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Ⅰ. 국어와 우리의 삶
1. 국어 생활과 사회·문화
(1) 언어와 사회·문화
(2) 국어와 한국의 사회·문화
학습목표
1. 언어와 사회·문화와의 관계를 안다.
2. 언어와 사회적 중요성을 안다.
3. 국어와 한국 문화 현상의 관계를 안다.
4. 국어에 반영된 한국 문화의 특징을 이해한다.
5. 국어의 사회 문화적 가치를 실현한다.
1. 언어의 변화와 사회의 변화
언어는 구성원들 간의 사회적 약속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언어는 당연히 그 사회의 특성을 반영하게 된다. 곧 그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약속을 새로 만들거나 혹은 이전의 것을 바꾸어 가기도 하는 것이다.
(1) 예전에는 우리 사회가 필요로 했던 것들을 주로 중국을 통해서 받아들였다. 그래서 우리 말에는 한자어가 상당히 많다.
(2) 요즈음 선진 기술은 주로 영어를 통해서 수입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 영어에 뿌리를 두고 있는 신조어(新造語)들이 많이 생기고 있다. 예를 들면 '디지털, 아날로그, (선물)세트, (신용)카드, 채팅, 인터넷, 빅딜, 웹 페이지, 하이퍼 텍스트' 등이다.
(3) 원래 양반(兩班)이란 말은 고려 시대이래 동반(東班)과 서반(西班), 곧 문무(文武) 관리들을 일컫는 말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계급 제도가 사라지면서 약속이 바뀌어서 이제는 점잖은 사람을 일컫거나 혹은 남자를 대접하여 일컫는 말로 사용된다.
(4) 같은 민족이라도 서로 왕래가 없는 단절이 오래 지속된다면 서로간의 사회적 약속이 달라질 수 있다.
북한은 정치 제도가 사회주의 체제이므로 이와 관련된 새 말이 많이 생겼다.
[예] ① 정치 분야 : '수령, 지도자 동지, 현지지도, 사로청, 반동분자, 선동사상, 혁명군대, 자아비판, 동무, 천 삽 뜨기 운동' 등
② 경제 분야 : '밥공장, 협동 농장, 식량보급소, 로동영웅운동, 직업동맹' 등
③ 문화 및 예술 : '인민 배우, 혁명 가극' 등
남한의 언어와 북한의 언어와의 이질화 현상
① 같은 의미를 다른 형태로 표현하는 말
② 형태는 같은데 의미가 다른 말
2. 언어의 본질
(1) 기호성(記號性) : 언어는 일정한 의미의 내용을 일정한 음성형식에 담은 기호이다. 그래서 언어를 '음성 기호의 체계'라고도 한다.
(2) 사회성(社會性) : 언어가 하나의 언어로서 인정을 받으려면 일정한 의미는 일정한 음성과 결합하여 사용하기로, 그 사회구성원들의 약속이 성립되어야 한다. 그런데 이 의미와 음성의 결합은 필연적 관계가 아닌 자의적 결합에 의한 것이다. 이러한 언어는 사회적 관습이며, 세대에서 세대로 전수되고 발달하는 사회적 유산으로 한 개인의 주관에 의해서 임의로 바뀔 수 없다. 따라서 새로운 말이 언어로서의 자격을 얻기 위해서는 사회적 공인을 받아야 한다. 이와 같은 언어의 특성을 언어의 사회성, 또는 불역성(不易性)이라 한다.
(3) 역사성(歷史性) : 언어가 그 사회 구성원의 약속에 의해 성립된 관습이라 하더라도 인문의 발달과 인간 사회의 제반 요소들의 변화에 의해 언어도 시간의 경과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한다. 새로운 말이 생겨나기도 하고(신생), 쓰이던 말이 없어지기도(사멸) 한다. 이러한 언어의 특성을 언어의 역사성이라고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언어의 신생, 성장, 사멸도 사회적 공인을 받아야 한다.
이와 같은 언어의 변화는 어휘, 음운, 문법 등의 언어의 제반 요소에 모두 일어나는데 그 중 변화가 가장 두드러진 것은 어휘의 변화다. 어휘 면에서 이와 같은 변화를 다음의 예에서 볼 수 있다.
(4) 자의성(恣意性), 임의성 : 언어의 형식인 음성과 내용인 의미와의 결합은 필연적이거나 절대적이 아니고 자의적, 임의적이다. 따라서, 한 사물(내용)을 일컫는 언어 기호(형식)는 언어마다 다르다. 이러한 언어의 성질을 자의성이라고 한다.
(5) 체계성(體系性) : 언어 기호가 모여서 일정한 의미를 전달할 때, 언어 기호들은 하나의 체계를 이루고 일정한 규칙에 따라 배열되며 일정한 질서 아래 실현된다. 음운 조직, 어휘 체계, 문법 체계 등이 다 언어의 체계적 단위들이다. 구조의 관점에서 보면, 의미와 관련하여 '형태소 → 단어 → 어절 → 문장' 등으로 체계를 이루고, 음성과 관련하여 '음운 → 음절'로 체계를 이룬다.
1. 언어와 사회·문화(p22∼p26)
∇ 은어(隱語) : 어떤 특정한 집단에서 자기네들끼리만 통하는 비밀어로 사용되는 말. 즉 다른 집단의 무리들이 모르도록 뜻을 감추어 붙인 말이다. 따라서 이런 말은 같은 동아리의 결속은 가져올지 모르나 다른 집단에게는 소외감을 느끼게 할 수 있다. 이를 '변말'이라고도 하는데, 이것이 보다 일반화되어 일반 대중 속에서 사용되면 은어로서의 의의를 잃게 되며 국어생활이 문란해져 국어 순화의 대상이 된다.
청소년이 주로 사용하는 은어(隱語)
[지칭하는 용도로서의 은어]
·범생이-모범생, ·왕따-따돌림 받는 아이, ·깔따구-남자친구, ·깔-여자친구, ·에끼-애인,
·담탱이-담임선생님, ·꼰대-대장, 우두머리, ·깔쌈하다-멋져보인다, ·글빡-머리
[놀이, 활동에 대한 은어]
·뾰봉실-오락실. ·만방-만화방, ·비방-비디오방, ·꽈대기-가스, ·뽀대기-본드,
·야리까다-담배피다, ·뽀리다-훔치다, ·사발치다-거짓말하다, ·재끼다-밤새껏 놀다
[감정이나 심리상태를 표현한 은어]
·쪽팔리다-창피할 때, · 쌩까-모른체하다, ·짜져, 버쪄-보기 싫으니까 사라져,
·꼽살린다-못살게 군다, ·존나-매우, ·벙찌다-황당하다, ·갱기다-반항하다
[성이나 폭력에 관한 언어]
·생짜-성 경험이 전혀 없는 아이, ·후다-성 경험이 많은 아이
·산 탄다-애들을 때리러 간다.
[기존단어에 다른 뜻을 넣어 사용하는 은어]
·만두집-오락실, ·새우깡-담배, ·AIDS-담임선생, ·재봉틀-여자 앞에서 벌벌 떠는 남자,
·간판-얼굴, ·토끼-본드
대학생들 사이에서 사용하는 은어(隱語)
·캠퍼스 커플(CC)-침팬지 커플 ·오리엔테이션(OT)-옥의 티
·엠티(MT)-AT(Animal Training) ·형광등-부팅이 잘 안 된다
·여자관계를 청산했다-하드 디스크를 포맷했다 ·실수를 저질렀을 때-바이러스에 걸렸을 때
숫자 은어(隱語)
·177155400-나는 당신이 그리워(I miss you) ·1212-홀짝홀짝 술 마시러 가지는 뜻
·042-영원히 사랑해 ·5454-오빠 사랑해
·1052-사랑해 ·045-빵사와
·4444-죽어 ·827-빨리 연락해
·678-육체파
"나쁜 영화" 보기 위한 은어
·구라치다-거짓말하다 ·하이방까다-도망치다
·봉카-오토바이 ·쑈바-오토바이 뒷 좌석
·뽀리까다-도둑질하다 ·진퉁짝퉁-진짜 가짜
·난장까다-돈도 없이 이러 저리 돌아다니거나 잠자다
·아리랑 떡-술 취한 사람을 구타하고 돈을 빼앗는 짓
·사이즈-딱 내 것이다 ·피지리-양아치
∇ 신조어(新造語)
사회가 변화하면 언어도 변하게 된다. 왜냐하면 사물이 새로 생겨나며 개념(槪念)이 창출되기 때문이다. 또한 기존 어휘의 표현력이 감소했을 때 그것을 보강하거나 신선한 새 맛을 가진 말로 바꾸기 위해 새말 즉 신조어(新造語)는 발생하는 것이다. 국립 국어 연구원에서 조사한 1994년과 1995년에 조사한 신조어(新造語)의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괘심죄, 기름띠, 깜박이, 끼워팔기, 눈높이, 녹즙기, 부가 가치, 대화형 매체, 통신망, 분리 수거, 우르과이 라운드, 그린 라운드, 노트븍 컴퓨터, 님비, 레게, 록카페, 마마보이, 멀티 미디어, 깜짝쇼, 돈 세탁
·가상 현실, 간판스타, 개인 휴대 통신, 게임광, 광케이블, 네티즌, 도우미, 땀복, 레포츠, 무공해, 물류비, 사이버스 페이스, 속도광, 어학 연수, 역귀성
위에서 보듯이 사회가 첨단 정보 사회로 변모하는 양상이 언어에 반영되고 있으며, 환경문제가 대두되면서 이와 관련된 언어가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처럼 신조어(新造語)는 사회 변동 현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언어는 사회 변동 현상을 반영하고 있다 하겠다.
∇ 언중(言衆)과 언어 사회
언중(言衆)이란 동일한 언어를 사용하는 집단을 말하며 언어 사회(speech community)란 동일한 언어로써 의사를 소통하며 공동생활을 영위하는 집단, 즉 언어 공동체를 말한다. 엄밀한 의미에서 동일한 언어는 존재하지 않으며 실제로는 언중(言衆)의 시대, 지역, 연령, 송별, 직업 계층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이(變異)하고, 그 범위를 규정하는 객관적 기준이 없어 상대적인 가치를 가지는 개념이다. 이러한 변이 속에서도 공통적인 언어생활이 유지되는 것은 언중의 언어경험에 공통핵(Commmon core)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크게는 한 언어권, 한 민족, 국가에서부터 작게는 학생집단 등 소집단도 언어 사회의 한 단위로 볼 수 있다.
∇ 언어의 의미 변화와 사회 변화
(1) 사회적 원인의 의미 변화
의미변화에 미치는 사회적인 영향과 원인으로서, 사회계층이나 사회 조직의 변화 등을 고려할 수 있다. 이 중 사회 조직의 변화로 일어나는 의미 변화는 역사적인 원인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① 사회적인 계층에 의한 의미 변화
언어에는 사회적 성층(成層=계층)이 있으며, 한 성층 집단의 단어가 다른 성층 집단으로 옮겨질 때 단어의 의미는 변화한다.
이 경우 사회적 범위의 확대와 축소의 두 가지가 있다. 말의 사회적 범위의 확대인 일반화(一般化)는 대체로 의미의 확장 곧 지시와 유효의 범위의 확대에 대응되며, 축소는 의미의 기축을 초래하는 전문화, 특수화에 대응된다.
㉠ 의미의 일반화
특수한 사회집단의 언어가 일반적인 용법에 차용(借用)되거나 보다 넓은 사회 집단에 의해서 채택되어 새로운 일반적 의미를 가지게 될 때에는 결과적으로 의미의 일반화, 의미의 확대 현상, 경우에 따라서는 의미의 향상이 일어난다.
[예] (학술계) ― ――――――――――――――→ (일반사회)
↓ 성층의 변화 ↓
[박사 → 학위개념] --------------------→ [박사 → 권위자]
의미의 변화
·대장 : 계급 중의 하나 →최고인
·사령탑 : 군함에서 사령관→감독
㉡ 의미의 특수화
의미의 일반화 현상에 비하여 특수화 현상은 보다 광범위하게 이루어진다.
[예] (일반사회) ―――――――――――――→ (특수사회)
↓ ↓
출혈 : 피가 남 손해(경제 사회)
복음 : 기쁜 소식 그리스도의 가르침(기독교 사회)
② 사회적인 구조의 변천에 의한 의미 변화
이는 사회적인 구조가 역사적으로 변천함에 따라 의미변화가 일어나게 된 현상을 말한다. 사회적인 계층에 의한 변화가 공시적(共時的)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면 이 경우는 사회적 사실(事實)을 반영하는 통시적(通時的)인 의미 변화에 해당된다.
[예] ·대감(大監) : 무관 직명(신라)
↓
정 2품 이상의 관리에 대한 존칭(조선)
↓
높은 관리직에 있는 사람의 호칭이나 존칭
역사적 원인의 의미 변화
① 지시물의 실제적 변화
㉠ 지시물의 발달로 명칭과 개념의 연합 관계가 변한 것.
< 배 > < 배 >
↓ ↓
거룻배 거룻배, 돛단배
》의미의 확대 ――――→《
돛단배 발동선, 증기선
㉡ 지시물에 대한 정적 태도의 변화
[예] ·감옥소(죄인을 가두고 감시함) → ·형무소(죄인의 자유를 빼앗는 곳) → ·교도소(올바르게 이끄는 곳)
·열등아(지적 능력이 모자라는 아동) → 지진아(지적 발달이 느린 아동)
언어적 원인의 의미 변화
① 생략(省略)
·콧물 → 코 : 코가 흐른다.
·머리털 → 머리 : 머리를 깎는다.
·아침밥 → 아침 : 아침은 드셨습니까?
탐구활동
교실 안에 있는 교구 교재들을 다른 이름을 붙여 보고 이를 통하여 언어가 사회적 약속임을 확인해 봅시다.
·칠판( ) ·의자( ) ·책상( ) ·게시판( )
<예시 답안> 칠판 → 필기장, 가르침 판, 배움 판 ·의자 → 몸걸이 등받이 엉덩판 등으로 이름을 붙일 경우 의사 소통이 어렵다. 이는 사회적인 약속을 어겼기 때문이다.
·언어의 사회성과 자의성 역사성에 대하여 특성을 간단히 설명하시오.
(선수학습 참조)
(2) 국어와 한국의 사회 문화(p27-29)
▲ '눈'에 나타나는 문화
교과서 27쪽에 제시된 단어 외에도 문화의 특성을 드러내는 어휘는 매우 많다. '눈'에 대한 에스키모어를 통해서도 그것을 알 수 있다.
※ 국어=눈(snow)
에수키모(Eskimo)어=quna, aput, piqsirpoq, qimuqsuq
에스키모 어에서는 내리고 있는 눈은 quna, 땅에 쌓여 있는 눈은 aput, 바람에 밀려 가고 있는 눈은 piqsirpoq, 바람에 밀려 쌓여 있는 눈더미는 qimuqsuq 등 20여 종의 다른 이름으로 눈을 나타내지만 국어의 '눈'에 해당하는 총칭어는 없다. 이는 '눈'이라는 자연 환경적 영향과 관련이 있으며, 궁극적으로 그러한 영향 때문에 에스키모 인들의 경우 우리에 비해 눈과 관련된 문화가 발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 농경 문화가 반영된 어휘
우리말에는 농경 문화가 반영된 경우가 많은데, 땅을 일구는 데 쓰는 농기구만도 '따비, 쌍날 따비, 캠대(풀뿌리를 캘 때 쓰는 단단한 나무 꼬챙이), 괭이, 가짓잎괭이(괭이날의 아래 위가 홀쭉하여 가짓 잎처럼 생긴 괭이), 토란잎괭이, 수숫잎괭이, 넉괭이(밑날 부분이 넓게 되어 있는 괭이, 모래땅에서 흙을 파 덮는 데 쓰임.), 나뭇괭이(나무로 괭이처럼 만든 것, 파기보다는 고랑을 켜 북을 돋우는 데 주로 쓰임.), 곡괭이, 황새 괭이(양쪽으로 날이 달려 황새 머리 모양 같음.), 쇠스랑, 삽, 종가래, 화가래, 가래, 군두, 삽가래, 얼렁가래, 헹가래(가래로 흙을 파기 전 빈 가래로 손을 맞춰 보는 것, '헹가래 친다'는 말이 여기서 나옴.), 삽괭이, 벽채 호미, 잔디 호미(잔디밭의 잡풀을 캐는 매우 작은 호미), 왼호미(왼손잡이가 쓸 수 있도록 만든 호미), 꽃삽, 모종삽 등이 있다. 또한, '낫'만 하더라도, '조선낫, 육철낫, 왜낫, 반달낫, 우멍낫, 버들낫, 벌낫, 밀낫, 톱날낫' 등으로 세분화되어 있다.
▲ 가게(家系)를 나타내는 말 : 다음 자료를 통해 한국어의 가계를 나타내는 말이 얼마나 분화되어 발달했는가를 설명한다.
★ 우리 문화와 어휘 : 교과서 28쪽의 자료에서 알 수 있듯이 우리는 예로부터 농경 문화가 발달해 있던 민족이다. 농업은 나라의 기초 산업으로 생각되어질 만큼 현대에 이르기까지 중요시되어 왔다. 그런데 이러한 농경에서 가장 중요시되는 것이 바로 노동력이다. 때문에 자연스럽게 노동력, 즉 협동과 관련된 [가](p30)와 같은 속담이 많이 생겨날 수밖에 없었다. 게다가 우리의 전통사회는 계급사회였다. 계급 사회에서 지배 계층에 속하는 양반들은 체통을 중시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에 [나](p30)와 같은 속담들도 생겨나게 되었다. 또한, 근대 이전의 우리 사회에서 여성은 시집살이에서 오는 고부간의 갈등, 일부 다처제의 인습에서 발생하는 처첩 간의 갈등을 겪으며 살았다. [다](p30)는 이러한 여성들의 처지와 삶을 잘 반영하는 속담들이다. 그리고 체면을 중시하다 보니 남의 시선을 의식하게 되고, 그 결과 '입는 옷(衣)' 관심을 갖는 [라](p30)와 같은 속담들이 발생했다고 볼 수 있다.
우리말에 반영된 혈연 중시 사고
우리말에서는 장인과 시아버지를 구별하고, 삼촌과 오촌 아저씨를 구별하며, 사촌 형제와 육촌 형제를 구별하는데 영어의 경우는 그렇지 못하다. 이것은 한국 사회가 가족과 씨족 중심의 사회였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이다. 혈연을 중시하다 보니 혈연 관계를 표시하는 단어들이 풍부하게 발달된 것이다. 실제로 한국어는 삼촌, 사촌, 장인, 장모, 사위, 며느리, 시어머니, 시아버지, 동서, 형부, 처제, 처형 등 모든 혈연 관계를 표현할 수 있다. 개인을 중시한
영어권에서 혈연 관계를 표시하는 단어들이 모호하게 뭉뚱그려지는 것과는 대조를 보이는 것이다. 영어에서는 여자 형제는 다 sister이지만, 한국어에서는 누나, 언니, 여동생 등 자신과 상대방의 맺어진 관계에 따라 뚜렷하게 구분이 된다.
우리말에 반영된 문화적 특성
우리말은 피동형이 발달하지 않았다. 머리를 다듬고 싶을 때 "머리를 깎이러 간다."는 말은 하지 않고, 또 "머리를 깎였다."는 표현도 잘 하지 않는다. "머리를 깎으러 간다."거나 "깎았다."고 말한다.
영어나 중국어와 우리말은 주술 구조가 다르다. 우리는 주어 다음에 목적어, 그 뒤에 서술어가 온다. 영어나 중국어에서는 주어 다음에 서술어, 그 뒤에 목적어가 온다. 영어식 통사 구조에서는 나의 의사를 밝히는 것이 먼저이나 우리는 나의 의사보다 상대방에 대한 관심을 먼저 보인다.
영어를 모국어로 습득하는 어린이는 하늘을 /blue/로, 풀은 /green/ 으로 각각 분리하면서 생활하게 되지만, 한국의 어린이는 하늘도 '푸르고', 풀도 '푸르게'보면서 살아가게 되며, 중국인은 '靑, 碧, 綠, 藍'을 구분하는 데 익숙하다.
탐구활동
다음에 제시된 김치의 종류를 통하여 우리 문화의 특징을 살펴봅시다.
·포기 김치 ·총각김치 ·깻잎김치 ·동치미 ·백김치 ·보쌈김치 ·갓김치
·오이소박이 ·열무김치 ·석박지 ·깍두기 ·파김치 ·고들빼기김치
[예시 답안] 우리 음식 문화는 밥 문화이므로 김치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김치의 종류가 많고 그 어휘도 다양하다. 이를 통해서 김치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고 육류보다는 야채를 주로 하는 우리 민족의 식생활도 짐작할 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