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고(史庫)의 역사
실록을 사고에 보관하기 시작한 시기는 고려시대부터였다. 특히 고려 후기부터는 실록의 완전한 소실을 막기 위해 수도인 개경에 내사고(內史庫)를,지방에는 외사고(外史庫)를 두어 2원 체제로 운영하였다.조선시대에 들어와서도 그 방식은 계승되어, 조선 초에는 한양의 춘추관 사고와 지방의 충주 사고라는 2원체제로 운영되다가,세종대에 경상도 성주 사고와 전라도 전주 사고를 추가하여 4사고 체제가 되었다.
조선 전기의 4사고는 사람들의 왕래가 빈번한 서울과 지방관이 거주하는 읍치(邑治, 읍내)에 위치해 있었다. 따라서 화재 등으로 사고의 서책들이 몇 차례 수난을 당했다.특히 임진왜란은 사고의 위치에 대해 재인식을 하는 계기가 되었다.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이곳 요지들은 왜군에게 점령되었고,그에 따라 전주 사고를 제외한 모든 사고의 서적은 불타 버렸다.전주 사고의 책들이 보존될 수 있었던 것은 손홍록(孫弘綠),안의(安義)와 같은 지방 유생들의 헌신적인 노력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전쟁이 끝난 후 사고가 지역 중심지에서 험준한 산 위로 올라간 것은 바로 이러한 경험 때문이었다.여러 곳에 분산하여 보관함으로써 완전한 소실은 면했지만 교통이 편리하고 사람의 왕래가 빈번한 지역은 자료를 완벽하게 보존하기가 훨씬 어렵다는 사실을 깨달았던 것이다.
조선 후기에는 5사고 체제로 운영되었다.서울의 춘추관 사고를 비롯하여 강화도의 마니산 사고, 평안도 영변의 묘향산 사고,경상도 봉화의 태백산 사고, 강원도 평창의 오대산사고가 그것이다.실록의 편찬을 담당했던 춘추관이 서울에 있었으므로 춘추관 사고를 서울에 두는 것은 불가피했지만 그외의 사고는 모두 험준한 산으로 둘러 싸인 곳에 위치시켰다.그러다가 마니산 사고는 병자호란으로 크게 파손되고 1660년(현종 1)에 불까지 나면서 인근의 정족산 사고로 이전했고,묘향산 사고는 후금(뒤에 청나라)의 침입을 걱정하여 전라도 무주의 적상산 사고로 이전했다.따라서 지방의 4사고는 정족산 · 적상산 · 태백산 · 오대산으로 확정되었으며, 이 4사고 체제는 조선이 멸망할 때까지 그대로 유지되었다.
출처 : [기타] <<조선 왕실 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출판사 인용
마니산 사고지
조선시대 사초를 보관한 사고중 마니산 사고지다, 지금의 인천시 강화군 화도면 덕포리 1335번지 근처 서재곡이라고 적혀 있는 이곳 덕포리 이장님은 시족골이라 부르셨다, 덕포리 뒷산 초피산과 마니산 사이 계곡을 타고 내려와 앉아 있는 재궁터 는 내 키만큼이나 큰 억새가 흰물결로 넘실거리는 바람에 출령이며 400여년 전 정족산으로 실록을 옮기면서 지금까지 공터로 남아있는 1335번지 밭으로 화도면은 기록하고 있었다, 덩그라니 집한채가 있어서 들여다 보니 그림그리는 분이 사시는 것 같아 아마 지금은 사유지일꺼라는 생각도 해 보았다, 제법 긴 돌담이 있고 다른 흔적은 찾아 볼 수 없는 양지바른 야트막한 마니산 기슭이었다,
초피산, 마니산, 상봉
산행코스: 덕포리 사고지-초피산-마니산- 상봉-선수 도상거리 : 11.5키로
2009년 11월 22일
혼자서
400여년 전 선두포 뚝을 막기 전에는 배가 드나들던 포구 마을로 오고가는 사람들로 인해 손님들을 상대로 떡을 팔아 부자가 되었다고 하며 떡장수가 많아 떡포리로 부르다가 덕포리가 되었다는 덕달, 머겸, 양지촌, 윗말, 신촌이 모여사 는 넓은 들판을 가진 시골이었다, 산모양이 붓끝과 같이 뾰족하다고 하여 초피산이라 부른다지만 덕포리에서 바라다 보이는 초피산은 하늘구멍을 낼 듯 보인다,
덕포리 뒤 상수도 보호구역으로 입수금지 표지판을 세워놓인 개천을 건너 초피산으로 올랐다, 낙엽이 벌써 땅위에 쌓 이고 나무는 벌거벚은 알몸으로 계절은 겨울이었다, 길은 있는 듯 어느 순간 길은 없어져 직등하려 했던 내 욕심이 앞 섰는지 오를수록 경사가 급하고 돌로 쌓인 산이었다, 높이는 300미터도 안되는 산인데 유난히 뾰족한 산을 올려다 보 면 오를 수가 없으니 어찌된 산인가 싶었다, 하는 수 없이 돌산을 오른쪽 사면으로 돌고 돌아 무서운 공포로 부터 오르 고 보니 너른 전망대가 있었다,
산으로 둘러싸인 덕포리가 보인다. 산에서 내려다 보이는 우리가 살고 있는 보금자리를 쳐다보면 신기하리 만큼 꾸며져 있다, 이미 추수가 끝나 바둑모양처럼 사각을 이루고 있는 논과 구불구불 산아래 펼쳐있는 밭을 일구며 사는 옛날에는 배가 드나드는 포구였다는 것조차 믿어지지 않았다, 왼쪽 산기슭 아주 작게 주홍지붕이 보이는 곳 사고지도 이곳에서 눈에 들어왔다, 진강산이 흰구름에 숨박꼭질 하는 듯 숨었다 살짝 내민다,
공부를 하지 않고 달랑 지도만 가져온 나는 고생한 댓가를 받았다, 쉽게 오를 수 있는 길이 있었는데 바위산을 씨름하고 서야 올랐으니 어찌 얕은 산이라 하겠는가 싶었다, 조그마한 돌탑이 이 곳을 찾는 산님들에 남겨진 증표였을 꺼고 초피 산이라 이름표를 달고 있는 나무도 초피산을 알리고 있었다, 낑낑거리며 검은 바위에 매달렸던 바로 전 큰바위들로 뭉 쳐 있는 초피산은 검은 바위산으로 지질학적으로 화강암으로 부르지 않을까 했다,
초피산과 마니산 사이 시족골이 내려가 닿은 사고지고 조그맣게 보인다, 태백산 사고지는 높고 험한 계곡을 택했었다면 이곳 마니산 사고지는 얕은 곳이었다,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왕족들이 유배되었던 곳이기도 한 강화도이고 보면 쉽게 오갈 수 없는 섬이기도 했을 거라 이곳에 실록을 보관하려 했던 이유인지 모른다,
나는 마니산을 여러번 왔었지만 사고지를 공부하며관찰했기에 덕포리도 알았고 시족골의 역사적 가치가 소중했던 만큼 내 마음도 많은걸 알게 해준 산행이었다,
이 산줄기를 타고 내려가다 보면 정수사가 보이고 분오리 돈대가 있는 산끝이다, 소나무숲이 있는 동막해수욕장은 여름한철 많은 사람들이 붐빈다, 남쪽으로 섬중에 섬 장봉도와 신도도 보일것 같은데 온통 이곳 강화도는 희뿌연 구름으로 덮혀 비가 올듯 하기도 하고 아주 좁쌀만한 싸락눈이 내리기도 한다,
강화의 동쪽은 강이 둘려 있고, 서남쪽은 바다가 둘려 있어 부 전체가 큰 섬이며 한양 수구의 나성이 되었다라고 택리지는 쓰고 있었다, 기후의 변화도 심하여 싸락눈이 내리다 그치고 햇빛이 잠깐 비추기도 하지만 잠시였다, 사면이 수면으로 싸여 있는 이유에서 일까 날씨가 변덕을 부린다, 지나온 초피산을 되돌아다 보니 온통 회색빛 구름속이었다,
집에 와 마니산 선답자의 자료로 보아 근처 세워진 바위에 열십자로 세겨져 있는데 어느 곳에 있는걸까, 강화군 에서 세워놓은 표시도 없고 ,,, 자꾸만 궁금해졌다,
참성단 중수비
강화 유수가 관내를 순찰하다가 마니산에 올라 참성단이 무너진 것을 보고 보수 하도록 내용을 담고 있다고 쓰여 있는 한자로 되어 있는 가파른 암벽면에 글자가 눈으로 보아선 알수가 없게 흐미해 있다,
첨성대 병자호란, 병인양호, 신미양요 등 외세의 침략으로 인한 상처도 컷지만 마니산과 고려산, 길상산 등 험준한 산이 모여 강화라는 섬을 지킬수 있었는지 모른다, 그러기에 지금 여기 서 있는 나도 서해바다를 보면서 마음이 넓어지고 걸 어가는 날등위에 박혀진 쇠말뚝을 탓하지 않는 너그럼도 포옹할 수 있지 않았을까,
선수하면 떠오르는 단어는 벤뎅이회다. 20여년 전 난 선수에서 벤뎅이회를 처음 먹었을때 생각이 난다, 울 아이 아장아장 걸을 때쯤 같다, 연안부두에 상가를 거금 주고 분양받았는데 몇 년이 지나 건물은 완공되지 않았고 사업자는 철창에 갇혀 같 은 회원들과 논의하고 뛰었던 분이 선수에 살았었다, 그 때 회원들끼리 선수로 초대해 벤뎅이회를 난생처음 먹었던 기억이 났다, 세월이 20년을 훌쩍 넘었으니 그 분도 아마 할아버지가 되었겠지,
첨성대를 지나면서 선수로 가는 나무계단을 단군로라 하였다. 어데까지 정확한 표시는 없는데 나는 선수 후포항 산줄기 끝나는 데까지 가련다,
강화도에는 많은 돈대가 있다, 돌로 쌓아 놓은 적의 움직임을 살피거나 공격에 대비하기 위하여 영토내 접경지역 또는 해안지역의 감시가 쉬운 곳에 마련해 돌로 쌓아 놓았다, 강화도의 역사적 아픔 많아서일까, 구름이 변하여 비가 많이 내린다, 돈대가 많아서 고풍스런 고도로서의 정취가 풍기는 이 산을 내려갈때 까지 비는 그치지 않았다,
겨울비답지 않게 보슬보슬 예쁘게 내리던 비가 후포항을 내려서서야 그쳤다 멀리 석모도가 보일 것 같은 눈길도 바로 내려다 보이는 서해바다도 온통 구름빛으로 물들어 있었다, 어쩌면 이 구름빛이 강화도의 숱한 아픔의 현장 을 대변해 주는 색깔인지 모르겠다,
왜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가장 안전한 곳으로 사고지를 택했었던 마니산 기슭 사고지는 흔적도 지우려는지 아무런 말이 없었다, 침략군의 접근을 막기에 용이할 수 있던 바닷물을 가르는 갯벌 또한 강화도를 지켜온 자연그대로가 좋은데 밭을 만들 고 집을 짓고 거기에 호화팬션과 대학교와 관광객들로 인해 옛강화를 잃어가고 있었다,
|
첫댓글 자료준비 많이 하고 갔구요. 역사속의 강화도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파란 만장한 강화도 그래서 역사속으로 백업 했다면 또 다른 우리의 역사가 되지 않을까? 시장의 원리인가 10년전 강화도에는 모텔 허가를 내주지 않는다고 자랑스럽게 얘기 했는데 ....
몸도 좋지 안으면서 산에 대한 열정 대단하다. 강화가 넘 마니 도시화 되어가는 모습보면 안타까워 옛 모습 그대로가 조은데.... 담 산행지는 어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