 명주의 성계로 성격을 추단할때 참고하여 설명을 한다거나, 또한 대한이나 유년 등에서 명주에 해당하는 성계가 록,권,과가 되거나 길성의 회조가 많으면 아무래도 더욱 힘을 얻는 것으로 보이고, 명주가 화기가 되거나 살의 간섭이 많으면 좋지 않은 일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나는 것 같았다. 물론 이것은 개인적인 임상경험이지 정론은 아니므로 참고하기 바란다. 신주에 대해서는 확실한 사용법을 모르겠고, 다만 건강에 관여를 하는 정도로 생각하고 있는데 앞으로 강호제현 여러분들의 임상실험을 기대해 본다. 명 주
|
命 宮 |
子 宮 |
丑亥宮 |
寅戌宮 |
卯酉宮 |
午 宮 |
辰申宮 |
巳未宮 |
命 主 |
貪 狼 |
巨 門 |
綠 存 |
文 曲 |
破 軍 |
廉 貞
|
武 曲 |
| 명주는 명궁을 기준으로 찾는데, 가령 명궁이 亥궁이면 명주는 거문이 된다
신 주
|
生年支 |
子/午年 |
丑未年 |
寅申年 |
卯酉年 |
辰戌年 |
巳亥年 |
身 主 |
火/鈴星 |
天 相 |
天 梁 |
天 同 |
文 昌 |
天 機
|
| 위의 포국법은 전선의 내용을 주로 하였다. 학파에 따라서 배치법을 달리 하기도 하는데 역시 완전한 추론가설도 성립 되어있지 않는 상황에서 배치법을 가지고 어느 하나만을 고집하기는 무리가 있는 것 같다.
 묘왕리함(廟旺利陷)은 명반에 배치된 각성계의 힘의 강약을 보는 척도인데, 廟旺에 해당하면 최고의 힘을 가지고 있는 경우이며 살이나 화기등에 대한 저항성이 강하다. 성계가 묘왕이라는 뜻은 마치 명리학에서 일간이 월의 힘을 얻어서 득령(得令)을 한 것으로 이해하면 되겠다. 그만큼 성계의 강약과 힘에 중요한 구실을 하므로 잘 응용해야 한다. 힘의순서는 廟 • 旺 • 地 • 平 • 閑 • 陷의 순이지만 모두 기억하는 것 보다 廟旺지가 가장 힘이 강하며 陷지가 가장 약하고 나머지는 중간정도라고 이해하면 되겠다.
십사정성의 묘왕리함
|
 |
紫 微 |
天 機 |
太 陽 |
武 曲 |
天 同 |
廉 貞 |
天 府 |
太 陰 |
貪 狼 |
巨 門 |
天 相 |
天 梁 |
七 殺 |
破 軍 |
子 |
平 |
廟 |
陷 |
旺 |
旺 |
平 |
廟 |
廟 |
旺 |
旺 |
廟 |
廟 |
旺 |
廟 |
丑 |
廟 |
陷 |
陷 |
廟 |
陷 |
旺 |
廟 |
廟 |
廟 |
旺 |
廟 |
旺 |
廟 |
旺 |
寅 |
廟 |
旺 |
旺 |
閑 |
閑 |
廟 |
廟 |
閑 |
平 |
廟 |
廟 |
廟 |
廟 |
陷 |
卯 |
旺 |
旺 |
廟 |
陷 |
廟 |
閑 |
平 |
陷 |
平 |
廟 |
陷 |
廟 |
陷 |
旺 |
辰 |
陷 |
廟 |
旺 |
廟 |
平 |
旺 |
廟 |
閑 |
廟 |
平; |
旺 |
旺 |
旺 |
旺 |
巳 |
旺 |
平 |
旺 |
平 |
廟 |
陷 |
平 |
陷 |
陷 |
平 |
平 |
陷 |
平 |
閑 |
午 |
廟 |
廟 |
廟 |
旺 |
陷 |
平 |
旺 |
陷 |
旺 |
旺 |
旺 |
廟 |
旺 |
廟 |
未 |
廟 |
陷 |
平 |
廟 |
陷 |
廟 |
廟 |
平 |
廟 |
陷 |
閑 |
旺 |
旺 |
廟 |
申 |
旺 |
平 |
閑 |
平 |
旺 |
廟 |
平 |
平 |
平 |
廟 |
廟 |
陷 |
廟 |
陷 |
酉 |
平 |
旺 |
閑 |
旺 |
平 |
平 |
陷 |
旺 |
平 |
廟 |
陷 |
地 |
閑 |
陷 |
戌 |
閑 |
廟 |
陷 |
廟 |
平 |
旺 |
廟 |
旺 |
廟 |
旺 |
閑 |
旺 |
廟 |
旺 |
亥 |
旺 |
平 |
陷 |
平 |
廟 |
陷 |
旺 |
廟 |
陷; |
旺 |
平 |
陷 |
平 |
平 |
|
보좌살성 및 사화의 묘왕리함
|
 |
輔 佐 吉 星 |
煞 星 |
四 化 |
天 魁 |
天 鉞 |
左 輔 |
右 弼 |
文 昌 |
文 曲 |
綠 存 |
天 馬 |
擎 羊 |
陀 羅 |
火 星 |
鈴 星 |
地 空 |
地 劫 |
化 綠 |
化 權 |
化 科 |
化 忌 |
子 |
旺 |
/ |
旺 |
廟 |
旺 |
廟 |
旺 |
/ |
陷 |
/ |
平 |
陷 |
平 |
陷 |
平 |
閑 |
旺 |
旺 |
丑 |
旺 |
/ |
廟 |
廟 |
廟 |
廟 |
/ |
/ |
廟; |
廟 |
旺 |
陷 |
陷 |
陷 |
廟 |
廟 |
旺 |
廟 |
寅 |
/ |
旺 |
廟 |
旺 |
陷 |
平 |
廟 |
旺 |
/ |
陷 |
廟 |
廟 |
陷 |
平 |
平 |
旺 |
旺 |
陷 |
卯 |
廟 |
/ |
陷 |
陷 |
平 |
旺 |
旺 |
/ |
陷 |
/ |
平 |
廟 |
平 |
平 |
陷 |
旺 |
廟 |
旺 |
辰 |
/ |
/ |
廟 |
廟 |
旺 |
廟 |
/ |
/ |
廟 |
廟 |
閑 |
旺 |
陷 |
陷 |
廟 |
平; |
廟 |
閑 |
巳 |
/ |
旺 |
平 |
平 |
廟 |
廟 |
廟 |
平 |
/ |
陷 |
旺 |
旺 |
廟 |
閑 |
地 |
平 |
閑 |
陷 |
午 |
廟 |
/ |
旺 |
旺 |
陷 |
陷 |
旺 |
/ |
平 |
/ |
廟 |
廟 |
廟 |
廟 |
平 |
廟 |
廟 |
陷 |
未 |
/ |
旺 |
廟 |
廟 |
平 |
旺 |
/ |
/ |
廟 |
廟 |
閑 |
旺 |
平 |
平 |
廟 |
旺 |
旺 |
旺 |
申 |
/ |
廟 |
平 |
閑 |
旺 |
平 |
廟 |
旺 |
/ |
陷 |
陷 |
旺 |
廟 |
廟 |
廟 |
旺 |
廟 |
陷 |
酉 |
/ |
廟 |
陷 |
陷 |
廟 |
廟 |
旺 |
/ |
陷 |
/ |
陷 |
陷 |
廟 |
平 |
平 |
平 |
平 |
陷 |
戌 |
/ |
/ |
廟 |
廟 |
陷 |
陷 |
/ |
/ |
廟 |
廟 |
廟 |
廟 |
陷 |
平 |
廟 |
廟 |
旺 |
陷 |
亥 |
旺 |
/ |
閑 |
平 |
旺 |
旺 |
廟 |
平 |
/ |
陷 |
平 |
廟 |
陷 |
旺 |
廟 |
旺 |
旺 |
陷 |
|
이상 자미두수의 14주성과 보좌살화성 및 기타 잡성의 배치법을 모두 살펴 보았다. 먼저, 자신의 명반을 손수 작성해보고 주위 사람들의 명반도 만들어서 직접 확인해보기 바란다. 시중에 자미두수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있고 본인도 사용하고 있지만 처음에는 손수 명반을 작성하는 버릇을 들여야 실제 추론시 명반의 전반적인 상황과 분위기가 빨리 한눈에 들어오게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