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렌체에 오게 되면 누구나 한 번쯤은 하게 되는 마지막 날의 고민. 보지 못한 뮤지엄과 명소들을 둘러볼 것인가 아니면 외곽으로 나갈 것인가. 고민도 잠시. 지난 이틀간의 아카데미아와 우피치로 충분히 르네상스를 만끽했는지 자연스레 외곽으로 구미가 당겨지고 곧이어 시에나 당첨이다.
산타마리아 노벨라 성당으로 가서
버스 터미널을 찾지 말고
산타마리아 노벨라 기차역으로 가셔야 한다.
기차역을 바라보고 왼쪽 편,
즉 지금 서 있는 곳으로 오시라.
그러면 간이 시외버스 터미널이 보인다.
기차를 타고 갈까 생각을 했지만
시에나는 기차역부터 시가지까지 걷기엔
경사가 많고
거기서 또 버스를 타야 하는 문제가 있어
몇 분께 여쭤보니
이구동성 버스 추천이다. 고민 끝.
근처에 아웃렛 몰이 있어서
그곳을 다녀오시는 분들도 많은지
그 버스는 이미 만석.
시에나 왕복표를 달라고 하면
똑같은 표를 2장 준다.
어느 표를 쓰건 상관없으니
한 장을 버스 탑승 시 펀칭하면 된다.
시에나행 버스가 2가지가 있으니
꼭 직행버스 라피다를 타라고 하던데
오늘은 5번 6번 플랫폼에
9:10 출발 라피다가 2대다.
일요일이라 노선을 조정했나 보다.
여행은 이래서 즐겁다.
5번을 탈까 6번을 탈까.
버스는 정확히 9시 10분에 출발.
도착 사진 정보가 10시 24분인 것을 보니
1시간 10분 정도 걸렸다.
시에나 빌딩 속에서
구글맵이 계속 뱅뱅 돌기 때문에
중간중간 이정표 확인은 필수.
좁은 길은 아닌데 좁아 보이는 이유가
건물을 돌로 지어서 그런 것 같고
그나마 좁지 않은 이유는
건물 외부에 돌출된 구조물이 없이
깔끔하게 정돈되어 있기 때문인 듯하다.
늘었다 줄었다 좁은 듯 좁지 않은 듯
시에나의 골목길이 참으로 묘(妙)하다.
피렌체와는 달리 건물의 육중함이
더 느껴지는 건
시간이 멈춰진 도시라는
편견 때문은 아닐까 싶기도.
그나저나 지붕 처마 라인이 낯설지가 않다.
이탈리아 10월 중순은 일교차가 심하다.
이곳 시에나는 그늘이 많아
패딩을 입어도 전혀 과하지 않다.
반바지 입은 이탈리아 남자로 인해
현혹되진 마시라.
계단을 내려가면
비가 오면 모두 이 곳으로 모인다는 캄포 광장.
그런데 하수구가 하나?
왜 굳이 분산시키지 않고
광장으로 모았을까 궁금하다.
하수구가 있는 곳을 살펴보니
주말이라 행사한다고 잘도 가려놓았다.
물이 흐르듯 시선도 흐르는 법이니
저곳에 무대를 설치하면
시선집중이 따로 없겠지.
기왕에 흐름 이야기가 나왔으니
시에나가 어떻게 위치하고 있는지
한번 살펴보고 넘어가자.
나와라 구글어스.
3D 지도를 보면
캄포 근처에서 모여서
물이 흘러가도록 경사가 있고
그 오른쪽 아래를 보면
하수구 하나만으로도
물이 고이지 않고
충분히 빨리 빠지도록
낙차를 만들어서
펌프 효과를 만들어 놓았다.
과연(果然) 토목의 이탈리아.
고대 로마 시절부터
별도의 동력 없이
낙차만으로 수로교를 만들어
상수도 시설을 만들었던 노하우가
하수도에도 적용되는 모습. 믓지다.
성당에서 사용되는
붉은 대리석의 산지가
바로 이곳 시에나.
그 점을 감안하여
시에나를 감상하면
다른 도시보다는
붉은 대리석과 테라코타
많이 사용된 모습이 곳곳에 보인다.
가이아 분수 주변으로
관광객들이 모여 있고
그 주변으로 식당들이
광장을 둘러싸고 있다.
헤링본(herring bone,‘청어의 뼈’라는 의미로
그와 닮은 조직 효과를 가진 옷감의 총칭)
방식으로
어찌나 잘 심어 놓았는지
튀어나온 돌 하나가 없다.
피렌체 두오모 쿠폴라를 쌓을 때
벽돌이 흘러내려
애를 먹은 부르넬레스키가
헤링본 방식으로 쌓으면서
문제를 해결할 만큼
가장 안정적인 쌓기 방식 중의 하나.
만자의 탑.
높이 102미터.
두오모 쿠폴라와
조토의 종탑을 연이어 올랐더니
평지에 대한 애정이 아직은 더 크다.
계단은 다음 기회로 미룬다.
만자는 만자 구아다니의 줄임말로
먹보(?)라는 의미.
종치기 별명이 만자라는데
그 종치기의 아픔이 느껴진다.
종은 매시간 쳐야 하고
심지어 오후 1시엔 종 한번 치겠다고
500계단을 올라갔다 내려오니
배가 고플밖에.
그래서 좀 먹었기로서니
사람들이 돈 받은 것
먹는데 다 쓰는 먹보라고 놀린다.
직원 복리후생이 엉망이었던 거지
만자가 무슨 죄가 있냔 말이지.
캄포 광장을 떠나 두오모로
향하면서 뒤돌아 한 컷.
그런데 다시 보니
기술이 좋은 건 좋은 거고
풍수의 관점에선 아무리 봐도 아니다.
토스카나는 우기(雨期)가 있는 지역이라
비가 올 땐 많이 온다.
물이 흘러들어오는 것을
바로 맞아버리면
아무리 물이 잘 빠져나가도
사람 마음이 어디 그런가?
흘러오는 물살을 보면 두려운 법.
왜 굳이 푸블리코 궁전을
저곳에 세웠는지
알다가도 모를 일이다.
피렌체랑 기싸움에서 진 것이
배부른 수탉이 늦게 울어서가 아니라
하수도 때문일 수도 있다.
그렇다고 뇌피셜(주로 인터넷상에서
객관적인 근거가 없이
자신의 생각만을 근거로 한
추측이나 주장을 이르는 말.
⇒규범 표기는 미확정이다.
아니라고 덤비지는 마시라.
가게 오픈이 11시라 준비 중.
그림 도자기 색깔이 참 고운데
천년은 족히 되었음직한
벽에 걸어놓으니 더 곱다.
카라라(Carrara,'카라라'는
이탈리아 북부 채석장에서 나는
대리석 종류를 일컫는 말)의
흰 대리석을 위주로 하고
시에나의 붉은 대리석으로
멋을 내고
뒤쪽 종탑은 프라토(Prato,
이탈리아 중북부 토스카나 지방
프라토 주에 있는 도시,
Prato in Toscana라고도 함)에서 가져온
녹색 대리석으로 장식했다.
중세의 고딕 양식(전면부 상단)과
르네상스 양식(전면부 하단)이
공존하는 시에나 두오모 성당.
내부를 볼 것이냐 말 것이냐를 놓고 잠시 고민.
하지만 피렌체 마지막 일정은
피렌체 야경으로 마무리해야 한다는 생각과
가이드 없이 들어가서 보면
뭐가 보이겠냐는 생각이 의기투합.
망설임없이 인증샷만 남기고
두오모 내부와 오페라 박물관은 패스.
캄포 광장으로 다시 가서
점심을 할까 하다가
버스 정류장 근처에서 봤던
햄버거 가게를 시도해보기로 한다.
우연치 않은 시도였지만
햄버거는 대성공.
키아니나(Chianina,가축으로 기르는
소의 품종,
원산지는 이탈리아이며,
현재는 주로 북아메리카에서
고기를 얻기 위해 사육하고 있다.
체색은 흰색이며,
다리가 길고,
몸집이 우람해
가축용 소 중에서는 가장 큰 종 중 하나)
소고기로 만든
패티가 입안에서 느껴지는
고급진 식감에
맥주까지 서빙하는 식당이었던 것.
맥주 버거… 자주 접하면
몹쓸 몸매를 만들어버리는
조합이긴 하지만
가끔 갈증 나고 배고플 때는
가성비 최고의 찰떡궁합이다.
한 가지 더.
이 식당 메뉴 가격이 착하긴 하지만
아주 많이 착한 것은 아니니
참조하시라.
식사를 마치고 피렌체 가는 버스를 기다리니
휴일이라 그런지 배차 간격이
1시간에서 2시간으로 늘어나서
1시간이 덤으로 생겼다.
시간이란 기다리면 버리는 것이고
움직이면 버는 것.
그러니 1시간을 벌려면
지금부터 열심히 움직여야 한다.
길 건너 맞은편에 뜬금없는 대관람차.
대관람차가 있다는 것은
뭔가 볼만한 풍광이 있다는 것인데
손님이 아무도 없다.
이유가 있겠지 싶어
탑승은 하지 않고 풍광 찾으러 이동.
성벽에 조각된 문양을 보니
여기가 포르테짜 메디치(메디치 성).
15세기까지
상업과 교통의 중심지로 번성했고
십자군 원정의 통과지점이
되기도 했지만
하필 피렌체의 코시모 1세가
가장 독이 올라 있을 시기에
경쟁을 하면서
시에나는 피사와 함께
메디치의 피렌체 복귀 희생양이 된다.
그 당시 이미 쫓겨났다가 복귀한 상황이라
전쟁에선 무조건 이겨야 했고
나아가 내부 세력을
외부로 결집시켜
영토를 확장해야만 했기 때문.
왔노라 싸웠노라 이겼노라고
남긴 거라 그런지
문양 참 크기도 하다.
1554년
마르시아노 전투에서
시에나를 굴복시킨 코시모 1세는
1561년 한때 스페인 점령 시절
성곽터였던 곳에
더 높게 성을 쌓으라고 지시하는데
사실은 시에나 시민들의
봉기를 차단하기 위한 군사시설.
이때부터 시에나의 성장과
발전의 시계는 멈춘다.
시에나 시민들의 반란 방어용 진지로
구축한 성이라 높이도 엄청나다.
그 덕분에 전망은 좋다.
성벽에 올라서니
시에나 시가 전경이 눈높이에 딱이다.
이 정도 풍광이면
1시간의 인저리타임(injury time,
입장료도 없고
특별히 뭔가를 보여주고자 하는 것도 없지만
이곳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편하게 쉬고 계절을 느끼고
산책도 할 수 있는 아주 조용한 곳.
물들어가는 나뭇잎,
붉은 벽돌의 성벽,
그리고 붉은 지붕의 가을 노래가 정겹다.
피렌체로 돌아오는 노선에는
2시간 동안 배차가 없어서 그랬는지
2층 버스가 기다리고 있다.
2층 앞자리는 이미 다른 분들이 차지하여
그 뒤에서 남긴 추억사진 한 장.
도착해서 짐 정리하고
피렌체에서의 마지막 저녁을 맞이하러
미켈란젤로 광장으로 이동.
이탈리안 철가방(鐵--,
양철로 된 가방에
음식을 넣고
배달을 다니는 사람을
속되게 이르는 말)
딜리버루와
마차의 조합이 재밌다.
고개 들어 광장을 살피니
저녁 노을을 기다리는 사람들로
이미 입추의 여지없이 꽉 차고.
해는 서산으로 넘어가는데
하늘에 구름도 꽉 찼다.
오늘 석양은 아무래도
해가 모습을 드러낼 여지가 없다.
첫날 일출을 광장에서 봤으니
해질 녘은 다리에서 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는
직감을 믿고
베키오 다리 방향으로 턴(Turn).
펜은 칼보다 강하고,
여자의 육감은
남자의 확신보다 예리하다.
한번 믿어보자.
비워야 채운다더니 미켈란젤로 광장을 내려놓으니 아르노 강이 반겨준다. 강물에 비친 우피치 위로 배 하나가 잔잔한 물결을 일으키니 강 건너 우피치의 한적한 멋짐을 바라보는 즐거움이란...
한발 더 뒤로 물러나면서 카메라 앵글을 좀 더 숙여서 물에 비친 우피치를 다 담았으면 더 좋았을 뻔. 하여간 골프나 사진이나 머리를 들면 안 된다. ^^
베키오 근처는 저녁 시간을 즐기는 인파로 활기가 넘친다.
저 곳 베키오 다리가 끝나는 즈음에서 단테는 베아트리체와의 두 번째 만남을 갖는다. 9살에 8살 소녀를 만나 사랑을 품고 9년 후 인사를 한번 나눈 것이 전부. 그렇게 단 두 번의 만남만으로 평생을 마음속에 간직하며 살아가는 가슴 저민 인연도 있음을...
피렌체에서 야경이 가장 예쁘다는 산타 트리니타 다리에 자리를 잡으니 때는 바야흐로 매직 아워. 마침 보트 한대가 무대 안으로 들어온다. 고맙구로 ^^
명경지수(明鏡止水)… 마법에 걸린 폰테 알라 카라야. 무슨 마법이냐고? 그거야 시간이 멈춘 듯한 마법이지 다른 거 또 있는감? ㅎㅎ
과연(果然) 명불허전(名不虛傳)… 아르노 강변의 끊김 없는 풍광(Seamless Scenery). 베키오의 매력은 바로 여기에 있었던 것. 구름이 두터운 것이 옥에 티이긴 하지만 이 정도의 풍광을 담을 수 있는 것만으로도 오늘 저녁은 복이 터진 거다.
다리 위엔 넘쳐나는 인파들로 가득하다. 아듀! 베키오.
매끈하고 인파도 드문 비아 데 토르나부오니 거리. 구찌와 페라가모 본사가 위치해 있어서 그런지 맨해튼 분위기가 물씬하다.
눈부신 태양의 나라 이탈리아
토스카나 언덕에 있는
시에나는 축복받은 땅이다.
중세도시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한
도시 너머로 넓게 펼쳐진
포도밭 풍경은
이탈리아에서 가장 아름다운 풍경으로
손꼽힌다.
붉은 벽돌로 지어진
중세 건축물과
한여름 태양의 열기처럼 뜨거운
축제가 열리는 강렬한 색채의
도시이기도 하다.
시에나는 다양한 표정을 지니고 있다.
조용하고 아늑한 소도시지만
축제가 열리는 여름이 오면
도시는 열정이 넘친다.
중세로 가는 마법의 문을 열고
시간을 거슬러 시에나로 여행을 떠난다.
우리말 속 일본어 잔재
일본식 한자어
최근 들어 한일 관계가
악화 일로를 걷고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말에 배어 있는
일본어 잔재를 짚어 보기로 했는데요.
우선 일본식 한자어부터
살펴보기로 하지요.
사실 1910년에
일본 강점기가 시작되면서
우리나라가 급속히 근대화되기
시작한 건
부인할 수 없는 사실입니다.
(물론 20세기 초반이
서구 문물이 물밀 듯이 밀려드는
시기였다는 얘기지,
일본이 우리나라를
발전시켰다는
말은 결코 아닙니다).
따라서 근대식 정부 조직이나
군대, 기업, 은행 등이 생겨나고,
선진 기술이나 스포츠 및
다양한 서구 문화가 유입되면서
그에 따른 용어들은
전부 일본식 한자를 그
대로 쓰게 되었지요.
지금은 순화시키려는
노력이 활발해지고 있지만,
행정 용어, 법률 용어,
일반 서식에 쓰이는 용어 등은
거의 일본식 한자라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닙니다.
또 스포츠, 특히 야구 용어들도
일본식 한자어가 많은데,
도루(盜壘), 병살(倂殺), 사구(死球) 등이
그렇지요.
그러므로 여기에 소개한 낱말들은
빙산의 일각이라 할 정도로,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음을
미리 밝힙니다
(지면의 한계 때문이지요).
그리고 설명이나 예문은
필요한 경우에만 덧붙였습니다.
가봉(假縫) → 시침바느질
가봉은 ‘양복 따위를 지을 때
몸에 잘 맞는지 보기 위해
대강 시침하여 보는
바느질’을 말합니다.
바른 우리말은
‘시침바느질’이지요.
가처분(假處分) → 임시 처분(臨時 處分)
가처분은
‘임시로 하는 처분’을 말합니다.
역시 ‘임시 처분’으로 써야겠지요.
각하(却下) → 기각(棄却)
각하는
‘관청이나 민사 소송 등에서
소장이나 신청 등을 물리침’을
뜻하는 법률 용어입니다.
‘기각’이 바른 우리말이고,
지금은 바로잡은 걸로
알고 있습니다.
감사(感謝) → 고마움
감사는
‘고맙게 여김’이란 뜻입니다.
우리말로는 ‘고마움’이라
표현하면 되는데요,
‘감사장(感謝狀)’이나
‘감사패(感謝牌)’ 등도
적절한 낱말을 찾아야겠습니다.
거래선(去來先) → 거래처(去來處)
거래선은
‘지속적으로 거래하는 상대 쪽’을
말합니다.
역시 ‘거래처’로 바꿔 써야겠지요.
게양(揭揚) → 높이 걺
태극기는 우리나라의 상징이므로,
‘게양’만은 시급히 다른 말로
바꿔야겠습니다.
견습(見習) → 수습(修習)
견습은
‘(정식으로 실무를 맡기 전에)
배워 익힘,
또는 그러한 일’을 말합니다.
지금은 ‘수습’으로
순화하여 쓰고 있지요.
견출지(見出紙) → 찾음표(ㅡ表)
견출지는
‘분류의 표지로 삼기 위해,
책이나 서류 따위의
가장자리에 삐죽이 내밀도록
붙이는 작은 종이’를 말합니다.
계단(階段) → 층계(層階), 층층대(層層臺)
고참(古參) → 선배(先輩)
금일(今日) → 오늘
기라성(綺羅星) → 반짝이는 별
기라성은
‘밤하늘에 반짝이는
수많은 별’이란 뜻으로
‘위세 있거나 훌륭한 사람들,
또는 그들이 많이 모인 모양’을
말합니다.
낭하(廊下) → 복도(複道)
내구연한(耐久年限) →
사용 가능 기간(使用 可能 期間)
내구연한은 ‘견디는 기간’을 말합니다.
□□당 (□□堂) → 빵집, 제과점(製菓店)
□□당은 빵집 뒤에 붙이는
일본식 표현인데요,
‘고려당(高麗堂)’,
‘태극당(太極堂)’ 등을
예로 들 수 있지요.
망년회(忘年會) → 송년회(送年會)
명일(明日) → 내일
산보(散步) → 산책(散策)
시말서(始末書) → 경위서(涇渭書),
전말서(顚末書)
시말서는
‘일의 경위를 적은 문서’를
말합니다.
식대, 식비(食代, 食費) → 밥값
유성(流星) → 별똥별
유성은
‘우주진(宇宙塵)이
지구의 대기권에 들어와
공기의 압축과 마찰로
빛을 내는 것’을 말합니다.
대기권에서 다 타지 않고
지상에 떨어진 것은
‘운석(隕石)’이라고 하지요.
유치원(幼稚園) → 어린이집,
유아학교(幼兒學校)
비슷한 경우로,
‘국민학교(國民學校)’는
‘초등학교(初等學校)’로
이름이 바뀌었지요.
음용수(飮用水) → 음료수(飮料水),
마시는 물
음용수는
‘사람이 마시거나
음식을 만드는 데 쓰는 물’을
말합니다.
인계(引繼) → 넘겨줌, 인도(引渡)
인계는
‘(어떤 일이나 물건 따위를)
남에게 넘겨주는 것’을 말합니다.
인수(引受) → 넘겨받음
인수는
‘(물건이나 권리 등을)
넘겨받는 것’을 말합니다.
작일(昨日) → 어제
잔반(殘飯) → 남은 음식, 대궁, 음식 찌꺼기
잔업(殘業) → 시간 외 일
잔업은
‘하다가 남은 작업’, 또는
‘근무 시간이 끝나고 나서
더 하는 작업’을 말합니다.
절수(節水) → 물 절약
절취선(切取線) → 자르는 선
정종(正宗, まさむね) → 청주(淸酒)
일본식 청주 이름으로
상품명(商品名)입니다.
1883년,
이마니시양조장의
이마니시 미네사부로
(今西峰三郞)가
부산에서 조선 최초로
일본식 청주 공장을 세우고,
정종(正宗, 마사무네)이라 이
름 붙인 청주를 만들어 판 데서
비롯되었습니다.
진검승부(眞劍勝負) → 정면승부(正面勝負)
진검승부는
쌍방이 명예와 생명을 걸고
사생결단으로 겨루는
모습을 말하는데,
옛날에 일본 무사들이
목숨을 걸고
진짜 검으로(목검[木劒]이 아니라)
결투를 한 데서 유래한 말입니다.
차출(差出) → 뽑음
차출은
‘(어떤 일을 시키려고) 사람을
뽑아내는 일’을 말합니다.
천정(天井) → 천장(天障)
행선지(行先地) → 목적지(目的地)
행선지는
‘가는 곳’을 일컫는 말입니다.
호출(呼出) → 부름
호출은 ‘불러냄’을 말합니다.
회람(回覽) → 돌려보기
회람은
‘차례로 돌려 가며 봄’,
또는 ‘돌려 가며 보는
글이나 문서’를 뜻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