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9꿈사★공무원을꿈꾸는사람들
 
 
 
 
 
카페 게시글
② 한국사 심화 학습 [고려시대] 고려 원 내정간섭으로 인한 관제명 변화에서요.. 도병마사->도평의사사만 독자적인 성격인가요?
필승신념 추천 0 조회 520 09.08.08 17:16 댓글 4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09.08.09 02:55

    첫댓글 도평의사사는 스스로 개칭한거지원에 의한게 아니에요,,

  • 09.08.14 09:34

    원과 고려의 관제는 기본적으로 당의 관제를 모방한 것입니다. 그래서 고려와 원의 관제는 같은 점이 존재하죠.여기서 잠깐 생각하실게 당의 관제에서 관의 격이라는 것이 있는데요 성->(원->부)->사 이 순서가 관의 격이 높은 순서입니다. 그래서 원이 부마국인 고려랑 원의 관제의 격이 같을 수 있느냐는 의도를 가지고 관제를 격하시키죠. 2성을 첨의부로 충추원을 밀직사로 6부를 4사로요. 그런데 도병마사는 고려의 독자적인 기구로서 원의 관제와는 상관이 없는 기구였습니다. 그래서 원의 관제격하 대상에 포함되지 않죠.

  • 09.08.14 09:41

    도병마사를 도평의사사로 개칭하게 된 것은 무신정권 이후 도병마사의 구성인원 수가 크게 확대되고 임시기구의 성격이 강했던 도병마사가 대몽항쟁 중 상설기구의 성격으로 기존의 도병마사의 기능과 달라졌기 때문에 도평의사사로 기구를 확대개편하게 됩니다. 이후 도평의사사는 권문세족의 권력기관이 되고 공민왕의 개혁정치로 권문세족이 숙청되면서 신진사대부의 권력기관이 되죠. 도병마사의 기본적인 성격은 귀족의 세력강화이기 때문에 조선 개국 후 정종은 이 도평의사사를 혁파하고 의정부를 설치합니다.

  • 13.02.22 10:34

    도평의사사는 충렬왕때 만들어졌죠 그 구성원은 첨의부의 고위직인 재신과 밀직사의 고위직은 추밀이었죠
    즉 이들은 권문세족들 이었는데요... 왕권약화를 보여주죠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