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 500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분석하기.
data frame명: merged_data
Date: 날짜
Inflation: 인플레이션
GDP_Growth: GDP 성장률
Unemployment: 실업률
#다중회귀분석하기 (SP500 종속변수, 그 외 컬럼들 독립변수)
model<-lm(SP500~., data=merged_data)
summary(model)
--> 1) Inflation : p-value 0.004098 로 유의미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인플레이션이 1단위 증가할 때 SP500 지수는 약 77.85 포인트 감소함을 의미한다.
2) GDP_Growth: p_value 0.0000617 로 가장 유의미한 요소라고 볼 수 있고,
GDP 가 1단위 증가할 때 SP500이 약 0.98 포인트 증가함을 의미한다.
3) Unemployment: p_value 0.030531 로 유의미하긴 하지만 나머지 요소들에 비해서 다소 영향을 적게 미치고,
실업률이 1 증가 할 때 마다 SP500이 약 100.92 포인트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직관과 다소 상반되 는 결과이다.
4) DATE :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다.
#직관과 충돌했던 Unemployment 와 SP500의 관계 산포도 그래프로 살펴보기.
plot(merged_data$Unemployment,
merged_data$SP500,
pch=21,
col='blue',
bg='blue')
model2<- lm(SP500~Unemployment, data=merged_data)
summary(model2)
abline(model2, col='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