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선생님.다음과 같이 자본의 이동이 자유로운 정도에 따라, BP곡선을 기준으로 국제수지가 흑자, 적자가 되는 영역이 구분이 되는데, (Y, R) 평면에서 각각 흑자, 적자가 되는 것인지 직관적으로 잘 와닿지가 않습니다.
왜 각각 국제수지 흑자 내지 적자가 되는 것인지 질문드립니다.
첫댓글 BP의 의미 자체가 [국제수지=경상수지+자본수지=0] 이 될 조건입니다.현 상태가 그보다 상단에 위치한다는 의미는 국제수지=0이 되는 상태에서 이자율만 높은 상태나 마찬가지이므로 자본의 유입 덕분에 국제수지는 흑자가 되는 상황이라 추론할 수 있습니다.현 상태가 그보다 좌측에 위치한다는 의미는 국제수지=0이 되는 상태에서 소득만 낮은 상태나 마찬가지이므로 (수입량의 감소로 인한) 경상수지의 개선 덕분에 국제수지는 흑자가 되는 상황이라 추론할 수 있습니다.
아 이해 되었습니다!항상 학습하며 막연했던 부분인데, 답변 감사드립니다!
첫댓글 BP의 의미 자체가 [국제수지=경상수지+자본수지=0] 이 될 조건입니다.
현 상태가 그보다 상단에 위치한다는 의미는 국제수지=0이 되는 상태에서 이자율만 높은 상태나 마찬가지이므로 자본의 유입 덕분에 국제수지는 흑자가 되는 상황이라 추론할 수 있습니다.
현 상태가 그보다 좌측에 위치한다는 의미는 국제수지=0이 되는 상태에서 소득만 낮은 상태나 마찬가지이므로 (수입량의 감소로 인한) 경상수지의 개선 덕분에 국제수지는 흑자가 되는 상황이라 추론할 수 있습니다.
아 이해 되었습니다!
항상 학습하며 막연했던 부분인데, 답변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