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학적으로는 보통 12월에서 2월까지를 말하나 기온이나 강수량 등 여러 기후요소의 변화를 기초로 보면 겨울의 시작과 끝, 겨울의 길이 등은 장소에 따라, 해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절기상 겨울의 시작은 입동(立冬, 11월 8일)이고 끝은 봄이 시작되는 입춘(立春, 2월 4일)이다. 자연 계절로는 초겨울(일평균기온이 5℃ 이하이고 일최저기온이 0℃ 이하), 엄동(嚴冬, 일평균기온이 0℃ 이하이고 일최저기온이 -5℃ 이하)과 늦겨울(일평균기온이 5℃ 이하이고 일최저기온이 0℃ 이하)로 구분된다.
겨울의 시작은 북부 지방에서 빠르고 끝도 북부 지방일수록 늦다. 초겨울은 서울이 11월 27일, 대구가 11월 28일에 시작된다. 그리고 제주는 초겨울에도 일최저기온이 영하로 내려가지 않는다.
엄동은 서울이 12월 14일부터로 대구보다 2주일 빠르며 끝나는 날은 대구보다 3주일이나 늦다. 늦겨울은 서울이 2월 24일부터 3월 18일, 대구가 2월 6일부터 3월 14일까지로 2주일 가까이 대구가 길다.
겨울철 아시아 대륙 내부에 발달한 시베리아 고기압(시베리아 기단)은 동부 아시아를 지배한다. 기압의 배치는 전형적인 서고동저형(西高東低型)으로 강대한 시베리아 고기압으로부터 오호츠크해 부근의 저기압을 향해 북서계절풍으로 불어 나온다. 북서 계절풍은 기압차가 클수록 강하며 한랭건조한 바람이기 때문에 기온은 저하한다.
특히, 기온 저하가 클 때 한파(寒波)라 하고 한파는 겨울 동안 여러 번 내습하여 혹한의 날씨를 보인다. 한파가 후퇴하면 기온이 상승하고 저기압이 통과하기도 하며 이른바 삼한사온(三寒四溫)의 현상이 되풀이된다.
삼한사온은 결국 시베리아고기압의 주기적 성쇠에 의한 기온 변화이다. 삼한에 해당하는 동안은 한대의 추위를 무색하게 하는 혹한의 날씨를 보인다.
최한월(最寒月)인 1월 평균 기온의 분포를 보면 중강진 -20.8℃, 서울 -3.5℃, 서귀포 6.0℃로 남북 지역의 차는 26.8℃에 달한다.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갖는 0℃의 등온선은 동해안의 포항 북부에서 울산·마산·여수·목포를 지나고 있어 난대림(暖帶林)과 온대 남부림의 경계를 이루어 식물 분포·농작물 분포 등 중요한 경계가 된다.
우리가 경험하는 우리 나라의 혹한은 이러한 평균치보다 절대치로 그 강도를 실감할 수 있다. 우리 나라에서 저극기온(低極氣溫)을 나타내는 한극(寒極)은 중강진을 중심으로 하는 개마고원 일대에서 나타나고 있다. 중강진에서는 -43.6℃(1933.1.12.)의 기록을 남기었으며 강계·42.4℃(1927.1.23.), 혜산진 -42.0℃(1915.1.30.) 등 많은 기록이 있다.
1960년 이후 남한에 있어서의 최저기온은 양평에서 나타나고 있다. 즉, 1981년 1월 5일에는 양평 -32.6℃, 충주 -28.5℃, 원성-27.6℃를 기록하였으며, 1983년 1월 5일 양평은 또다시 남한의 한극을 나타냈다. 이러한 저극기온은 소한을 전후하여 나타나므로 이것을 소한추위라 하며, 실지로 더 춥다고 생각되는 대한보다 소한이 더 춥다.
이것은 겨울철에 한파가 내습하는 삼한(三寒)의 특이일(特異日, singularity)의 하나이다. 한파의 특이일은 12월 29일(세모한파), 1월 6일(소한한파), 1월 16일(대한한파), 1월 31일, 2월 12일, 2월 21일, 3월 7일(마지막한파), 3월 25일(되돌이한파 또는 꽃샘추위)이 있다. 그 사이에 사온에 해당하는 온난특이일(溫暖特異日)이 끼어 추운 겨울도 비교적 지내기 쉽게 한다.
겨울철의 강수량은 4계절 중 가장 적어 연강수량의 5∼10%에 불과한 건계(乾季)이며 겨울철 강수는 대부분이 눈으로 내린다. 가장 적설량이 많은 지역은 울릉도로서 지금까지 최심기록은 294㎝였다.
태백산맥의 오대산·대관령·설악산 등은 우리 나라 다설 지역의 하나로 매년 1m 이상의 적설을 기록하며 서울과 강릉을 연결하는 교통로를 막는 일이 빈번하나 스키·등산 등 겨울 스포츠를 즐길 수 있다.
겨울은 이와 같이 춥고 강수량도 적어 식물이나 농작물이 자라지 못한다. 사람도 기후의 영향을 육체적으로 정신적으로 크게 받는다.
한국인이 우리 기후 환경으로부터 받는 쾌적도(快適度, comfort index)나 스트레스를 데르중(Terjung,W.H.)의 방법으로 고찰하면 여름 더위로부터 받는 스트레스보다 겨울의 추위로부터 오는 스트레스가 더 커서, 겨울한랭도가 쾌적도를 좌우함이 알려졌다. 지역적으로 겨울이 따뜻한 남부 해안 지방이 쾌적도는 가장 높다.
<화개월령 花開月令>에 나타나는 겨울의 꽃으로는 동백과 매화가 있다. 동백나무는 겨울이 비교적 따뜻한 남부의 해안·도서 지방이나 울릉도 지방에서 자생한다. 동백은 동백(棟柏) 또는 동백(冬柏)으로 쓰며, 산다(山茶) 또는 춘(椿)으로 쓰기도 한다.
≪유양잡조 酉陽雜俎≫에 ‘산다’ 는 키가 크고 꽃의 크기가 치(寸)에 이르며 색깔은 붉고 12월에 핀다고 기록되어 있고, <본초 本草>에 ‘산다’ 는 남방에 나고 잎은 차나무를 크게 닮고 두꺼우며 능(稜)이 있고 한겨울에 꽃이 핀다고 되어 있다.
정약용(丁若鏞)은 “‘산다’는 기름을 짜서 머리에 바르면 윤기가 나고 아름다워서 부인들이 매우 소중하게 여기는 것이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서울과 같이 겨울 기온이 낮은 곳에서는 노지(露地: 지붕이 덮여 있지 않은 땅)에서 월동할 수 없으므로 화분에 심기도 한다. 경상남도의 거제도, 전라남도의 돌산도·흑산도 및 거문도, 충청남도의 서천과 경상북도의 울릉도 등지에는 지금도 동백나무 자생림이 우거져 있다.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窺巖)에 동매(冬梅)가 있으며 한겨울에 꽃이 핀다. 장미과의 소교목인 매화나무는 매실(梅實)이라고 불리며 중국 원산으로 관상용 또는 과수로서 심어진다. ≪매보 梅譜≫에 조매(早梅)는 동지 전에 피므로 조(早)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했다. 이처럼 매화는 한겨울에 그 지조를 나타내고 아울러 초봄까지 단장하는 꽃이다.
오리나무류의 꽃은 화려하지는 않으나 봄바람을 기다리지 못하고 성급하게 겨울 찬바람에 꽃망울을 틔운다. 수꽃의 이삭은 길게 늘어지고 암꽃의 이삭은 긴 타원형이며 2월말에서 3월초에 피어난다. 오리나무류 중 중요한 것으로 오리나무·물오리나무·산오리나무 등이 있다.
오리나무의 잎은 타원형이고 물오리나무의 잎은 거의 둥글고 엽저(葉底)가 심장형이며 수피(樹皮)는 적갈색을 띠며 거칠다. 산오리나무는 물오리나무와 매우 닮았으나 엽저가 설형(楔形 : 쐐기 모양)이고, 수피는 회흑색을 띠며 매끈한 편이다.
우리 나라의 산과 들에는 오리나무 종류가 많이 자라고 있다. 이들 나무의 꽃은 얼른 보기에는 꽃처럼 생각되지 않을 정도로 담담하다.
겨울과 봄의 계절의 전환점에 있는 꽃으로는 풍년화가 있다. 이것은 일본산으로 우리 나라에서는 주로 정원수로 심고 있으며 선명한 노란색의 꽃은 봄을 가장 빨리 알리는 꽃의 하나이다.
겨울에 피는 노랑꽃의 납매(臘梅: 섣달에 꽃이 피는 매화)는 중국 원산으로 향기가 있고 쓸쓸한 겨울의 풍경에 어울린다.
남쪽 도서지방에서 서식하는 팔손이나무는 상록의 활엽관목인데 잎은 손바닥 모양으로 갈라지고 두꺼우며 표면에는 광택이 있다. 화분에 심어져서 꽃집에 흔히 진열되는 것이다. 흰 꽃이 초겨울에 피고 둥근 열매가 다음해 5월쯤에 익는다.
만병초는 철쭉과에 딸린 상록활엽관목으로 잎이 긴 타원형이며 잎의 가장자리는 뒤로 젖혀졌고 혁질(革質: 식물의 표피 등에서 볼 수 있는 가죽과 같은 단단한 물질의 성질)이다. 표면에는 광택이 있고 잎 뒤에는 성상모가 매우 빽빽히 나 있다.
만병초의 흰꽃은 여름에 피지만 이 나무는 높은 산 숲 속에 나서 추운 겨울에도 푸르름을 잃지 않는다. 이 나무가 간직하고 있는 강한 기운이 약이 된다 하여 많이 이용되어 그 수가 크게 줄어 들었다.
겨울에 푸르름을 지니고 있는 것 중에는 겨우살이가 있다. 상록의 기생(寄生)관목인데 잎이 두껍고 긴 타원형이다. 가지가 Y자형으로 마주 갈라지는 특성이 있다. 참나무류·오리나무·팽나무·버들·매나무 등의 나뭇가지에 뿌리를 내려 기주(寄主: 기생 생물이 기생하는 동물 또는 식물)로부터 양분을 얻어 살아간다.
기주·수목의 잎이 달려 있을 때에는 겨우살이의 존재가 거의 나타나지 않으나 잎이 떨어지고 겨울이 오면 그 모습을 뚜렷이 드러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