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홀수 문화
홀수는 우리 민족정신문화(精神文化)의 깊은 뿌리다.
거슬러 올라가 보면, 까마득한 시절부터 조선의 혼(魂) 속에 묻혀 내려온 민족 문화(民族文化)다.
자연스러운 일상생활의 넉넉한 관습(慣習)에서 얻어진 지혜(智慧)의 소산으로
홀수는 딱 맞아 떨어지는 짝수에 비해서 넉넉하고 여유롭다.
홀수 중에서도 특히 < 3 >을 선호(選好)하고 있지만,
1, 3, 5, 7, 9 모두가 우리 생활 속 깊이 맥(脈)을 내리고 있다.
우선 국경일(國慶日)이라든가 명절(名節)이 모두 홀수 날이다.
뿐만 아니라, 때 맞춰서 돌아오는 절기(節氣)가 거의 홀수 날에 들어있다.
설날과 추석이 그렇고, 정월 대보름(1월 15일), 삼짇날(3월 3일), 단오(5월 5일),
칠석(7월 7일), 백중(7월 15일)이 그렇다.
9월 9일은 구중이라 하여, 남자들은 시(詩)를 짓고, 여자들은 국화 전을 부쳤다.
천고마비(天高馬肥)의 살찌는 계절을 즐기던 조상 님들의 흐뭇한 얼굴이 떠오른다.
생활 곳곳에 뿌리내린 3의 의미는 더욱 다양하다.
사람이 죽으면, 3일 장(葬) 아니면 5일 장(葬)을 치르는 것이 보통이지, 4일 장이나 6일 장 은 없다.
역시, 삼우제(三虞祭)가 있고, 49 제라는 추모(追募)의 날이 있다.
망자(亡者) 앞에서는 홀수 날을 택하여 최대의 예우를 지키는 것이 뿌리 깊은 전통이다.
심지어 祭物(제물)을 올려도 홀수로 올리지, 짝수로는 차리지 않는다.
돌 탑을 쌓아도 3 5 7 9 홀수 층으로 올렸을 때에,
시각적으로 안정감이 들면서 보는 마음을 편케 한다.
애기를 낳고 금 줄을 쳐도 세 이레(三七日) 동안 출입을 삼갔다.
신성한 생명을 지키면서 축복하자는 삼신 할미의 준엄한 고지(告知)다.
봉투에 돈을 넣어도 우리 서민들은 두 자리 수가 아닌 이상,
3만 원 아니면 5만 원을 넣었지 4만 원이라든가 6만 원짜리 기부 촌지는 보기 어렵다.
상납(上納) 금을 강요하는 교장이 교감에게 넌지시 말씀하셨다고 한다.
"짝수로 인사하는 법이 어디 있느냐? 여지 껏 그런 것도 모르느냐?"
호통을 치는 바람에, 백만 원을 더 얹어서 바쳤다고 한다.
죽일 놈 같으니라구!
이렇듯 3이라는 숫자가 우리들 생활 중심에서 축(軸)을 이루고 있다.
춥고 긴긴 겨울을 삼동(三冬)이라 했고,
무더운 여름을 건너가려면 삼복(三伏)을 견디어야 한다.
무리를 일컬어 <삼삼 오오>라 했고, 색깔을 이야기할 때도 삼원 색이 근원이다.
상고(上古) 시대에 우리나라 땅을 마련해 준 삼 신(三神)이 있다 하여 생명 신으로 섬긴다.
삼 재(三災)가 있는가 하면, 또 삼 재(三才)가 있다.
현대에는 시위 문화에서 삼 보 일 배(三步一拜)라는 것이 새로 생겼다.
간절하고 지극한 정성의 극치다.
가까운 이웃을 일컬어 삼 이웃이라는 좋은 표현이 있는가 하면,
잘하면 술이 석 잔, 못 하면 뺨이 석 대다.
힘겨루기 판을 벌여도 5판 3승 제를 하며,
만세를 불러도 삼 창(三唱)까지 해야 속이 후련했다.
짝수는 죽은 자(者)의 숫자란 말이 있고, 홀수는 산 사람의 숫자란 말도 있다.
그래서 제사상(祭祀床)에는 과일을 홀수로 올리고,
절을 두 번 하지만, 산 사람에겐 절을 한 번만 하면 된다.
삼 박자가 맞아떨어져야 목적한 것이 이루어진다는 믿음은 생활 속 곳곳에 숨어있다.
그만큼 3이라는 숫자는 우리 생활의 디딤돌이요, 구름 판으로 안정된 균형을 이루고 있다.
오늘도 즐겁고 행복하며, 삼삼한 하루 지내세요.
늘 감사합니다!
**이메일 받은 글 편집**
[출처] 🌟한국의 홀수 문화🌟|작성자 소중한 사람
<받은 글 옮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