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쉽게도 3편에서 예측한 91일동안의 주요 종목(BTC 및 USD/KRW)는 트럼프의 대통령 단선, 그리고 우리나라의 탄핵이라는 정치적 등 불안한 외부요인에 의해 11월말 예측시의 경제 및 정치적 상황과는 많은 괴리가 발생했으며 특히 외국인 주식매도->발생된 원화의 달러환전->본국 송금으로 이어지면서 주식시장이 환율시장을 급격히 흔드는 당연하지만 원치 않은 시나리오가 진행중입니다. 여전히 국회의 뻘짓은 이러지고 있어 현재가 바닥임을 증명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하지만 저는 지진등 물리학 이론이 가미된 LPPLS-PINN은 바닥과 천장을 예측하는 좋은 Tool이라고 확신을 하고, 2025년에도 더 갈고 딱을 예정입니다.
참고로 이미 아고라타임즈에 출간된 기고글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https://www.agoratimes.com/news/articleList.html?sc_area=A&view_type=sm&sc_word=%EB%B0%95%EC%A0%95%EC%88%98
PART5: 향후 90일 이후의 주요 자산가격 전망 (2024년 12월28일 기준)
그리고 2024년 12월28일을 기준으로 작성한 향후 90일간의 전망은 다음과 같습니다.
그림으로 그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이처럼 PINN을 비롯한 최신 AI 기술은 금융 분야에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올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AI에 대한 이해와 금융 도메인 지식의 융합이 필수적입니다. 미래의 금융 전문가들은 이러한 기술을 능숙하게 다룰 수 있어야 하며, 이는 곧 경쟁력 있는 인재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입니다. PINN과 AI의 활용은 단순히 기술적인 진보를 넘어, 금융 시장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높이고 더 나은 경제적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할 것입니다. 결국, AI와 PINN의 융합은 금융의 미래를 형성하는 핵심 요소가 될 것이며, 이를 통해 우리는 더욱 안정적이고 포용적인 금융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을 것입니다.
저는 앞으로도 금융분야에 있어서의 인공지능과 관련된 학술이론은 지속적으로 소개할 각오를 가지고 있으며, 다음연재에도 인공지능과 관련한 최신의 경제/금융/계량경제학 이론을 소개하면서, 미래 세계를 주도할 여러분들에게 비록 작지만 바른 촛불을 비추어 드리려고 더 노력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