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사랑과행복이 가득한 주말 농장 원문보기 글쓴이: 푸르름
정지 전정 |
|
정지 전정의 이론 |
전정의 의의와 목적 | ||||||||||||||||||||||||||||||||
정지와 전정은 흔히 같은 의미로 사용하고 있으나 정지는 나무꼴을 만들기 위하여 큰 가지를 만들고 조정해 가는 작업이고 전정은 갖추어진 나무에서 가지를 솎고 잘라서 매년 안정적으로 과실을 생산케하며 품질을 향상시키는 수단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이 있다.
| ||||||||||||||||||||||||||||||||
감나무 특성 | ||||||||||||||||||||||||||||||||
|
|
전정의 실제 |
수형의 구성 | ||||||||||||||||||||||||||
감나무의 특성은 정부우세성이 강하고 햇빛의 요구도가 높고 고사지발생이 많아서 자연상태의 나무꼴은 원줄기가 곧은 주간형이다. 그러므로 재배에 있어서는 나무의 특성을 살려가면서 수량과 품질향상 및 병해충방제, 수확 등의 작업에 편리한 방향으로 나무꼴을 가꾸어 나간다. 감나무의 개원에 있어서의 나무꼴은 주간을 높게 하는 변칙주간형과 주간을 낮고 넓게 하는 개심 자연형이 기본형이다. | ||||||||||||||||||||||||||
개심 자연형 | ||||||||||||||||||||||||||
나무의 직립성을 어느 정도 살려 가면서 원줄기를 짧게 하고 주지수를 적게 배치하는 반면 컵모양의 낮은 배상형을 보완하여 결과부위를 옆으로 크게 확대하는 특징을 갖는다. | ||||||||||||||||||||||||||
변칙주간형 | ||||||||||||||||||||||||||
개심 자연형의 경우와 큰 차이가 없으나 주지수는 4∼5개를 형성시킨다.
| ||||||||||||||||||||||||||
성목의 전정 | ||||||||||||||||||||||||||
| ||||||||||||||||||||||||||
감나무의 크기 제한과 솎음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