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ullsoft MIDI plug-in v0.60 (x86) [IN_MIDI.DLL] : 미디 디코더 설정 이 플러그인은 윈엠프가 미디파일을 디코드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 플러그인을 선택하고 설정버튼을 누르면 [MIDI settings] 대화상자가 나오는데, 첫 번째 체크박스는 vis 샘플을 자신의 사운드카드로부터 받을 수 있게 해줍니다. 자신의 사운드카드가 44khz에 16비트 스테레오 녹음이 가능해야 합니다. 두 번째 체크박스는 미디파일이 연주될 때 하드디스크에 저장할 지를 묻는 대화상자가 나타나게 합니다.
+ Nullsoft MPEG Audio Decoder plug-in v2.28 (x86) [IN_MP3.DLL] : MPEG Decoder 설정 이 플러그인은 윈엠프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중요합니다. 윈엠프에게 MP3파일을 어떻게 디코드할 지를 알려주는 부분이거든요. 3개의 탭으로 나뉘어 있죠.
. General File types 이 박스에서는 Nullsoft MPEG audio decoder로 디코드할 수 있는 MPEG layer 데이터 파일의 형식을 지정합니다. 디폴트 값으로 III와 II가 가능토록 되어 있지만 Layer I도 지정할 수 있죠. 혹시 다른 확장자로 되어 있는 MPEG Layer 파일이 있으면 additional extentions 박스에 지정할 수 있습니다.
Default thread priority Decode Thread Priority 박스에서는 파일을 디코딩 할 때 CPU를 얼마나 쓸 지를 지정합니다. 이 값을 낮게 해 놓으면 파일을 연주할 때 튀는 듯이 들릴 수도 있죠.
ID3 v1 Title Formatting 윈엠프는 엠피3 파일 속에 있는 ID3 정보에서 곡의 이름이나 타이틀에 관한 정보를 얻어 플레이어와 플레이리스트에 나타낼 수 있습니다. 여기서 그 내용을 지정하는 거죠. 각각의 포맷은 위 그림에 나타나있죠. 다만 %% - % 자체를 나타내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디폴트로 되어 있는 "%1 - %2"는 "가수 - 곡명"으로 나타나게 하라는 겁니다.
. Decoder Output 이 박스에서는 MP3 파일을 디코드하여 연주할 때 CPU에 얼마나 부하를 줄 것인가를 조절합니다. CPU의 부하를 줄이느냐, 음질을 손해보느냐를 정하는 거죠. 첫 번째, Allow stereo output을 끄면 스테레오로 녹음된 MP3 파일도 모노로 연주하는 대신 CPU의 부하는 반으로 줄어듭니다. 두 번째, 16-bit output을 끄면 오래된 사운드카드가 8비트로 연주하도록 하죠. 세 번째인 Reverse stereo는 왼쪽과 오른쪽을 서로 바꿔서 출력하게 합니다.
Quality 이 박스에서는 윈엠프가 MP 파일을 디코드할 때, 모두(Full) 할 것인지 혹은 반(Half)만 할 것인지, 1/4(Quater)만 할 것인지를 정합니다. 물론 수치를 낮출수록 CPU의 부하는 줄어들죠. 486인 경우에는 half 혹은 quater로 하면 무난합니다.
Full File Buffering 이 박스 안에 있는 KB 수치보다 작은 크기의 파일은 한번에 버퍼(메모리)에 읽어들여 연주하게 합니다. 자신의 램이 크다면 이 수치를 높여서 더 부드러운 연주를 들을 수 있습니다. 한번에 얼마나 많은 프로그램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다르겠지만 자신이 64M의 램을 갖고 있다면 이 수치를 4,000Kb 정도로 하여 음질을 좋게 할 수 있을 겁니다.
Decoder Mode 이 박스에서는 자신의 CPU에 맞는 디코더 모드를 정할 수 있습니다. Penitum MMX/II/III중 하나를 갖고 있다면 MMX / Pentium II/III를 선택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 Streaming 이 탭은 MP3 오디오 방송을 위한 것입니다. MP3 오디오 방송은 일반적인 HTTP나 Microsoft의 NetShow, 그리고 Nullsoft의 SHOUTcast를 통해서 인터넷으로 MP3 형식의 음악을 보내면 윈엠프가 이를 받아 연주하는거죠. 일반 라디오 방송과 같이 생각하시면 될겁니다.
Streaming Data Buffer 일반적인 버퍼와 마찬가지로, 인터넷을 통해 오는 데이터를 얼마나 버퍼링하여 들려주는가를 정하는 것이죠. 이 크기를 크게 하면 음이 끊기는 현상을 줄일 수 있습니다.
Streaming Prebuffer 이 박스의 슬라이드바로 prebuffer 값을 조절함으로써 인터넷 트래픽으로 인한 방송의 끊김을 줄일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슬라이드바는 방송 청취를 시작할 때 얼마나 파일을 받고 시작할지를 결정하는 것이고, 두 번째 슬라이드바는 연결이 끊겼을 때 얼마나 프리버퍼에 할당할 지를 정하는 것이죠. 이 값을 크게 하면, 방송이 나오면서부터는 끊김이 적어지지만 연결된 후 방송이 들릴 때까지의 시간은 좀더 걸리게 됩니다.
SHOUTcast titles 이 박스는 SHOUTcast 방송이 시작될 때 곡명을 담은 스트림(방송)을 받을지의 여부를 정하는 겁니다. 느린 인터넷을 사용하는 사람은 끄는게 좋습니다. 굳이 곡명에 대한 설명이 필요 없다면요.
Saving 인터넷 방송을 통해 듣는 곡을 파일로 저장하고 싶을 때 설정합니다.
+ Nullsoft VOC/WAV plug-in v1.21 (x86) [IN_WAVE.DLL] : Waveform Decoder Configuration 이 플러그인은 WAV 형식의 파일을 디코드하는 것이죠. Configure 버튼을 누르면 작은 창이 나오는데, 여기서 슬라이드바를 움직여 디코드할 때 CPU 우선권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Prompt to save streamed files를 켜서 인터넷을 통해 웨이브 파일을 들을 때 저장할 수 있죠.
+ Nullsoft CD/LineIn plug-in v1.5 (x86) [IN_CDDA.DLL] : CD/LIne Input Plug-In Configuration 이 플러그인은 윈엠프가 일반 음악씨디나 일반 오디오로부터의 입력을 사운드카드를 통해 바로 연주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일반 오디오로부터의 Line-In을 컴퓨터로 듣고 싶다면 Ctrl+L을 눌러서 URL 대신 "linein://"이라고 쓰면 됩니다. 윈엠프로 일반 음악씨디를 듣고 싶으면, 음악씨디를 씨디롬 드라이브에 넣고 일반 MP 파일처럼 생각하고 하면 됩니다. 음악씨디를 자동으로 연주하게 설정한 경우에는 바로 윈엠프가 연주를 시작할거구요. 곡명은 CD Track 1처럼 나타납니다. 이 플러그인의 또 다른 기능은 인터넷을 통하여 CD Database(CDDB, www.cddb.com)에 연결할 수 있다는거죠. 그 싸이트의 컴팩트 디스크에 수록된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 Nullsoft Module Decoder v1.3 (x86) [IN_MOD.DLL] : Module Decoder Configuration 윈엠프가 모듈(MOD)파일을 연주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플러그인입니다. 모듈파일이란 미디파일과 디지털화된 음악간의 교잡종이라고 할까요.. 미디 같은 씬디싸이즈 악기를 쓰는 대신, 모듈파일은 그 악기를 대신한 샘플을 사용하여 연주합니다. 이 형식은 예전 아미가 컴퓨터 시스템에서 유래되었죠. 탭이 두 개 있습니다.
. Player Player탭에서는 MOD파일을 디코딩하는 여러 가지를 설정합니다. Song Looping 이 박스에서는 각 트랙을 몇번 반속할지를 정합니다. 기본값은 0으로 되어 있구요.
Decode Thread Priority 디코드할 때 얼마나 CPU 부하를 줄 것인지를 슬라이드 바로 조절합니다.
Streaming Prompt to save MODs라는 체크박스가 있는데, 인터넷을 통해 듣는 MOD 파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거죠.
Advanced Panning Options 이 박스에는 스테레오로 디코드할지 모노로 디코드할지를 조절하는 슬라이드바가 있습니다. 기본값은 MOD 파일을 만드는 프로그램인 tracker를 따라 S3M은 80%, 다른 파일들은 100%로 마추어져 있습니다. Disable 8xx Panning Effects 체크박스는 왼쪽 스피커에서 제대로 소리가 안나올 때에만 설정합니다.
. Mixer Mixer 탭에서는 모듈파일을 디코딩할 때 좀더 자신의 취향에 맞는 소리를 듣기 위해 사용할 믹서를 설정하는거죠. 자신의 시스템이 좀 후질(?) 때에 유용합니다.
Output Mode Stereo Output, 16-Bit Output, Surround Sound의 세가지 체크박스가 있습니다. 서라운드 사운드는 자신의 사운드카드가 지원하고, MOD 파일 자체가 서라운드음향으로 되어 있어야 가능하겠죠?
Mixer Mode 자신의 CPU에 맞게 선택합니다. 486이면 Standard에, MMX면 MMX에..
The Mixer Voices 믹서가 실제 사용할 최대 오디오 채널수를 조절합니다. 일부 곡이 CPU를 너무 많이 사용할 때에는 이 수치를 낮추는게 좋습니다.
Output Quality 디코드되는 MOD 파일의 음질을 조절합니다. 위쪽의 슬라이드바는 오디오 스트림의 주파수(Hertz)를 조절하는 겁니다. 이 수치가 높을수록 CPU가 더 세밀하게 디코딩합니다.
Interopolation Interopolation을 끄면 CPU가 믹싱에 쓸 수 있는 CPU time이 없어지기 때문에 믹싱 퀄리티는 높아지지만 음질은 떨어집니다. Clickless Mixing 음질을 개선시키는 micro volume-ramping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러한 플러그인 외에 아래와 같은 플러그인이 기본적으로 장착되어있다. + AudioSoft as Plug-in v1.30(x86) [IN_ASFS.DLL] + Nullsoft WINAMP/WMA Plugin v1.00 (x86) [IN_WM.DLL] + Mjuice Secure MP3 Decoder (x86) [IN_MJF.DL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