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 수계절 발생하기 쉬운 계절 -신장방광
원문 <장기법시론>이다.
‘장기’는 ‘오장육부’의 기운을 말하고 ‘법’이란 ‘따르다 혹은 본받다‘의 의미이다. ’시‘는 춘하추동 사계절을 말한다.
다시 말하면 인체 내의 오장육부의 상태를 사시사철의 움직임에 따라 판단하고 치료한다는 뜻이다.
ㅡ
신장은 겨울의 수(水)의 기운과 일치하면 겨울만 되면 생생하게 기운이 넘치며
신장은 방광과 한 쌍을 이룬다.
겨울은 족소음신경과 족태양방광경을 치료하기에 가장 좋은 시기이다.
임일과 계일은 천문학상으로 신장과 방광의 기운이 가장 왕성한 시기이다.
신장은 메마름을 싫어하므로 얼얼하거나 맵고 비린내 나는 음식을 먹어서 건조한 상태를 없애야 한다.
맵고 비린내 나는 식품은 우리 몸에 힘이 나게 하고 체액을 온몸에 골고루 퍼지게 하여
몸이 탄력 있고, 윤기가 나게 한다.
신장에 병이 생기면 환자는 수생목을 하는 봄에 회복된다
그때 회복이 되지 않으면 토극수가 되어 한여름에 신장의 병이 악화되고
이때 죽지안는다면 질병은 금생수가 되어 가을에 안정을 되찾고
수의 기운이 가장활발한 겨울에 낫는다
따라서 환자는 지나치게 뜨거운 물과 음식을 먹지 말아야 하고 옷을 뜨거운 불에 말리지 말아야 한다
신장병 환자들은 수생목을 하는 갑을일 까지는 회복되어야 하는데
만일 그렇지 못하다면 비 위장의 기운이 왕성한 무기일에 토극수가 되어 상태가
악화되며 폐 대장의 기운이 활발한 경신일까지 생존한다면 금생수가 되어 병이 안정된다
결과적으로 신장 방광의 기운이 활발한임계일에 병이 회복 된다
신장 방광의 기운이 가장 활발한 시간은 자정이며
가장 위축되는 시간은 진 술 축 미시이다
초저녁에는 금생수가 되어 신장병의 상태가 안정된다
신장을 튼튼하고 강하게 하기위해서는 허할때 쓴약을 먹으면 기운이 보충되고
기운이 넘칠때는 짠맛의 식품을 먹어서 덜어낸다
첫댓글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