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싱가포르에 스며드는 K스타일 - 패션의류 | ||||
---|---|---|---|---|---|
작성일 | 2013-07-21 | 국가 | 싱가포르 | 작성자 | 이상훈(싱가포르무역관) |
--> -->
싱가포르에 스며드는 K스타일 - 패션의류 - 한류 성숙기 거친 싱가포르, 한류 저변 확대 지속 - - 디자인에서 차별화, 일본제품보다 대중화 성공 -
□ 싱가포르 패션시장 작지만 지속 성장
○ 2015년까지 연간 2~5% 꾸준한 성장세 예상 - 싱가포르 소비시장은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 주변국의 구매력 향상과 작년에 이은 전 세계 관광객 유입 증가에 힘입어 지속 성장하는 추세 - 여성복 시장은 15억 싱가포르 달러 수준으로 매년 3% 성장
□ 한국 의류 스타일 선호 고객 증가
○ ZARA, MANGO, UNIQLO 등 글로벌 SPA 브랜드와는 다른 접근, 현지인에 신선한 이미지 구축 - 미국 및 유럽 브랜드보다 예쁘고 차별화됐다는 평가로 특히, UNIQLO를 제외한 일본 의류보다 대중화에 성공했다는 평가 - 동양 여성 체형에 맞고 한국적이면서도 아기자기하고 여성스러움을 극대화한 디자인이 타국 브랜드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차별화된 강점으로 작용 - 또한, 타국 브랜드보다 섬유 재질 등 품질이 뛰어나다는 인식이 자리잡고 있음.
○ Bugis Junction 패션거리에서 쇼핑몰, 백화점 등 다양한 유통망을 통해 한국의류 진출 확대
싱가포르 Bugis Junction KStreet
□ 진출 성공 사례
○ LE POMMIER - Bugis Juction 위치 - 2007년 싱가포르 현지인이 오픈한 한국의류 전문 매장 - 꽃장식, 레이스, 인형같은 스타일의 여성복 수입 - 주얼리 액세서리, 가방까지 들여오며, 가격대는 100~300 싱가포르 달러 수준(1싱가포르 달러 = 900원)
○ SPUR - Plaza Singapura 위치 - 수제 구두 제품으로 편안함을 추구하면서도 화려하고 여성스러운 디자인으로 승부 - KPOP 스타 마케팅으로 인기몰이
Spur 싱가포르 매장
○ 로빈슨 백화점 진출 의류매장 - Basic House, Mindbridge, The Classic 등은 영국계 로빈슨 백화점에 입점 - 2010년 입점해 꾸준한 매출 지속
□ 싱가포르 진출 시 참고사항
○ 싱가포르는 인구 530만 명의 작은 도시국가이며 관광객이 인구보다 많음.
○ 싱가포르인은 대체로 오프라인 매장을 선호하나, 최근 직접 구매 온라인 사이트가 인기를 끌고 싱가포르 임대료 가격이 지속 상승해 온라인 매장 진출도 고려해볼 만함.
○ 한국에서 먼저 히트해 브랜드 스토리를 지닌 제품이라면 빠르게 신뢰를 얻음.
○ 글로벌 SPA가 대거 진출한 싱가포르 패션시장에서는 글로벌 디자인 트렌드와 벗어나더라도 가장 한국적인 참신한 디자인으로 승부하는 것이 바람직함.
자료원: The Straits Times, 코트라 싱가포르 무역관 종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