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유동수 (주)불리온뱅크 대표이사, (사)한국금협회 회장 |
금값은 미 달러화의 상승이라는 악재와 인플레이션 상승률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안전자산 수요 증가 흐름으로 인해 연일 초강세를 보였다. 이뿐만 아니라 최근 기준금리를 3차례 인하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점점 더 낮아지고 있고, 심지어 기준금리 인하 조치는 너무 빠른 시점이라는 분석까지 대두되고 있음에도 금 가격은 연일 상승세를 보였다. 일반적인 흐름에서 벗어나 매우 비정상적인 상황이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다만, 여전히 아시아권 특히 중국의 현물 투자수요와 중앙은행의 매입세가 강하게 진입하고 있는 상황이 유지되는 것이 금 가격의 상승세를 주도하고 있다.
중동지역의 지정학적 위험 상승
러우전쟁과 이팔전쟁에 이어 이스라엘과 이란과의 전쟁이 촉발되면서 전세계적으로 안전자산 수요의 상승을 부추겼다. 특히 중동지역의 전쟁으로 인해 국제 유가가 급격하게 상승세를 보였다. 원자재 상품시장의 상승세까지 동반되자 금값의 상승세에 도 영향을 주었다. 다만 이로 인해 전세계 인플레이션 상승률에 영향을 미치고 있어 기준금리 인하로 이어지기 어려운 상황이 전개되고 있고, 이는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요인들이 최근 금값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
전망
최근 금 가격의 흐름은 기존 방식의 경제 데이터 흐름으로는 움직임을 해석하기 매우 어렵다. 금 매수 랠리가 언제쯤 끝날지도 예견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뿐만 아니라 이스라엘과 이란간의 전쟁이 시작되면서 중동지역 전역으로 확전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라 금 가격의 상승세에는 강력한 힘이 되고 있다.
특히 유가의 급격한 상승세로 인하여 원자재 상품시장의 전반적인 상승 흐름을 유지하는 분위기에 동반 상승하는 기류도 강하게 진행되고 있다.
추가적으로 중국과 인도의 실물수요 상승과 중앙은행의 금보유 증가 흐름이 여전히 강하게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국제 금 가격이 쉽게 하락 반전하기에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단기적으로 금 투자의 광풍 흐름을 여전히 유지할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유가와 원자재 상품가격의 상승으로 인플레이션 상승율이 다시 오를 수 있기 때문에 기준금리 인하 정책이 크게 후퇴할 수 있다. 3차례가 예견되고 있는 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정책이 후퇴할 수 있다는 뚜렷한 징후를 보인다면 국제 금 가격은 하락 반전 타이밍이 될 수 있다. 이는 3월 초 강력한 상승흐름 시작된 이후 거의 20% 이상 상승한 상황이기 때문에 일시적인 조정을 보일 가능성을 예상할 수 있는 상황이다.
현재 이스라엘과 이란을 제외하고 주요 국가들은 전쟁이 중동 전역으로 확대하는 것을 반대하고 있기 때문에 전쟁 확대는 매우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또한 심리적 마지노선인 $2,400 돌파 이후에 추가 상승에 대한 부담으로 인하여 하락 반전할 가능성이 점점 더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실시간 시황은 유튜브, 실시간 시세는 플레이스토어에서 ‘불리온 뱅크’ 검색하여 보실 수 있습니다.
귀금속경제신문(www.diamonds.co.kr)